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대중을 관찰하고, 그 반대로 해라.
대중들이 한 방향으로 간다면
 그 반대 방향이 훨씬 더 큰 기회로 통한다.
- 유명 방송인 겸 사업가, 제임스 칸의 아버지가 준 조언

 

 


남과 같은 방향으로 가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편안함을 좇다 보면 평범함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고,
시간이 흐를수록 불편함이 더해집니다.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당장 지금은 불편해 보이지만 남과 다른 길을 가라고
조언할 수 있는 부모가 많이 나오길 바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직장생활에서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세 가지다.
첫째, 다른 사람이 요구하고 기대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일을 해라.
둘째, 사람들이 당신과 어울리고 싶어 할 정도로
 긍정적인 기운을 내뿜어라.
셋째, 호기심을 갖고 배우는 것을 멈추지 마라.
- 잭웰치 GE 전 회장


새겨들을 만한 조언입니다.
상사의 기대 수준을 뛰어넘는 주도성과 성과 창출,
동료들이 함께 일하고 싶어할 정도의 인간적 매력,
무엇보다도 급변하는 세상에 맞춰
 끝없이 학습하고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모습을 갖춘다면
 누구나 성공하는 직장생활을 해나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간에게는 고통이 필요하다.
인간은 고통을 이해하면서
 육체가 일시적인 존재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고통과 실패가 없다면
 기쁨, 행복, 성공을 무엇과 비교하겠는가?
- 레프 톨스토이, ‘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에서

 

톨스토이는 주장합니다.
“인간은 작은 문제들로 균형을 잃는다.
반대로 커다란 문제는 인간을 영혼의 삶으로 인도한다”고.
시련이 클수록 깨달음도 크다는 지혜를 배웁니다.

 

 

 

 

 

.

반응형
반응형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한다면 밖으로 나가 걸어라.
천사는 산책하는 사람에게 속삭인다.
 (If you are seeking creative ideas,
 go out walking.
 Angels whisper to a man when he goes for a walk.)
- 레이먼드 인먼(Raymond inmen)


정동일 교수 저, ‘사람을 남겨라’에 나오는
 통찰력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미국 유명 작가 할 볼랜드 역시 “모든 산책은 발견이다.
산책을 통해 우리는 시간을 가지고 사물의 전체를 보게 된다”고
 산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바쁠수록 잠시 짬을 내
‘밖으로 나가 걷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간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너무 쉽게 당연 심리에 빠진다는 것이다.
보이는 게 당연하고, 걷는 게 당연하고,
배불리 먹을 수 있는 게 당연하다.
이런 것들을 모두 당연한 것처럼 생각한다면
 우리 마음속에 감사의 마음이 일어날 리가 없다.
당연 심리는 인간성을 말살시키고 영혼을 병들게 한다.
- 이시형, ‘둔하게 삽시다’에서


수십조에 이르는 세포가 문제없이 정상 작동되어야만
 건강한 아침을 맞이할 수 있는데도
 우리는 이를 너무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 기적에 가까운 일입니다.
그동안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기 시작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불행 끝, 행복 시작으로 가는 비법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환경 탓이라는 말은 두 번 다시 하지마라.
환경이 존재하는 이유는 바로 나를 돕기 위해서다.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내 성장에 기여한다.
처한 환경을 탓하지 말고 나 자신을 탓하라.
내가 바로 나의 주인이다.
- 제임스 알렌

 


똑같이 주어지는 환경을 누구는 발전의 원인으로,
누군가는 안되는 이유로 돌립니다.
스스로 똑바로 선 사람은
 나쁜 환경도 약이 되게 만드는 반면,
환경 탓에 익숙한 사람은
 좋은 환경에선 오히려 자만의 싹을 틔웁니다.
결국 외부조건이 아닌 나 자신에게
 모든 것이 달려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