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블랙홀은 처음에 생각했던 것처럼 완전히 암흑인 것도,

일종의 ‘영원한 감옥’도 아니다.

블랙홀에는 다른 세계로 빠져 나올 수 있는 출구가 있다.

만약 당신이 블랙홀에 갇혀있다고 느낀다면

포기할 필요가 없다.

분명 출구는 있다.

- 스티븐 호킹 박사 


“인생의 고난은 동굴이 아니라 터널입니다.

언젠가는 끝이 있고 나가는 출구가 있죠.

그 고행을 이기면 예전보다 더 큰 행복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저는 암환자들에게 절대 절망해서는 안된다고 말하죠.

두려움이 골수를 녹여서 면역력을 떨어뜨리거든요.

암이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닙니다.

자신이 갖는 절망 때문에 죽는 거죠.”

암전문의이자 말기암 환자인

이희대 강남세브란스 암센터 소장의 말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역경을 견디지 못하고 포기해 버린다.

일이 잘되고 있을 때도 부정적인 일이 일어나면

바로 자신을 믿지 못하게 된다. 신념이 흔들린다.

이래선 성공에 도달할 수가 없다.

운이 좋다고 믿어야 운이 좋아진다.

- 니시다 후미오, ‘매일 매일 긍정하라.’에서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늘 긍정적으로 사고합니다.

긍정적 사고가 열정과 적극적 노력을 불러옵니다.

운을 느끼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믿기에

주위에 좋은 사람들이 몰려듭니다.

운이 좋다고 믿어야 성공이 따라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특정한 재능과 

운명의 부름을 혼동해선 안 된다.

특정한 재능이란 메뉴인의 바이올린,

에드워드 텔러의 물리학, 혹은 헨리 포드의 기계공학

같은 것이다. 재능은 단지 이미지의 한 조각일 뿐이다.

많은 사람이 운명의 부름을 받지만, 극소수만이 

선택을 받는다. 즉 재능 있는 사람은 많지만 

그 재능을 실현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 제임스 힐먼의《나는 무엇을 원하는가》중에서 -



* 자기 재능의 발견!

자기 운명의 부름을 받은 순간입니다.

그 부름을 받았지만 끝내 선택되지 못하고

피다만 꽃처럼 되고마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어떤 우연, 어떤 필연으로 누군가 좋은 사람과 만나 

타고난 자기 재능의 조각을 발견하고, 선택받고, 

실현하고, 마침내 화려하게 꽃피울 때

재능과 운명은 하나가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삶의 마지막 순간에

바다와 하늘과 별 또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지 마십시오.

지금 그들을 보러 가십시오.

-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인생수업’에서 


인간은 한번만 삽니다.(괴테)

여름 휴가철입니다.

소중한 것들을 미루지 말고 지금 당장 해보십시오.

이번 휴가엔 잠깐 시간을 내어

지금 안하면 가장 후회가 클 것들을 정리해 보면 어떨까요?



...

반응형
반응형

당신이 활짝 피어나면 나비는 절로 날아든다.

당신이 뛰어나면 하늘이 먼저 당신을 찾는다.

자아를 실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 궁극의 행복에 이르는 법은

마음을 활짝 열어 나비를 매료시키는 꽃이 되는 것이다.

결코 외부의 가치관에 끌려다니거나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기 위해 경쟁할 필요가 없다. 

- 리카이푸, ‘내게 남은 날이 백일이라면’에서


‘당신은 목적이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이 넓은 세상에 당신과 똑같은 사람은 없다.

이전에도 그랬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당신은 어떤 필요를 채우기 위해 생겨났다.

시간을 갖고 이것에 대해 생각해보라.’

L. 오스틴의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도전을 좋아하게 되어있다.

우리가 안전지대를 벗어나 한계를 밀어붙이고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할 때에만

몰입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 피터 디아만디스, ‘볼드’에서 


스스로 하고자 하면

우리의 뇌는 어려움도 즐거움으로 바꿔서 인식합니다.

웃으면서 스스로 도전하는 사람들은

일부러 악조건을 만들어서 즐기기도 합니다.

우리는 안주가 아닌 도전을 위해 태어났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