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반대 의견이 우리가 더욱 다양하게 사고하도록 자극하고,
편향적으로 사고하지 않게 도와준다.
반대의견이 발생하면 우리는 더욱 많은 정보와 대안을 고려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긍정적인 측면 뿐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도 고려하게 된다.
다수의 합의는 과대 포장되었고, 반대의견의 가치는 과소평가 되었다.
- 살런 네메스, ‘반대의 놀라운 힘’에서

‘우리는 건설적 충돌과 반대의견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를 회의실마다 걸기로 했습니다.
창의적 아이디어는 다수의견이 도전과 저항을 받을 때,
서로 다른 의견이 심하게 충돌할 때 생겨납니다.
건설적 충돌과 반대의견을 환영하는 이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인간은 다른 이들이 원하는 걸 충족시켜주기 위해 이 땅에 태어났습니다.
저에게는 최우선 순위의 일입니다.
그리고 그 덕에 친절, 겸손, 용기, 희생, 감사, 동기부여,
사회화, 배려 등을 꾸준히 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 조지 래블링, 미 NBA 코치

“일로 많은 업적을 쌓아올린 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만큼의 무언가를 주고 있다.
업적이란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 인간 세상에 대한 공헌이다.
아니, 꼭 그러해야 한다.” 파우스트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우리는 섬기기 위해 이 땅에 태어났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끔찍한 팀은 말이 없는 팀입니다.
뛰어난 팀은 말을 많이 하며 커뮤니케이션도 잘합니다.
코치들은 선수들에게 매일 두 가지를 알려줘야 합니다.
하나는 ‘잘하고 있다는 것(그리고, 그 이유도)’,
다른 하나는 ‘더 잘할 수 있다는 것(그리고, 그 방법도!)’
- 돈 메이어 코치

소통이 가장 중요합니다. 같은 이야기를 너무 많이 반복하다보면
듣는 사람도 말하는 사람도 지겨워지게 됩니다.
하도 자주 말해서 아무도 듣고 싶어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멈추면 안됩니다. 매일 매일 출근할 때 가슴을 설레게 할 비전,
그리고 잘하고 있다는 칭찬은
오버(over communication)하면 할수록 좋은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챔피언들이 갖고 있는 첫 번째 중요한 특징은 낙천주의다.
그 누구도 당신의 목표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리 높은 목표를 갖고 있지 못한 것이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은 퍼져간다. 접근 방식이 보다 헌신적으로 변하고,
동기부여도 더 잘되게 되며, 회복력 또한 강해진다.
- 밥 로텔라, 스포츠 심리학자

낙천주의는 놀랍도록 강력한 성과 예측 변수로 밝혀졌습니다.
각종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낙천주의자들은 비관주의자들에 비해 더 많은,
그리고 더 어려운 목표들을 세우며,
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어려움에 직면해서도 그 목표들에 더 집중하며,
각종 장애물도 쉽게 극복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사가 현장에 전화를 걸어
매출이 얼마나 되는지 등의 데이터를 달라고 하는지,
아니면 현장에서 ‘도와달라, 지원해달라’는 전화가
상사한테 오는지를 살펴보라.
만약 전자면 그 사람의 자리는 위험하다.
그 상사는 부하직원을 통제하려는 사람이다.
두 번째 사람이라면 안심해도 좋다.
관리직의 유일한 목적은 현장을 지원하고
게임에서 이길 수 있도록 제반 도움을 주는 것이다.
- 잭 웰치 회장, KBS 대담 프로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는 기업은 통제 대신 지원 분위기가 지배하는 조직입니다.
이런 조직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상관이 그들의 승리를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조직의 가치와 목적 달성에 헌신과 몰입으로 응답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비교 게임에선 늘 지게 돼 있다.
비교는 자기 회의감을 확대시키는 것 외에 다른 기능이 없다.
비교는 절대 우리에게 도움을 주지 못한다.
심지어 우리 삶에 가치를 더해주지도 못한다.
오히려 우리에게서 행복과 충만감을 앗아간다.
우리가 스스로를 비교해야 하는 건 단 하나,
과거의 나와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 뿐이다.
그럴 때 비로소 당신은 성공할 수 있다.
- 엘렌 스테인 주니어, ‘승리하는 습관’에서

타인과 비교하지도 말고 타인의 평가에 연연하지도 말아야 합니다.
삶에서든 사업에서든 우리는 다른 누구와 경쟁하는 것이 아닙니다.
늘 자신과 경쟁하는 것입니다.
남과 경쟁하는 대신 어제의 나와 경쟁하고, 나의 잠재력과 나의 현실을
비교하면서 조금씩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경주를 계속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