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씨앗이 땅에 떨어지면
씨앗은 씨앗이라는 자기 존재를 부정하고,
새싹을 내며 꽃을 피운다.
그러나 때가 되면 꽃은 꽃이라는
자신의 존재를 부정함으로써 열매를 맺게 된다.
- 헤겔 (Georg Hegel)

 

 

독일 철학자 헤겔이 변증법을 설명하면서 남긴 말입니다.
‘자기 부정’이 발전과 성숙의 주 원료가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정두희 저, ‘미장세’ 인용)
늘 변화가 필요한 세상입니다.

변화의 시작은 과거 부정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절대 변하지 말아야 할 목적과 핵심가치를
제대로 지켜내는 지혜가 동시에 요구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금 이 순간에도
나는 정확히 그날을 기억할 수 있다.
처음 사막을 향해 떠났던 그날, 벌써 35년이
흘러버린 바로 그날, 내 인생은 180도 바뀌어
버렸다. 내 나이 열일곱 살이었다. 6주 동안의
여름방학을 이용해 함부르크를 떠나 파리와
바르셀로나를 거쳐 북아프리카로
향하는 사막 여행이었다.  


- 아킬 모저의《당신에게는 사막이 필요하다》중에서 -


* 십대의 사막 여행 한 번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어놓았습니다.
인생을 바꾸는 경험, 운명을 바꾸는 점 하나,
그것을 가리켜 '터닝 포인트'라 부릅니다.
새로운 도전, 새로운 출발의 점!
위대한 시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아들딸에게  (0) 2014.07.28
질투와 시기심의 차이  (0) 2014.07.26
눈맞춤  (0) 2014.07.24
슬픈 신부, 그러나 가장 행복한 순간  (0) 2014.07.23
'명품 사람'  (0) 2014.07.22
반응형


내가 당신을 보고
당신이 나를 본다는 것은
두 개의 영혼이 만나는 것과 같다.
눈맞춤은 오래 본다거나 뚫어지게 본다거나
노려보는 게 아니다. 본다는 것은 중요하다.
볼 수 없다면 어루만짐을 줄 수 없다.


- 에이미 해리스, 토머스 해리스의《완전한 자기긍정 타인긍정》중에서 -


* '눈빛'이라고 하지요.
눈맞춤은 서로 눈빛을 나누는 것입니다.
섬광보다 더 빨리 0.1초 사이에 마음을 나누고
마음을 읽어내는 것입니다. 뚫어지게 볼 필요도,
노려 볼 필요도 없습니다.

 

마음을 담아서
바라보면 됩니다.

마음을 눈으로 어루만지듯이.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투와 시기심의 차이  (0) 2014.07.26
터닝 포인트  (0) 2014.07.25
슬픈 신부, 그러나 가장 행복한 순간  (0) 2014.07.23
'명품 사람'  (0) 2014.07.22
'내 아이라서 고마워!'  (0) 2014.07.21
반응형

우리는 의욕에 비해 더 많은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어떤 일들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흔히 의욕의 결핍에 대해
스스로 핑계를 대고 싶기 때문이다.
- 라 로슈푸코, ‘잠언과 성찰’에서         


우리는 의욕에 비해 더 많은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의욕을 높이면 더 큰 성취를 이룰 수 있게 됩니다.
우리 모두의 잠재력은 무한합니다.
무한한 잠재력을 인식하고 뭐든 가능하다고 생각해,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어느 순간 불가능이 가능으로 바뀌는 기적을 체험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League of Legends Cinematic: A New Dawn

 

.

반응형
반응형

정상의 기업들이 계속 자리를 지키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경영 때문이다.
이런 회사들은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더 잘 만들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 트렌드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가장 큰 이익을 보장하는 분야에 체계적으로 투자한다.
그리고 이런 좋은 경영으로 인해
그들은 어느새 시장의 리더십을 잃게 된다.
-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교수, ‘혁신기업의 딜레마’에서

 

 

역설적이지만, 기업현장에서 수없이 목도되는 사실입니다.
짐 콜린스 교수는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이다’고 주장합니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선,
좋은 것이 아닌 위대한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하며,
고객과 시장에 의해 폐기되기 전에
스스로, 좋은 것을 먼저 폐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