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의 타고난 개성으로 인정하지 않고
틀린 점으로 취급하는 순간, 상처가 자리 잡기 시작한다.
처음 만났을 때의 마음처럼,
‘다르다’를 ‘다르다’로 기쁘게 인정하자.
세월이 흘러 ‘다르다’가 ‘틀리다’로 느껴진다면
이전 보다 꼭 두 배만 배려하는 마음을 갖자.
-최일도, ‘참으로 소중하기에 조금씩 놓아주기’에서
‘다름’을 ‘틀림’이 아닌 ‘다양성’으로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다름’을 저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좋은 것으로
적극 환영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합니다.
성숙한 사회에서는 다름을 갈등 유발 요인이 아닌
발전의 초석으로 받아들입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다. (0) | 2012.06.25 |
---|---|
습관을 정복한 자가 정상에 오른다. (0) | 2012.06.22 |
꽃은 피는 순간부터 지기 시작한다. (0) | 2012.06.20 |
위대한 사람은 모두 위대한 노동자였다. (0) | 2012.06.19 |
원하는 것을 말하고 또 말하라 (0) | 201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