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0여 년 전에 방영한 TV사극 '허준'에서
스승 유의태를 가끔 생각한다. 그는 한평생
의술을 폈고 제자 허준에게 죽기 직전 자신의 몸을
실험 수술 대상으로 내주는 장면이 있었다. 그런 유의태의
모습은 비록 픽션이라도 강한 감동을 주었다. 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치유를 위해 한평생 의술을 폈고
죽기 직전 제자에게 자신의 몸을 실험해 보도록 한
유의태 선생의 정신을 본받아, 나도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실험하여 많은 사람을 치유하는
'의태성심'이 되기로 했다.


- 류성심의《고질병, 통쾌한 치유》중에서 -


* 허준은
유의태라는 스승이 있었기 때문에
조선 최고의 명의가 될 수 있었습니다.
유의태는 허준이라는 좋은 제자가 있었기 때문에
온몸을 던져 자신의 의술을 전수할 수 있었습니다.
스승과 제자, 멘토와 멘티, 영혼의 동반자, 소울 메이트,
선물과도 같고 운명과도 같은 이 극적인 만남이
새로운 역사를 만듭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어머니  (0) 2013.09.21
고향을 찾아서  (0) 2013.09.17
멋지게 살기 위해서  (0) 2013.09.14
좋은 부모 되기 정말 어렵다  (0) 2013.09.13
감각을 살려라  (0) 2013.09.12
반응형

이익을 얻으면 그 이익은 누군가의 은혜에 의한 것이니
나 또한 은혜를 베풀어야 한다.
목표를 이룬 사람들은
‘나눠야 더욱 넘치고 행복해진다’고 강조한다.
- 주역

 

존 쿨리지는 ‘뭔가를 받았다고 명예롭게 된 사람은 없다.
명예는 뭔가를 줌으로써 받는 보상이다.’고 말했습니다.
나눔으로써 더욱 커지는 행복의 기적을
체험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Robomongo 0.8.2

Shell-centric cross-platform MongoDB management tool

http://www.robomongo.org/

About

Robomongo — is a shell-centric cross-platform open source MongoDB management tool (i.e. Admin GUI). Robomongo embeds the same JavaScript engine that powers MongoDB's mongo shell. Everything you can write in mongo shell — you can write in Robomongo!

This is an early beta version of Robomongo, that we are publishing in a hope to validate usefulness of application. We really welcome your feedback! Please submit any issues and proposals to GitHub Issues.

Features

Full Power of MongoDB Shell

Robomongo embeds the same JavaScript engine (based on Mozilla SpiderMonkey), that powers MongoDB's mongo shell. It means that you can reuse your existing skills of MongoDB Shell in Robomongo!

Robomongo provides you with syntax highlighting, autocompletion, different view modes (text, tree, custom) and more.

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 Robomongo will not stop you from executing "undesired" code. Be careful, as you do with MongoDB Shell!

Tip! Select any part of code and press Ctrl + Enter. Only selected code will be executed.



Multiple Shells

Open as many shells as you need. Every tab in Robomongo — is a MongoDB shell, fully isolated from each other.

You can have many opened shells for single MongoDB database, or many shells for many different databases.

Tip! Press Ctrl + T to open new shell, based on currenly opened.



Multiple Results

Robomongo executes your code in statement by statement way. That means that you will receive as many result as many statements you have.

This feature can assist you, for instance, when you would like to view and analyse documents side by side.

Tip! Press F10 to toggle results orientation from vertical to horizontal.



Autocompletion

Robomongo provides you with autocompletion for all objects (and thus functions) that are known by JavaScript runtime, including autocompletion for databases, collections and even your document objects.

To assist Robomongo autocompletion — execute your code. This will make your objects available to JavaScript runtime, and autocompletion will work even for your custom functions and documents.

Tip! To see code of any JavaScript function, just type its name and execute (Ctrl + Enter)


Articles

 

반응형
반응형

Perimeter.js: Detect mouse breaches of an invisible perimeter

perimeter.js

 

반응형
반응형

URLcrypt: Securely encode and decode data in URLs

urlcrypt

반응형
반응형
즐거운 한가위 되세요..^^
차례상 진설법
http://m.seoul.go.kr/event/Chuseok2013Market.do?table=Y

 

지방 쓰는 법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12&contents_id=3600

 

 

 

▷차례상 준비시 유의점

*복숭아와 삼치,갈치,꽁치 등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쓰지 않는다.

*붉은 팥은 안쓰고 힌고물로 쓴다.

▷차례지내는 순서

1.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

2.참신 : 기제사와 같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헌주 : 술을 제주가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4.삽시정저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다.

5.시립 :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는다.

6.사신 : 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다면 덮는다. 일동이 2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7.철상, 음복 : 기제사와 같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에는 지방에도 한 분만 씁니다.  
그런데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씁니다.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씁니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