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아침마다 기다리는
편지 한 통이 있습니다.
10년 가까이 받고 있는 이 편지는
고도원 선생님이 보내주시는 편지입니다.
이 편지를 받으며 꼭 한번 뵙고 싶었고,
2015년 11월 28일 큰 딸아이 7살이 되던 해
'어린이 링컨체험학교' 1일 캠프를 다녀왔습니다.
그곳에서 고도원 선생님의 특강을 들었습니다.
I am Great! You are Great!
We are Great!


- 김옥수의《나는 강의하는 간호사입니다》중에서 -


* 반갑고 고마운 글입니다.
무언가를 잠깐 하는 것은 쉽습니다.
그러나 20년 넘게 한결같이 계속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아침편지를
계속하는 것은 보람이 있기 때문입니다.
7살 때 '어린이 링컨체험학교' 참여했던
딸이 이제 중학생이 되었다는
소식도 반갑습니다.  
You are Great!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이 우리를 성장시키는가  (0) 2022.09.14
가을바람이 분다  (0) 2022.09.14
삐틀빼틀 쓴 글씨  (0) 2022.09.07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0) 2022.09.06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반응형

Node.js 패키지 생성 및 실행 - Node.js package, npm init, npm run 

 

 

Node.js의 패키지 만들기
 - 폴더 생성
 - 콘솔에서 생성된 폴더로 이동
 - 패키지를 생성하기 위해 npm init 명령어를 실행
 - 폴더에 package.json 파일이 생성됩니다.
D:\_nodejs\nodePjt>
D:\_nodejs\nodePjt>npm init

{
  "name": "test1",
  "version": "1.0.0",
  "description": "test",
  "main": "index.js",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author": "carrotweb",
  "license": "ISC"
}



*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Express.js 설치하기
  Express.js는 Node.js에서 HTTP와 관련된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 패키지(애플리케이션)에 Express.js를 설치하기 위해 콘솔에서 npm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npm install에 옵션으로 --save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package.json 파일의 "dependencies"에 "express" 항목이 추가됩니다.

D:\_nodejs\nodePjt>
D:\_nodejs\nodePjt>npm install express --save

{
  "name": "test1",
  "version": "1.0.0",
  "description": "test",
  "main": "index.js",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author": "carrotweb",
  "license": "ISC",
  "dependencies": {
    "express": "^4.17.1" --> 추가
  }
}





 * Node.js의 패키지(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 Node.js를 종료는 콘솔에서 Ctrl + C를 누르면 됩니다.

D:\_nodejs\nodePjt>
D:\_nodejs\nodePjt>node index.js
Listening...
^C
D:\_nodejs\nodePjt>^C
D:\_nodejs\nodePjt>



=========================================================


접속 : http://localhost:8080/index.html


* npm으로 실행하기 위해 Script 추가하기
* 콘솔에서 npm start를 실행합니다.
  종료하려면 콘솔에서 Ctrl + C를 누르고 "Y"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됩니다.

D:\_nodejs\nodePjt>npm run start
npm WARN config global `--global`, `--local` are deprecated. Use `--location=global` instead.

> nodepjt@1.0.0 start
> node index.js

Listening...



* Express 정적 파일 적용하기
 - index.js를 오픈하여 이미지 파일이나 CSS 파일, JavaScript 파일 등과 같은 정적 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Express.js의 express.static() 메서드를 추가합니다. 정적 파일들이 들어있는 폴더로 public 폴더를 설정하였습니다.
 - 폴더에 public 폴더를 생성합니다.
 - public 폴더에 index.html 파일을 생성합니다.
 - npm start를 실행합니다.
  

   D:\_nodejs\nodePjt>npm run start



 -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index.html"를 입력


반응형
반응형

옛사람이 이르기에
'마음이 바르면 글씨가 바르게 된다'고
하였다. 대저 글자를 쓴 다음의 공교함과
졸렬함은 아직 서툰지 익숙한지에 달려 있지만,
글자의 점과 획, 테두리는 바르고 곧고 전아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근래 사대부들의 필법은
가늘고 경박하고 날카롭고 삐뚜름하니,
이는 결코 아름다운 일이 아니다.


