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열등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끊임없이 분발했다.
그리고 나는 분발이 필요했기 때문에
나 자신이 보잘 것 없고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사람인 것으로 여겼었다.
다른 성악가들도 스스로를 그렇게 여긴다는 것을
나는 몰랐다.
- 소프라노, Frieda Hempel




수많은 재능과 능력은 부족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나를 죽이지 않는 역경은 나를 키운다’는 니체의 말처럼,
지나친 자조나 열등감에 빠지지 않는다면,
내가 아직 부족하고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하는 것은
쉽게 자만하지 않고 탁월함을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는
타고난 지능지수나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사회경제적 지위,
카리스마 넘치는 성격, 정규교육 보다는
평생에 걸쳐 배우는 자세에 있다.
- 하버드대 존 코터 교수
(‘운명’이라는 책에서 마쓰시타의 성공요인을 정리하며)



겸손한 태도, 열린 사고,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는 정신,
남의 말을 경청하는 능력,
정직하게 자신을 반성하는 태도와 직결된다.”고 말합니다.
마스시타는 “사람이 나이가 들면
더 이상 성장할 수 없으며 성장한다 해도
한계가 있을 거라고 단정하지 말라”고 일갈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하고 싶은 첫 번째 충고는
‘해도 된다’고 말하라는 것이다.
가능하면 된다는 말을 자주하는 것이 좋다.
해도 된다는 긍정의 말은
불확실성 시대에 일을 진척시키는 방법이다.
된다는 말은 새로운 경험으로 이어지며
새로운 경험은 여러분을 지식과 지혜로 이끌어 줄 것이다.
- 코네티컷 대학 총장 마이클 호건



전문성과 창의력을 가진 직원에게
‘안된다’는 말은 죽음이나 다름없습니다.
‘안된다’는 말이 많아지면 점점 움츠러들어 어느 순간
아무런 도전도 못하는 불구의 신세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안된다’는 말 대신, ‘해도 된다’, ‘해봐라’가 지배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불길이 무섭게 타올라도 끄는 방법이 있고,
물길이 하늘을 뒤덮어도 막는 방법이 있으니
 화는 위험한 때 있는 것이 아니고 편안할 때 있으며
 복은 경사가 있을 때 있는 것이 아니라
 근심할 때 있는 것이다.
- 매월당 김시습

 


 

어둠이 더할수록 새벽은 가까이 다가옵니다.
만개한 꽃은 질 일만 남게 됩니다.
좋은 일이 있다고 쉽게 들뜨지 않고,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낙담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 그것이
 인생이라는 마라톤을 달려가는 최상의 방법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결함은 초기에 고치기는 쉽지만 발견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초기에 발견하거나 처리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함을 발견하기는 쉬우나
 수정하기는 어렵다.
- 마키아벨리, ‘군주론’에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페덱스의 1:10:100 법칙을 보내드립니다.
메르스 사태에서 제대로 배울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페덱스에는 1:10:100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불량이 생길 경우 즉각 고치는 데는 1의 원가가 들지만,
책임소재나 문책등의 이유로 이를 숨기고
 그대로 기업의 문을 나서면 10의 원가가 들며,
이것이 고객 손에 들어가 클레임으로 되면
100의 원가가 든다는 법칙이다.”

 

 

반응형
반응형
야구에서는 3할만 쳐도 최고의 타자라고 한다.
10번 타석에 올라 그중 안타를 세 번만 쳐도
최고의 타자로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왜 리더들은 직원들에게 5할 이상을 바라는지 모르겠다.
나는 2할 이상만 해도 늘 감사를 표한다.
- 마루한 한창우 회장



실패를 용인하고 도전을 북돋우다 보면
나중에 만루 홈런도 치게 됩니다.
반면 실패가 두려워 주저하다 보면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됩니다.
유독 한국 사회의 약점으로 인정되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실패를 장려하는 문화를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