반응형
반응형

운동이 좋은 건 누구나 안다.
모든 운동은 실시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니까 말이다. 그런데 몸 펴기 운동은
이십여 년 실시하던 어떤 운동보다 결과가 좋았다.
2010년 12월에 사제 보건 진료소에서 몸 펴기 운동을
시작하였다. 비교적 넓은 회관이었으나 운동
효과가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선착순
30명으로 시작한 것이 45명이 넘게
참여하였다. 대부분이 걷기
힘들어 하는 분들이었다.


- 김명천의《옥양목》중에서 -


* 운동의 기본은
몸의 '확장'과 '수축'입니다.
'이완'과 '긴장'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완의 출발점이 '몸을 펴는'것입니다.
긴장된 몸과 마음이 이완 모드로 들어가면
뇌파는 안정됩니다. 무언가에 몰두하다가도
가끔 기지개를 켜는 것, 이 또한
'몸 펴기 운동'의 하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한 인연  (1) 2025.06.23
왜? 믿으니까  (0) 2025.06.23
영감을 얻는 길이라면  (1) 2025.06.19
보지 않고도 본다  (0) 2025.06.18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0) 2025.06.17
반응형

지금 당신이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설정해
힘들어하고 있다면, 이제 그 기준치를 낮추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과중한 부담에 짓눌려
허덕이는 삶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다. 기준을 낮추는
첫 단계는 자신의 개인적인 행동 원칙을 재검토하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기준을 낮추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높은 기준에 맞춰 살지 않아도 세상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경험을 통해 완벽을 추구하는
압박감에서 벗어나고, 더 여유로운
자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 일자 샌드의《센서티브》중에서 -


* 누구나 잘 살고 싶어 합니다.
그렇기에 더 높은 기준을 세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때론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세우기도 하지요.
사실 기준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단지 세우는 게
중요할 뿐이지요. 잘 사는 비결은 너무 높지 않은 기준이라도
일단 세워보는 데서부터 시작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잘 살고 계시나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의 언어  (0) 2022.10.04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0) 2022.10.04
말과 글, 뜻과 일  (0) 2022.09.30
성장을 지속하는 사람  (0) 2022.09.29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다  (0) 2022.09.28
반응형


다수 의견은 우리의 생각을 좁고 편협하게 만들지만,
소수의 의견, 즉 반대 의견은 우리의 생각을 확장시키고,
열린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반대 의견을 경험할 때
우리는 혼자 생각할 때 보다 더욱 다양하게 사고를 확장할 수 있다.
반대의견이 옳고 그름과는 상관없다.
- 살런 네메스, ‘반대의 놀라운 힘’에서


반대 의견에는 장점이 많습니다. 반대 의견이 있을 때,
우리는 다양한 길을 탐색하게 되고, 다양한 대안을 고민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반대 의견이 창의성을 높이고, 의사결정의 질을 높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와 다른 의견과 시각은 호감을 주지 못한다.
누군가 우리의 의견을 반박하면 기분이 좋지 않다.
하지만 더 나은 결정을 만드는 것은 바로 이런 다양한 의견이다.
자기 생각에만 빠져 있으면 그릇된 판단을 내리기 쉽다.
의도적으로 낯선 사고방식에 스스로를 노출시키려 노력해야 한다.
- 헤닝 백, ‘틀려도 좋다’에서 

생각이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일은 그리 즐거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나와 다른 의견에 노출될수록 나의 사고는 더 크게 확장됩니다.
나와 다른 의견을 겸허히 수용하고,
불꽃 튀는 토론을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나를 더 강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전지대(Comport Zone)는 불편함을 통해 자주 확장된다.
불편함은 성장을 위한 촉매다.
그것은 당신이 더 많은 무언가를 갈망하게 만든다.
그리고 당신이 변화하고, 확장하고, 익숙해지도록 한다.
- 피터 맥 윌리암스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롬바르도는 ‘정기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틀에 박힌 사람들보다 더 창의적이고
회복탄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
처음엔 고통스럽지만 불편하고 익숙하지 않은 영역을 찾아
개척해 나갈 때 나의 능력과 자신감이 점점 커집니다.
성공의 비결은 하기 싫은 일을 적극적으로 해 나가는데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도에는 

'아힘사'라는 고대부터 내려오는 

비폭력적인 삶의 모델이 있다. 그것은 

비폭력적인 삶의 중심 사상이다. 아힘사는 

보통 '비폭력'이라고 정의되지만, 그 뜻은 마하트마 

간디의 평화적인 저항부터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삶에 대한 경외심까지 폭넓게 확장된다. 

아힘사의 첫 번째 원리는 

'해치지 말라'이다.



- 마셜 B. 로젠버그의《비폭력 대화》중에서 -



* 물리적 폭력도 무섭지만

언어의 폭력은 더 무섭습니다.

사람의 정신과 영혼을 해치고 상처내기 때문입니다.

언어는 그 사람의 수준을 투명하게 보여줍니다. 

그가 속한 조직과 공동체의 품격을 나타냅니다.

오늘 우리 시대에도 '아힘사'가 필요합니다. 

그 아힘사는 언어의 정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조로운 출발  (0) 2018.01.01
내면을 보는 눈이 있는가?  (0) 2017.12.30
밤마실, 별이 총총한 밤에...  (0) 2017.12.28
안목의 차이  (0) 2017.12.27
더 젊게 만드는 '마법의 카드'  (0) 2017.1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