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누군가의 호의를 입으면 사람은 마음의 빚을 지게 되고,
그런 빚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한다.
빚을 진 사람의 입장에서
 마음의 빚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방법은
 받은 것 보다 더 큰 호의나 보상으로 갚는 것이다.
그것이 상호성의 법칙이다.
- 로버트 치알디니, ‘설득의 심리학’에서

리더십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입니다.
리더가 자신을 따르는 사람에게
 기대 이상의 대접을 해주면 감동을 낳게 됩니다.
리더는 늘 줄 것을 찾고, 먼저 베풀어야 합니다.
더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 먼저 줄 때
 상대의 진정어린 마음을 얻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비판 듣기를 정말 좋아한다.
이사회에서 내 의견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면
‘반대하는 사람은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한다.
나는 반대 의견 듣기, 토론과 논쟁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 알 왈리드 사우디 왕자, ‘물은 100도씨에서 끓는다’에서



반대는 갈등을 불러오기 쉽습니다.
반대는 사람을 위축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대의견은 말하기도 듣기도 불편합니다.
그러나 반대는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게 해줍니다.
반대는 더 나은 답을 찾게 해줍니다.
의식적으로 반대를 장려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혼자 힘들어하다가 우연히 이런 말을 만났습니다.
“남의 탓이라고 생각하면
우산위의 눈도 무겁고,
내 몫이라고 생각하면
등짐으로 짊어진 무쇠도 가볍다.”
- 김난도,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에서



남 탓을 하면 당장은 위로가 됩니다.
그러나 상황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뿐입니다.
내 몫이라고 생각하면 당장은 힘겨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상황은 개선되고,
나는 더욱 더 강한 사람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어떤 길을 갈 것인지는 내가 결정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당신의 가장 소중한 재산은 금융자산이 아니다.
당신의 가장 소중한 재산은 일터에 있는 당신의 사람들이고,
그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내용들이며,
그리고 협동할 줄 아는 그들의 능력이다.
- 로버트 라이 (Robert Reich)



신뢰할만한 조사에 의하면 직원 몰입을 뜻하는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지수 미국기업 평균은 33입니다.
한국기업은 15수준입니다.
그럼에도 미국 기업들은 직원 몰입을 위해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아직 인게이지먼트 개념조차 생소합니다.
오직 사람으로 승부해야할 우리 기업들의 분발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운을 내편으로 만드는 습관은
첫째,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기기,
둘째, 불안을 느낄 때도 도망치지 말고 제대로 마주하기,
셋째, 운이 좋은 사람과 어울리기,
넷째, 뚜렷한 목표와 꿈을 갖고 그것이 이뤄진 순간을 머릿속에 그려보기,
다섯째,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행복까지 포함된 긍정적인 바람을 갖기다.
이중에서 남의 행복을 바라는 것이
나의 행운을 가져오는 최고의 습관이다.
- 일본 뇌과학자 나카노 노부코 박사



운을 내편으로 만드는 방법은 분명히 있습니다.
흔히 운이 좋다고 하는 것은 습관을 훈련시킨 결과이며 이를 위해서
먼저 뇌 자체를 운이 좋은 뇌로 만들어야 합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뇌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운이 좋은 뇌로 만들 수는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실력주의가 자리 잡으려면
‘반대할 의무’가 존재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어떤 아이디어에 잘못이 있는데도
반대의견 없이 채택되면 비난받아 마땅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반대 의견을 내세울 때 불편해한다.
바로 이것이 반대의견이 선택사항이 아니라
의무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 에릭 슈미트,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에서



어떤 일이 정확하지 않거나
고객의 이익에 반한다고 생각할 때
누구나 반대할 의무가 있다.
모든 사람의 의견은 존중 받아야 한다.”는
내부 규정이 나와 있습니다.
직급에 관계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특히 반대의견을 편안하게 드러낼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