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거장이란 표현을 싫어한다.
자기 스스로를 ‘거장’이라 말하고 만족하면 거기서 끝이다. 미래가 없다.
새로운 세계를 향해 더 깊이, 더 멀리 생각하는 소박한 도전 정신이
창조의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사과도, 인간도, 건축도,
무르익지 않은 도전 정신으로 넘쳐흐르는 푸른색일 때가 아름답다.
언제까지나 도전자가 되세요!
- 안도 다다오


“무엇이 당신을 거장으로 만들었다고 보나?”라는 질문에 대한
세계적 건축가 안도 다다오의 답입니다. 이어지는 이야기입니다.
“건축가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식이나 기술이 아닌,
정신적 건전함과 꿈을 지속할 힘이다.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목표와 꿈이 필요하다.
지금 이 순간을 최대한 열심히 살아라.
그 긴장감을 생의 마지막까지 유지해 갈 내적인 힘을 기르라.”

반응형
반응형

왜 운동과
섭생이 중요할까?
뭔가를 꾸준히 하면 체질이 바뀌기
때문이다. 근육이 늘면서 대사량이 함께 늘고,
몸에 안 좋은 음식을 먹지 않으려 노력하다 보면
나중에는 저절로 그런 음식이 먹히지 않는다.
체질이 바뀐 것이다. 새로운 습관이
만들어진 것이다.


- 한근태의《고수의 질문법》중에서 -


* 꾸준히 해야 바뀝니다.
꾸준히 해야 습관이 됩니다.
무엇보다 일단 시작해야 합니다.
시작했으면 끝까지 해야 합니다.
시작하고 끝까지 가는 것,
그것이 힘입니다.
내공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 대합실에 서서  (0) 2022.08.01
인생이 우울하기 때문에  (0) 2022.07.28
'나 목말라, 물 좀 줘'  (0) 2022.07.26
'제가 맡아 키우겠습니다'  (0) 2022.07.25
지금, 여기, 찰나의 삶  (0) 2022.07.25
반응형

billboard.js is a re-usable, easy interface JavaScript chart library, based on D3.js.

The name "billboard" comes from the famous billboard chart which everybody knows.

https://naver.github.io/billboard.js/release/latest/doc/

 

Home - billboard.js API doc

billboard.js is a re-usable, easy interface JavaScript chart library, based on D3.js. The name "billboard" comes from the famous billboard chart which everybody knows. Documents Playground Play with the diverse options generating on the fly! https://naver.

naver.github.io

 

https://github.com/naver

 

 

NAVER

NAVER has 207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https://www.highcharts.com/demo

 

Highcharts | Highcharts.com

 

www.highcharts.com

 

 

 

 

.

반응형
반응형


직원이 자신의 운명에 대해 좀더 많이 책임감을 느끼기를 바란다면
관리자는 내적 헌신을 이끌어내야 한다.
원칙적으로 내적 헌신은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권한이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직원의 내적 헌신을 원한다면 원대한 목표를 정하고
세부 목표를 수립하며 목표를 성취할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
직원들을 더 많이 참여시켜야 한다.
- 크리스 아지리스, 하버드 대학 교수


일찍이 18세기에 영국 법리학자 윌리엄 앨턴 존스는
‘가장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보다는 동료의 두뇌와 재능을 조화롭게 이용하는 사람이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동료의 재능을 활용하고 싶다면 오너십을 심어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중요한 의사결정에
가능하면 많이 참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전
대구 위성 도시 경산에서
15세 소년이 왕따를 당하다가 아파트 옥상에서
투신했습니다. 유서도 공개되었습니다. 옥상에서
뛰어내리기 직전에 적었습니다. 왕따당한 사실을.
그리고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적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두 마디.
"나 목말라. 물 좀 줘."


- 임재양의《의사의 말 한 마디》중에서 -


* 모든 비극에는
반드시 전조가 있습니다.
작지만 절박한 비명 소리.
왕따 당한 소년에게는 '목마르다'는
외마디 소리가 비극을 알리는 전조였습니다.
작지만 절박한 비명소리를 서로 놓치지 않는 것,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고 소통입니다.  
더 좋은 것은 자기 내공을 키워
스스로 강해지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이 우울하기 때문에  (0) 2022.07.28
꾸준히 해야 바뀐다  (0) 2022.07.27
'제가 맡아 키우겠습니다'  (0) 2022.07.25
지금, 여기, 찰나의 삶  (0) 2022.07.25
다른 사람을 뜨겁게  (0) 2022.07.22
반응형

HBR에서 1만 9,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직장에서 존중받고 있음을 느끼는 사람들이 55% 더 적극적으로 업무에 참여했다.
갤럽조사에 의하면 상사보다
파트너 같은 느낌을 주는 관리자를 둔 직원들이 훨씬 더 행복했다.
파트너 같은 상사를 둔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가계소득이 두 배로 늘어난 것과 맞먹었다.
- 켈리 하딩, ‘다정함의 과학’에서


사람들이 관리자로부터 사회적인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고,
업무 중 작업 통제권을 가지며 일에 대한 노력을 보상 받는다고 느끼고,
업무에 몰입할 수 있을 때 그들의 정신과 신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긍정적인 업무 환경에서 사회적으로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병가를 덜 내고 회사의 의료보험비용도 50% 적게 사용했습니다.
좋은 상사를 두는 것도 질병에 걸리지 않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