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政治敎授 Polifessor
정치(Politics) + 교수(Professor)의 합성어이다. 국내에서 쓰이는 현대사회의 신조어 중 하나로, 교수가 정치에 기웃기웃하면서 정계 입문을 노리느라 자기 본분을 잊게 된 경우를 일컫는 말. 다만 교수, 학자가 단순히 정치적인 성격이 강한 발언, 행적이 많아 평가가 엇갈린다고 해서 모두 이런 소리를 듣는건 아니다. 정치권에 노출이 잦더라도 강의, 연구 등 본업에서도 업적이 충실하면 그냥 활동적인 교수일 뿐.

당연하지만 부정적 의미를 갖고 있다. 정치문제에 단순히 관심이 있는 정도로는 정치교수라고 불리지는 않는다. 그래도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대학 교수가 갖는 학문적, 사회적 위상은 대단히 높아서, 학문적이나 정치적인 상황에서 교수 개인 혹은 교수 집단이 시국선언이나 성명문을 통해 입장을 전달하는 것은 그 메시지의 파급력이 결코 낮지 않다.

단, 이것이 차후 정계입문을 위한 준비 수준이 된다면 정치교수가 된다. 학생들에게는 선거운동 준비한답시고 강의에 빠져서 민폐가 되고, 학계에는 학자로서의 생산적인 성과를 보이질 않으니 민폐가 된다.  대학교 입장에서도 그다지 반기지는 않지만, 한창 유명세를 치르고 있는 교수를 모셔오는 것이 자기 대학교 홍보가 될 거라고 생각하는 곳에서는 도리어 모셔오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걔네들이 정계에 골인하면 대학 강단에 더 머무르려고 할지…

전술한대로 아직 대한민국은 대학 교수가 갖는 학문적 위상 및 사회적 존경도가 높고, 특히나 우리 사회 모든것을 아울러서 정책에 반영하는 창구역할을 하는 정치권에서 해당 분야의 권위자인 대학 교수들의 자문을 구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이런 식으로 학자들이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는 건 물론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이것이 정책 개발을 통한 사회 공헌이 아닌, 교수들이 정치무대 진출을 위한 통로로 악용되고 이를 개인의 영달을 위해 쓰는 것이 문제시 되고 있다. 

대개 교수에게 정치교수라는 멸칭은 그가 갖는 정치성향과 반대편에서 붙여주는 경우가 많다. 반면 그와 같은 편인 집단에서는 양심 있는 지성, 책임 있는 지식인 등으로 미화시키는 편. 따라서 정치교수의 리스트는 결국 각자의 정치성향에 달려 있는 셈이며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즉, 진영논리가 끼어들 여지가 있다. 예컨대 김상조, 조국 교수나 표창원 전 교수 같은 경우에도 어떤 사람은 정치교수라고 주장했지만 또 어떤 사람은 그보다 더 명예로운 표현으로 부르곤 했었다. 그 중에서 표창원의 경우는 나중에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실제로 정계에 입문했다. 게다가 김상조, 조국 교수도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자 입각했다.

비슷한 신조어로는 언론과 자주 접촉하면서 카메라 마사지를 받는 것을 즐기느라 학술 및 교육 활동을 하지 않는 방송교수(telefessor)가 있다. 접두사가 비슷한 다른 것으로는 언론인 버전의 폴리널리스트(polinalist), 연예인 판의 정치연예인(politainer)이 있다[4]. 심지어 목사 버전의 폴리패스터(polipastor)도 있다.

반응형
반응형
 
나이가 들고
넘어지는 것이 위험해질 때 발생하는
문제는 가능하면 넘어지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연습 부족 상태가 된다. 위험이 가장 큰
순간에도 초보자 상태에 머무른다. 그래서 성인을 위한
'극기훈련'과 그 밖의 '낙법'을 가르치는 수업이
필요하다. 넘어짐을 피하는 방법뿐 아니라
가장 잘 넘어지는 방법도 배워야 한다.


