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 회사는 내가 직접 그리는 풍경입니다.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정말로 사랑합니다.
지금도 매일 아침 거의 탭댄스를 추면서 출근합니다.
돈이 아무리 많아도 결국 사람의 행복은
자신이 사랑하고 또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 워렌 버핏, ‘하버드 MBA의 경영수업’에서


잭 웰치 역시 하버드 MBA학생들에게 같은 충고를 하고 있습니다.
“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는지
매일 아침 거울 테스트(mirror test)를 해보세요.
돈은 부차적인 것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미친 듯이 하다보면 돈은 저절로 따라 옵니다.”
직업 선택의 첫 번째 기준은 돈이 아닌 ‘좋아하는 일’이어야 함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가 단칸방에는
다락이 하나 있었다. 겨우 한 사람이
들어가 허리를 굽혀 앉을 수 있는 작은
다락이었다. 엄마에게 혼나거나 우울한 일이
있을 때 나는 다락으로 숨었다. 사춘기에 막
들어선 시점이었다. 세상의 시선으로부터
도망갈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가족의 변화와 함께 버림받은
세계문학전집과 백과사전이
거기 있었다.


- 봉달호의 《셔터를 올리며》 중에서 -


* 나이 든 대부분 사람들에게는
아마도 다락방의 추억이 있을 듯합니다.
뭔지 모르게 평안하고 비밀스러운 숨은 공간에서
묘한 해방감과 자유를 느껴본 그런 기억 말입니다.
때마침 그곳에 낡은 책이라도 몇 권 있었다면,
그리고 그 책을 펼쳐보다가 번쩍하는
구절을 하나라도 발견했다면,
인생을 바꾸는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0) 2023.03.26
아버지가 수없이 가르친 말  (0) 2023.03.26
어린 시절 부모 관계  (0) 2023.03.22
얻음과 잃음, 빛과 어둠  (0) 2023.03.21
진실이면 이긴다  (0) 2023.03.20
반응형

https://brunch.co.kr/@delight412/550

 

코딩과 글쓰기는 비슷한 점이 많다

골든래빗이 펴낸 '개발자 원칙'은 다양한 기업 현장에서 뛰는 나름 경력 있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대한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담은 책이다. 9명이 강조하는 개발자 원칙이 담겼는데, 글쓰

brunch.co.kr

골든래빗이 펴낸 '개발자 원칙'은 다양한 기업 현장에서 뛰는 나름 경력 있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대한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담은 책이다. 9명이 강조하는 개발자 원칙이 담겼는데, 글쓰기를 업으로 삼다 보니 글쓰기과 코딩이 비슷한 점이 많다는 내용을 담은 장동수 데이원컴퍼니 CTO의 글이 눈길을 끈다.

글을 읽다 보니 글쓰기와 코딩은 비슷한 점이 참 많은 것 같다. AI와 관련한 변화에 직면한 것도 그렇고. 챗GPT가 나오면서 글쓰는 일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많은데, 코딩 쪽 역시 마이크로소프트 깃허브가 내놓은 코딩 AI 도우미인 코파일릿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백준] 2016번 제곱ㄴㄴ수 - PYTHON

import math

min, max = map(int, input().split())
 
NN = [1] * (max - min + 1) 

tmp_01 = []

for i in range(2, int(math.sqrt(max)) + 1):
    tmp_01.append(i ** 2)


for i in tmp_01:
    j = math.ceil(min / i)
    while i * j <= max:
        NN[i * j - min] = 0
        j += 1

print(sum(NN))
반응형
반응형

 

import sys
import math

A_size = int(sys.stdin.readline())
A = sys.stdin.readline().replace("\n", "").split(' ')
A = [int(i) for i in A]

# A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작은 숫자부터 순서대로 정리된 새로운 list를 할당 
sorted_A = [i for i in A]
sorted_A.sort()

P = []
# A의 각 숫자들에 대해 sorted_A에서의 index를 찾아 몇번째로 작은 숫자인지 P 수열에 새롭게 append함.
for i in A:
    P.append(sorted_A.index(i))
    # 이미 할당한 숫자는 sorted_A에서 -1로 대채해 재탐색되지 않도록 함.
    sorted_A[sorted_A.index(i)] = -1

results = [i for i in P]

for result in results:
    sys.stdout.write(str(result)+' ')
    
#  출처 : https://nerogarret.tistory.com/31
반응형
반응형

실제로 조직이 혁신적일수록
예기치 않게 일어나는 고충이 일어날 가능성도 더욱 크다.
하지만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조직은 고충을 피할 수는 있어도
혁신에 따른 발전이 없기 때문에 쇠퇴하기 십상이다.
- 헨리 민츠버그


반대나 저항이 없으면 발전 가능성도 없습니다.
공기에 저항이 없으면 독수리가 비상할 수 없습니다.
물에 저항이 없으면 배가 뜰 수 없습니다.
중력이 없으면 걸을 수 조차 없습니다.
당장의 아픔은 희망찬 미래의 씨앗이 되는 반면,
당장의 달콤함은 암울한 미래를 불러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