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말에는 마법 같은 힘이 있다. 혼자 하는 말은 머릿속에서 나와
우리 몸의 세포 속으로 스며들어 우리의 몸과 마음을 움직인다.
‘안 된다’, ‘싫다’, ‘못 하겠다’ 같은 부정적인 말은 불만을 부르고,
‘가능하다’, ‘좋아, 해볼 거야’ 같은 긍정적인 말은 행복을 가져온다.
오늘 우리가 무심코 주고받은 내면의 대화가 우리의 인생을 바꾼다.
- 이민규, ‘생각의 각도’에서

실제로 부정적인 단어를 많이 쓰면 불행해지고,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쓰면
더 행복하고,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 싶다면
일상에서의 말과 매일 사용하는 단어를 먼저 바꿔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자기 회의가 실은 자신을 꽃피우는 비밀무기가 된다.
제대로 다룬다면 자기 회의는 다양한 정보와 동기의 원천이 된다.
그 결과, 우리로 하여금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모든 일에 보다 잘 대비해 더 좋은 성과를 거두게 해준다.
또한 모든 결과에 의문을 갖게 해주며, 새로운 전략들을 실험하게 해주고,
또 언제든 문제해결 방식을 바꿀 수 있게 해준다.
- 리치 칼가아드, ‘레이트 블루머’에서


너무 강한 자신감은 자칫 자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자기 회의는 우리에게 경각심을 주고 동기를 부여합니다.
약간의 자기 회의, 적절한 자기 의심은 더 나은 성과,
더 많은 성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기 회의에 빠진 사람들이
어떤 일을 준비하고 행하는 과정에서 노력을 더 많이 쏟게 됩니다.
자기회의에 빠질 때 잘만 처신하면 현실 안주를 막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어떤 일을 대할 때 이건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과
이건 된다고 생각하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안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머리 속에는
안될 가능성,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만 들어찬다.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설령 1%의 가능성 밖에 없다 해도 붙잡고 늘어진다.
1%의 가능성도 없는, 말 그대로 100% 실패하는 일이라도
그 일을 해본 사람은 경험이 남는다.
- 이명박 전 대통령, ‘신화는 없다’에서


그러나 그것을 실천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아무것도 남지 않습니다.
1루에서 발을 떼지 않고는 2루에 당도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성과는 지식과 자원 투입량 보다 생각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어떤 분야에서든 호기심 없이는 혁신이 일어날 수 없고,
혁신 없이는 그 어떤 기업도 살아남을 수 없다.
이런 저런 것들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다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그 어떤 부적절한 것도 거부하고 더 나은 걸 찾는다는 의미다.
사람들은 이런 저런 것들에 호기심을 갖는 걸 도덕적인 의무로 여겨야한다.
- 돈 페퍼스


호기심이 많아질수록 동기부여가 더 되며, 동기부여가 더 되면 될수록
더 많은 걸 배우고 호기심 또한 더 많아지게 됩니다.
호기심은 살아가는 내내 도파민처럼 계속 주어져 기분을 더욱 좋게 만듭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호기심은 성인들의 인지기능과 정신 건강,
육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조직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은 채용, 해고, 승진 등 사람에 관한 것이다.
인사결정은 관심을 가장 덜 받는 부분이긴 하지만,
원 상태로 돌리기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다.
좋은 인재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 사람에 대한 능력은
매우 적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기에
지속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경쟁우위 근원 중 하나이다.
- 피터 드러커


가장 중요한 일, 쉬운 것 같아도 정말 어려운 일,
잘 하려고 해도 실패 확률이 높은 일, 잘되면 정말 좋은 일,
잘 안되면 조직의 실패와 직결되는 일,
그것이 바로 핵심 인재 확보를 포함한 인사에 관한 결정입니다.
실패기업과 성공기업을 가르는 한 가지만을 고르라면
저는 최고 인재를 확보해서 최대한 활용하고, 키워나가는 일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거대하고 무모하고 숨이 멎는 위험을 감수하라. 위험은 클수록 좋다.
압박은 연료로 생각하라. 압박은 계속 배고프게 만들고,
배고픔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압박이 없으면 모두가 패자로 머문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결코 대성공을 거둘 수 없다.
안전망을 버리고 차갑고 딱딱한 바닥에 부딪히는 공포에 직면해야 한다.
- 제임스 와트, ‘창업의 시대 브루독 이야기’에서


진 케이스 내쇼널 지오그래픽 의장은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두려워하지 않을 때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고, 두려움과 조심스러운 태도가
의사결정의 주요 요인이 될 때 가장 성과가 낮았다”고 말했습니다.
사회 평론가 스터트 터겔이 90세가 넘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후회하는지 묻자,
가장 많이 나온 대답 중 하나가 “위험을 충분히 감수하지 않고 안전하게 행동하느라
멋진 경험을 하지 못한 것”이라 답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