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아무리 가진 것이 많아도 남을 위해 쓰지 않으면
그 사람은 가난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비록 가진 것이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해도
남을 돕는데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쓸 줄 아는 사람은
참된 부자이지요.
- 최태섭 한국 유리 창업회장 (‘한국 경제를 만든 이 한마디’에서 인용)



다른 사람 보다 무언가 더 가진 사람은
그것이 힘이든, 돈이든, 지식이든 상관없이
그것을 사회와 이웃을 위해 봉사하는데 사용해야 합니다.
많이 가진 가난한 사람보다
적게 가진 참 부자의 삶이 더 아름답다는 것은
물을 필요가 없는 진리라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연 상태에서 사는 금붕어는 1만 여개의 알을 낳고,
어항 속에 사는 금붕어는 3-4천개의 알밖에 낳지 못한다.
왜 그럴까? 그것은 바로
 어항이 고통이라는 자연법칙의 진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고통이라는 밥과 상처라는 국을 먹지 못한다면 나는
 가을날 서리 맞은 들풀처럼 시들어 버리고 말 것이다.
- 정호승,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매화는 추운 고통을 겪은 다음에 향기를 발하는 법입니다.
딱지가 벗겨져야 새살이 돋게 됩니다.
조개는 살 속에 모래알이 박힌 고통을 이겨내고
 아름다운 진주를 만들어냅니다.
생선이 소금에 절임을 당하고 얼음에 냉장을 당하는 고통이 없다면
 썩는 길밖에 없습니다. 아픈 만큼 성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한 집단의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바로
가시밭길로 들어선다는 것을 뜻한다.
다른 개인들의 안락을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그 집단을 바른 길로 이끌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안락을 포기하는 누군가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적어도 지도자라고 불리기를 원한다면
그만한 희생쯤은 각오해야 한다.
- 김우중 대우 창업회장, ‘김우중과의 대화’에서


김회장은 믿고 따르는 리더가 되기 위해선,
첫째, 능력에서 리더십 발휘하기,
둘째, 모범이 되어야 하고, 리더가 먼저 희생하기,
셋째, 잘하면 인정을 해주고 기회를 더 주기를
실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대의를 위해 리더가 먼저 희생할 때
구성원은 헌신으로 보답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스로 할 수 없다는 생각은
망하는 근본이고,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생각은
만사가 흥하는 근본이다.
- 안중근 의사



고대 그리스 의학자 갈레노스는 “의사는
자신을 신뢰하는 사람의 병은 대부분 고친다”고 말했습니다.
대부분의 약물과 치료과정이 거둔 효과의 약 30%는
긍정적 암시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기 충족적 예언, 할 수 있다는 생각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멍가게를 운영하든 다국적 기업을 운영하든
기업의 건전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세 가지 주요 지표가 있다.
첫째는 직원 만족도(Employee Engagement)이고,
둘째는 고객만족도(Customer Satisfaction)이며,
셋째는 현금흐름이다.
- 잭 웰치의 마지막 강의



회사 건전성을 묻는 질문에 재무적 지표가 아닌
직원과 고객만족도를 우선 묻는 것에 주목해야 합니다.
또한 직원 → 고객 → 재무적 결과라는 순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습니다.
만족한 직원이 고객을 만족시키고
만족한 고객이 우리에게 이익을 가져다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보험처럼 성공을 위해서도 미리 뭔가를 지불해야 한다.
처음부터 다른 사람에게 먼저 이익을 안겨주어야 한다.
대가를 바라지 않고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러면 나중에 반드시 보상을 받게 되어있다.
- 사이토 히토리, ‘부자의 운’에서




대부분 사람들은 먼저 주는 대신 먼저 받으려고 합니다.
뭔가 대가가 있을 때 비로소 남을 도우려고 합니다.
사업도 마찬가지고, 개인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대가를 바라지 않고 먼저 주는 이가
더 많이 받고, 더 크게 성공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