- 정창권의《정조의 말》중에서 -


* 글씨가 삐뚜름하다 해서
그 사람까지 삐뚜름한 것은 물론 아닐 겁니다.
하지만 글씨는 그 사람의 많은 것을 읽게 해 줍니다.
글씨는 또 하나의 자기 얼굴입니다. 표정을 보고
사람을 읽어내듯, 글씨를 보고 지적 수준과
수양의 깊이를 읽어냅니다. 옛사람들이
바른 글씨를 쓰기 위해 목숨 걸듯
각고의 노력을 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바람이 분다  (0) 2022.09.14
아침마다 기다리는 편지  (0) 2022.09.08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0) 2022.09.06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5
반응형

3의 법칙, 즉 3가지의 핵심작업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먼저 내가 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일 3가지가 뭔지 스스로 물어보라.
어떤 일이 내게 가장 도움이 되고 있는지 판단하라.
그리고 매일 그 세 가지를 위해 일하라. 그리고 나머지 일은 하지 마라.
3일만 지나도 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브라이언 트레이시


‘종이 한 장을 꺼내,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세 가지 일을 써본다.
그리고 각각의 일에 대해 구체적인 활동 세 가지를 쓴다.
매일 아침 일어나 이 세 가지 일 목록을 보고, 먼저 그것을 한다.
세 가지 중 하나가 이뤄지면 또 다른 하나를 추가한다.
이렇게 10년 하면, 크게 성공한다.’
최상태 저, <최고가 되려면 최고를 만나라>에서 옮겨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협업(Cooperation)과 경쟁(Competition)을 합쳐 Coopetition 협쟁(協爭)이라는 표현을 처음 쓴 것으로 알려진 인물은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입니다. 그는 삼성과 애플이 오랫동안 앙숙으로 지냈지만 결국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경쟁할 것은 경쟁하는 관계로 진화를 했듯이, 패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 역시 그렇게 가야한다고 말한바 있습니다. 또 하버드대의 그레이엄 앨리슨은 11세기 중국의 송나라와 요나라의 관계를 친구이자 적인 우적(Frenmity)으로 묘사하기도 했고요.

 

경쟁자끼리 협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두 가지만 꼽는다면 (1) 경쟁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2) 프로젝트를 한 회사에서 관리하기에는 너무 크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의 설명입니다.

 

예를 들어 IT업계에는 스마트홈 표준 규격인 매터(Matter)를 도입할 움직임이 있는데요. 구글 아마존 삼성 LG 애플 필립스 등 수많은 기업들이 참여를 선언했어요. 스마트홈 디바이스 표준이 제각각이라 고객은 늘 불만이죠. 삼성 갤럭시폰으로 LG 디오스냉장고를 조작 못하니까요. 한 회사가 스마트홈 전체 시장을 독점할 수 없으니 협쟁이 필요할 것입니다. 예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독일 물류업체인 DHL은 미국의 물류업체인 UPS를 향해 이런 제안을 했어요.

 

🛺DHL: 미국 내에서 물류 배송을 UPS 네가 해주면 안 될까? 너희가 해주면 우리 회사는 약 10억달러를 아낄 수 있을 것 같아.

🚌UPS: (경쟁사 좋은 걸 내가 왜 해야하지??? 한데 내가 거절하면 FedEx에 달려가 제안을 하겠지?) 콜!

 

UPS 입장에선 DHL의 제안을 거절했다면, 아마 미국내 배송이라는 추가 수익을 FedEx에 빼앗길 수 있었겠죠? 이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애플은 사실 삼성과 LG의 경쟁자인데요. 하지만 삼성과 애플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층세라믹콘덴서, 카메라 모듈 등을 판매합니다. 왜? 두 회사 부품이 우수하지만, 꼭 삼성과 LG만 파는 것은 아니거든요.

 

🔎크게보기

협쟁이 이뤄지려면 경쟁사간에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각각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일 것. 기울어진 운동장이 아닐 것. 예를 들어 포드는 자신이 투자한 자율주행 업체인 아르고AI를 폭스바겐에 소개를 시켜서 투자를 받도록 했어요. 이유는? 어차피 폭스바겐 역시 자율주행 업체들을 찾고 있을 텐데, 그럴 바엔 포드가 투자한 자율주행 기술이 표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GM 넌 안 돼! 중요한 점은 협쟁을 하려면 CEO의 사고방식이 매우 유연해야합니다. 욕먹어도 괜찮다는 태세전환이 필요합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1997년 마이크로소프트가 더 이상 적이 아니라고 선언을 하고, 1억500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받습니다. 하지만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모두 야유 세례를 받은 바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고속도로 교통정보 ROAD PLUS

http://www.roadplus.co.kr/

 

ROAD PLUS

교통안전 홍보채널 --> 원활 (80km/h 이상) 서행 (40~80km/h) 정체 (40km/h 미만) 휴게소 휴게소 사고 사고 작업 작업 날씨 날씨 졸음쉼터 졸음쉼터 전면차단 전면차단 --> 홈페이지 콘텐츠 만족도(교통지

www.roadplus.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