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당신은 모든 지시를 내리고 동기부여 연설을 할 수 있지만,
조직 내 나머지 사람들이
당신이 매일 매일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면,
그들도 최선을 다하지 않을 것이다.
- 콜린 파월

 

 


조직원 전체가 최선을 다하지 않고서는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리더가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구성원들은 결코 헌신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리더의 말이 아닌 행동을 봅니다.
결국 탁월한 조직은 리더의 헌신에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갈등은 자유다. 왜냐하면
 현대라는 악명 높은 불확실성의 세계에서는
 갈등을 통해 비로소 의견의 다양성과 각기 다른
 인간들의 이해관계와 희망이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랄프 다렌도르프 (구나르 미하엘, ‘중역의 리더십’에서 인용)

 

갈등 전문가인 게그하르트 슈바르츠는
 갈등이 “차이를 줄여주고, 변화를 보장하며,
공통점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갈등을 회피하려 하지만,
조직에서 갈등은 생기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회피한다고 해결되는 것도 결코 아닙니다.
갈등의 긍정적인 면을 바라보고 적극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완벽한 사람보다
 약간 빈틈 있는 사람을 더 좋아한다.
실수나 허점이 오히려 매력을 더 증진시킨다.
이를 ‘실수효과’라 한다.
- 캐시 애론슨

 


‘인간에게 완벽을 바라는 것은
 인간이기를 포기하라는 것과 같다.
실수란 불가피한 것이다.
그러니 솔직하게 인정한 뒤,
밤에 발 뻗고 편히 자는 편이 낫다.
때로 실수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불완전한 존재여서
 좋은 점이 또 있다.
남들이 나의 불완전함을 알면 기뻐한다는 사실이다.’
노먼 커즌즈의 글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는 어린애와 어른을 나이가 아닌,
나눠주는 자(Giver)인가, 받는 자(Taker)인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갓난아기는 하루 종일 달라고만 한다.
성장하면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독립한다 해서
 모두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노부모에게 필요한 것을 주기 시작할 때 비로소 어른이 된다.
결국 어른은 주는 존재다.
- 조벽 교수 인터뷰 중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신입사원에게 왜 대기업에 들어왔느냐고 묻자,
다들 높은 봉급, 대기업 후광,
좋은 배우자를 얻는 것을 그 이유로 꼽았다.
이렇게 얻으려고만 하는 한 그들은 어린아이다.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든, 내가 무엇을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어른이다.
그래야 인재로 인정도 받고 리더가 될 수 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 예찬  (0) 2015.04.17
실수효과를 즐기자  (0) 2015.04.16
퍼줄수록 넘쳐나는 것  (0) 2015.04.14
반복해서 말하면 행동이 달라진다  (0) 2015.04.13
교육받은 사람이라 말할 수 있으려면  (0) 2015.04.10
반응형


누군가에게 미소를 한번 지어주고
격려의 손길을 한번 건네고
칭찬 하는 말 한마디를 하는 것은
자신의 양동이에서 한 국자를 떠서
남에게 주는 것과 같다.
즉, 남의 양동이를 채워주는 일이다.
희한한 것은 이렇게 퍼내주고도
제 양동이는 조금도 줄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윌리엄 미첼
.
.
.
.
.


성공학 대가 지그 지글러는
자신의 성공 비결을 다음 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도록 타인을 도와주면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누리며 살 수 있습니다.”
친절, 사랑, 감사, 칭찬은
퍼줄수록 넘쳐나는 성공의 묘약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비슷하게 구성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첫 번째 집단에게는 이 실험이
‘공동체 게임’에 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집단에게는 ‘월스트리트 게임’이라고 알려줬다.
첫 번째 그룹의 70%가 초반부터 협동적인 게임을 했으며,
두 번째 집단은 70%가 비협조적이었다.
- 라인하르트 K. 슈프렝어

 

 


흥미로운 실험입니다.
‘우리는 협력을 중요시 한다’고 지속적으로 말하는 것만으로도
팀웍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비전, 가치, 사명, 지향하는 문화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 하다보면
조직은 어느새 그렇게 바뀌게 됩니다.
말과 일치하는 리더의 행동이 전제조건임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