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setInterval()

setInterval(code)
setInterval(code, delay)

setInterval(func)
setInterval(func, delay)
setInterval(func, delay, arg0)
setInterval(func, delay, arg0, arg1)
setInterval(func, delay, arg0, arg1, /* … ,*/ argN)


Window 및 Worker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setInterval() 메서드는 각 호출 사이에 고정된 시간 지연으로 함수를 반복적으로 호출하거나 코드 스니펫을 실행합니다.

이 메서드는 간격(interval)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interval ID를 반환하므로 나중에 clearInterval() (en-US) 함수를 호출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myArray = ["zero", "one", "two"];

myArray.myMethod = function (sProperty) {
  alert(arguments.length > 0 ? this[sProperty] : this);
};

myArray.myMethod(); // "zero,one,two"가 출력됩니다
myArray.myMethod(1); // "one"가 출력됩니다
setTimeout(myArray.myMethod, 1000); // 1초 후 "[object Window]"가 출력됩니다
setTimeout(myArray.myMethod, 1500, "1"); // 1,5초 후에 "undefined"가 출력됩니다

// myArray.myMethod 내에서 this의 값을 변경하려는 동안
// setTimeout 내부에서 this의 값을 변경하기 때문에
// .call과 함께 'this'객체를 전달하는 것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 사실 setTimeout 코드는 this가 window 객체가 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setTimeout.call(myArray, myArray.myMethod, 2000); // error: "NS_ERROR_XPC_BAD_OP_ON_WN_PROTO: Illegal operation on WrappedNative prototype object"
setTimeout.call(myArray, myArray.myMethod, 2500, 2); // 위와 동일한 에러가 발생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헷갈리지 마세요! ‘결제’, ‘결재’ 차이점

‘결제(決濟)’는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을 뜻한다. 즉, ‘결제’는 ‘현금결제’, ‘소액결제’, ‘결제계좌’, ‘결제대행’ 등과 같이 돈과 관련 있는 일에 사용한다. 이때 ‘결제’의 ‘제’는 경제의 ‘제’와 같다고 기억하면 쉽다. 재화를 얻기 위한 활동인 경제(經濟)와 결제(決濟)는 모두 같은 한자인 ‘건널 제(濟)’ 자를 쓰기 때문이다.

‘결재(決裁)’는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을 뜻하는 말로, ‘결재권’, ‘결재서류’, ‘내부결재’, ‘전자결재’와 같이 주로 회사의 업무처리와 관련된 일에 사용된다. ‘재판(裁判)’과 같은 ‘마를 재(裁)’를 쓰는 ‘결재’를 ‘재판’처럼 어떤 일을 헤아려 결정함을 나타낼 때 쓴다고 생각하면 두 단어의 구별이 훨씬 쉬워진다.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18/01/03/2018010311910.html

 

헷갈리지 마세요! ‘결제’, ‘결재’ 차이점

헷갈리지 마세요! ‘결제’, ‘결재’ 차이점

digitalchosun.dizzo.com

 

반응형
반응형

하면 되 vs 하면 돼?

 

'돼'가 바른  표현이라고 했는데, '하면 되다'의 줄임말이 아닌지요? 하면 '되어다'의 줄임말로 표현하는 것이 맞다는 설명이신지요? 
 ======================================================

질문자 : 작성자                               등록일시 : 2020. 1. 10.

그냥 하면 되 vs 그냥 하면 돼 중 뭐가 올바른 표현인가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0. 1. 14.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표현은 '돼'로 표기하는 것이 바릅니다. '되다'의 어간 '되-'에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인 '되어'가 줄어든 것이므로 '돼'로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https://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41669&pageIndex=1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하면 되 vs 하면 돼? 작성자 작성자 등록일 2022. 3. 23. 조회수 1,057 '돼'가 바른  표현이라고 했는데, '하면 되다'의 줄임말이 아닌지요? 하면 '되어다'의

korean.go.kr

반응형
반응형

인간의 근육 중 가장 강한 것은 바로 혀이다.
혀는 한 사람을 단번에 무너뜨릴 수 있다.
그 몸집이나 힘이 어느 정도가 되든 상관없다.
또한 그것은 별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누군가를 거뜬히 들어올릴 수도 있고,
몇 천, 몇 만 명의 사람들을 통째로 무너뜨릴 수도 있다.
- 팻 크로스의 ‘선택의 힘’중에서


리 아이아코카 크라이슬러 전 회장은
‘당신에게 빛나는 아이디어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을 널리 알릴 수 없다면,
그것들은 당신을 어디로도 데려가 주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인간의 육체 중에서 가장 강한 근육은 바로 혀입니다.
사람이 지닌 최고의 도구는 바로 자신의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머릿속에
아버지를 떠올리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내 손이 수화를 하고
있음을 발견하곤 한다. 그리고 기억의
안개 저편에서 대답을 하는
아버지의 손이 보인다.


- 마이런 얼버그의《아버지의 손》중에서 -


* 청각 장애 때문에
오로지 수화로만 대화를 하던 아버지.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면 '입' 대신
'손'이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들.
그 아버지의 손에, 그 아들의
영혼이 깃들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법  (0) 2023.10.23
새벽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0) 2023.10.20
상처에 빠져 허우적거릴 때  (0) 2023.10.18
'건강한 피로'  (0) 2023.10.17
그대, 지금 힘든가?  (0) 2023.10.16
반응형

남을 괴롭히는 사람에게는 평안이 없고,
남을 도와주는 사람에게는 불안이 없습니다.
평안과 불안은 이웃과의 관계에 달렸기 때문입니다.
내가 잘되는 것은 작게 잘되는 것이고,
나를 통해 남이 잘되는 것은 크게 잘되는 것입니다.
- 조정민, ‘고난이 선물이다’에서


같은 책에 실린 좋은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감사의 깊이가 삶의 깊이입니다.
무슨 일이건 감사하는 사람은 누구도 넘어뜨리지 못합니다.
감사하는 버릇이야말로 인간의 능력 중의 능력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