톰 밴더빌트의《일단 해보기의 기술》중에서 -


* 유도를 시작하면
맨 처음 배우는 것이 낙법입니다.
군에 입대하면 맨 처음 만나는 것이 극기훈련입니다.
그 과정을 잘 거쳐야 넘어져도 다치지 않고, 극한의
상황에서도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나이 들어 넘어지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젊었을 때 잘 넘어지는 방법을 익혀야
넘어지는 일을 겁내지 않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 제3의 Next Plan  (0) 2022.03.21
인격의 핵심  (0) 2022.03.21
장남 노릇  (0) 2022.03.17
남아 있는 시간  (0) 2022.03.16
감춰진 과녁  (0) 2022.03.16
반응형

행운에는 능력이라고 하는 치명적인 유혹이 따르게 마련이다.
길을 가다 돈을 주었을 때, 자신의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반면 비즈니스 세계에서 행운이 찾아오면,
사람들은 순전히 행운이 따라줘서 돈을 번 게 아니라,
뛰어난 능력 덕택에 자신이 성공을 거머쥘 수 있었다고 믿는다.
행운과 능력을 혼동하는 순간 여러분은 몰락의 길로 들어설 것이다.
- 보 피버디, 트라이포드 창업자


첫 번째 성공을 운으로 돌리느냐
아니면 자신의 능력으로 돌리느냐 하는 것이 그 다음번 성공과 실패를 가릅니다.
성공을 행운으로 돌리는 사람은
연속적으로 행운이 찾아오는 것을 기대하는 대신 철저한 준비를 합니다.
반면 이를 능력으로 돌리는 사람의 자만심은 반드시 실패를 불러오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남해행 summury 

남해읍 하나로마트 주차하고 화장실갔다가, 
청해식당가서 수제비 또는 칼국수  4천원. 현금만 가능.


혹시나 청해식당 문 안열었으면 그 근처에 봉정식당.  생선구이 드시오~


갈때 중부고속도로 - 대전 - 비룡분기점 - 금산인삼랜드 - 진주 이렇게 가는게 제일 빠름.

중간에 덕유산 곤돌라 한번 타고 쉬었다 가도 되고.

진교IC에서 빠져서 남해대교로 넘어가는 길이 좋음.
네비는 아마 하동IC를 찍고 노량대교로 가라고 할 것임.



그리고, 올라올때는 섬진강변으로~ 하동 구례 쪽으로~ 

3월18일 시점. 산수유가 지금 만개. 매화마을,화개장터는 주차난이 심각하고. ㅋㅋㅋ 벚꽃은 이제 필거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어렸을 때부터
장남이라는 말을 듣고 자랐지.
맏형이니 반듯해야 한다고 했어.
동생들이 잘못된 길로 가면 맏형인 내가
이끌어줘야 한다는 말을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부터 들었지. 고백하자면 나는 그 말들이
힘겨웠어... 장남인 나는 어떡하나,
불안했다."


- 이은미의《유쾌한 랄라씨, 엉뚱한 네가 좋아》중에서 -


* '장남'이 드물어졌습니다.
외동아들들이 많아진 탓입니다.
동생들을 거느리며 맏형 노릇도 하고,
형제 사이의 갈등도 해결하고, 짐짓 책임감도
크게 느끼는 자리입니다. 그러나 장남이라고 해서
늘 반듯한 것도, 동생보다 늘 잘하는 것도
아닙니다. 힘들고 불안한 것도 많지만
그래도 장남 노릇을 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격의 핵심  (0) 2022.03.21
잘 넘어지는 방법  (0) 2022.03.18
남아 있는 시간  (0) 2022.03.16
감춰진 과녁  (0) 2022.03.16
'관심'과 '간섭'  (0) 2022.03.16
반응형

소통과 리더십은 같은 뜻이다
CEO로서 나는 회사 직원들과 소통하는데 시간의 70%를 사용한다.
많아 보이지만, 32,000명의 글로벌 직원을 생각하면
그들이 내 말을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1년에 평균 20분 정도 듣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20분은 정말 중요하다.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면 나의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겠는가?
- 닉 나가노 쓰요시, 도쿄 마린 사장


컨테이너 스토어의 멜리사 리프 회장은
‘소통은 곧 리더십이다. 두 가지는 같은 뜻이다’고 말했습니다.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효과적이며 사려 깊고, 예측 가능하게, 따뜻한 마음으로
정중한 소통을 매일 하는 것은 사업 성공을 위한 CEO의 의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