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의 마지막 순간에

바다와 하늘과 별 또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지 마십시오.

지금 그들을 보러 가십시오.

-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인생수업’에서 


인간은 한번만 삽니다.(괴테)

여름 휴가철입니다.

소중한 것들을 미루지 말고 지금 당장 해보십시오.

이번 휴가엔 잠깐 시간을 내어

지금 안하면 가장 후회가 클 것들을 정리해 보면 어떨까요?



...

반응형
반응형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함께 존재해야 

생명을 존속시킬 수 있다. 보이지 않는 것이 

우리를 버리고 떠날 때에야, 그것이 

뒤돌아서서 사라진 다음에야,

보이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된다. 



- 제임스 힐먼의《나는 무엇을 원하는가》중에서 -



* 눈에 보이는 것이

결코 전부가 아닙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더 소중하고 값진 것이 

숨어 있습니다. 혼을 담은 눈으로 보아야 

두 가지가 함께 보입니다. 사랑을 담은 

눈으로 보면 더 잘 보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이란  (0) 2017.08.01
가난과 문학  (0) 2017.07.31
단지 20초만 만져봐도...  (0) 2017.07.27
'산소가 씹힌다'  (0) 2017.07.26
'한몫'을 한다  (0) 2017.07.25
반응형

[R] R 교육 블로그 http://blog.naver.com/tjdudwo93


http://blog.naver.com/tjdudwo93/220978385006 취지가 좋아요~ 



통계분석, 랜덤 포레스트


R 프로그래밍 언어(줄여서 R)는 통계 계산과 그래픽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환경이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의 로버트 젠틀맨(Robert Gentleman)과 로스 이하카(Ross Ihaka)에 의해 시작되어 현재는 R 코어 팀이 개발하고 있다. R은 GPL 하에 배포되는 S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현으로 GNU S라고도 한다. R은 통계 소프트웨어 개발과 자료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패키지 개발이 용이하여 통계학자들 사이에서 통계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쓰이고 있다.




R 프로젝트 페이지 : https://www.r-project.org/




...

반응형
반응형

[ChatBot] ChatScript 설명.




챗봇 데모 : http://ec2-54-215-197-164.us-west-1.compute.amazonaws.com/speech.php


Github chatscript manual : https://github.com/bwilcox-1234/ChatScript/blob/master/WIKI/ChatScript-Basic-User-Manual.md


ChatScript (CS)는 사용자 텍스트 입력을 받아들이고 텍스트 응답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스크립팅 언어입니다.

채팅은 테니스처럼 발리슛으로 진행됩니다 프로그램 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문장 을 입력하고 하나 이상의 문장을 다시 출력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사용자 가 입력을 받아 응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인 대화 표시 입니다. 그것은 당신과 대화합니다. 그러나 나는 문서 를 읽는 데에만 전념하는 챠트 봇 (chatbot)을 만들었다 이 경우 입력은 전체 문서입니다.

생성되는 출력은 프로그램에 달려 있습니다. 내 프로그램은 목차, 각 장 경계 및 뒤의 색인이있는 위치를 찾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래서, 더 광범위하게, ChatScript는 chatbot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어를 조작하기위한 시스템입니다 .

이 문서는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문서에서 Writing a Chatbot 문서에서 봇을 저작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에 대한 좀 더 일반적인 논의 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ChatScript] ChatScript 에제 따라하기 삽질 중 . 


K-POP 소재로 챗봇 개발하기    다라하는데 오류발생. 삽질 중 . 구글링에도 잘 안나옴. 

그런데, 굉장히 단순한 문제였음. 

 

unknown top-level declaration tablemacro~~~~ 였는데,  구글링에도 답이 없음. 


하다하다 궁극의 코딩 정리를 다시 해보니.

Tablemacro:^NounPlusPP(~~~) 였는데, 

Tablemacro: ^NounPlusPP(~~~) 이렇게 바꾸니 오류 발생 안함. 이건 뭐냐고...?!


그렇게 투애니원의 안부를 chatscript에게 물어볼수 있었다. 









...

반응형
반응형

기본이 중요, 카메라 세팅

뭐든 기본이 중요하다. 기초를 잘 닦아야 실력을 제대로 키울 수 있는 법. 고프로 촬영의 기본은 카메라 세팅이다. 사진과 영상을 포함해 무려 154개의 세팅 값이 있지만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딱 3가지만 알면 되니까. 화면 비율, 프레임, 해상도 말이다.


화면 비율은 결과물의 가로세로 비율을 말한다. 고프로에는 4:3, 16:9, 17:9의 세 가지 비율이 있다. 4:3은 과거 TV에서 많이 사용하던 것. 가장 안정적인 모드로 깊이 있게 담을 수 있으며 편집할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요즘 많이 사용하는 비율은 16:9다. 4:3에 비해 위아래가 16.6% 줄어들지만 오히려 좌우가 넓게 느껴져 몰입감을 높인다. 17:9는 16:9와 함께 영화와 멀티미디어 파일에 최적화된 비율이다. 2.7k나 4k 같은 고해상도 설정에서만 17:9 비율을 선택하도록 했다.

고프로 히어로3+는 특별한 모드를 추가했다. 슈퍼뷰 모드는 4:3과 16:9의 장점을 합한 것. 4:3 화면에서 끝부분만 늘려 16:9로 만들었다. 물론 끝 부분에 왜곡이 생기긴 하지만 위아래로 넓은 화상을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80p와 720p 해상도에만 적용된다.

프레임 레이트는 1초에 몇 장의 이미지를 촬영하는가에 대한 설정이다. 프레임 수가 올라가면 결과물의 용량이 커지긴 하지만 슬로모션 같은 효과를 부드럽게 넣을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는 프레임 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노이즈가 많이 끼기 때문. 고프로는 밝은 곳에서는 120프레임, 어두운 곳에서는 24프레임으로 세팅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오토 로우 라이트(Auto Low Light) 기능을 켜 놓으면 어두운 곳에서 자동으로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한다. 개인적으로 에디터는 60프레임으로 세팅하고 오토 로우 라이트 기능을 켜 둔다.


해상도는 화면의 크기를 말한다. 3840×2160, 2704×1524, 1920×1440, 1920×1080, 1280×960, 1280×720 중 선택 가능. 그중 대세는 다들 아시다시피 1920 x1080이다. 여기서 촬영팁 하나. 고프로는 화각이 넓어 주변부가 생각보다 더 많이 담긴다. 이게 너무 보기 싫을 때는 편집하면서 영상을 확대해 주변부를 자른다. 물론 화질이 떨어지는 걸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이때는 결과물의 해상도보다 한 단계 높은 해상도로 찍으면 된다. 그러니까 1920×1080 영상을 원하면 2704×1524로 찍는 것이다. 그러면 주변부를 자르면서도 깨끗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