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생물은 모두 다르다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성이야말로 생명을 존속시키는 방법이다.
환경은 항상 변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유전자가 균일하면 절멸할 수도 있다.
다양성을 가진 생물 집단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
다양성이 없으면 죽음에 이르는 것이 생명의 본질이다.
- 요시모리 다모쓰, ‘바이오 사이언스 2025’에서


나와 다른 것은 자칫 감정적 불편함을 가져올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와 같은 것과만 친해지고 끼리끼리 모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성의 폭이 커질수록 그 집단의 경쟁력은 높아집니다.
다양성을 추구하고, 나와 다른 것일수록 더 가깝게 지낼 수 있는
포용성을 높이는 것이 확실한 미래 경쟁력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당신도 마흔이면
이미 당신의 강박적인 면이
상당 부분 고착되어 있음을 알고 있을 것이다.
바뀌지 않는 것은 바뀌지 않는다. 빠졌던 구멍에 또 빠진다.
그렇지만 무조건 손을 놓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 자신을
파악하고 분석한 뒤 조금이라도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물론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하지만 집중된 노력을 한다면 30대에 안고 있던
강박적 문제와 증상을 60대, 70대에는
어느 정도 놓아버릴 수 있지 않을까.

- 조은강의《마흔 이후 멋지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중에서 -

* 나이 드는 것이
부끄러워질 때가 있습니다.
같은 실수, 비슷한 잘못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머리가 굳어지고 생각이 고착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한 번 빠졌던 구멍에 다시 빠지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특히 40대를 넘겨 같은 구멍에
빠지면 만회가 어렵습니다. 과거에 했던 실수가
오히려 인생을 농익게 하는 재료가 되도록
30대는 20대 때를, 40대는 30대 때를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벼룩을 뚜껑이 있는 상자에 넣어두면
벼룩이 뛰어오르는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벼룩 스스로 그 정도만 뛰어오를 수 있도록
조절된 상태에 익숙해져 버렸기 때문이다.
누구나 생각하는 만큼 뛰어오를 수 있다.
- 출처 미상


어린 코끼리를 쇠사슬로 기둥에 묶어두면
나중에 다 자란 후에도 달아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결국 외부요인이 아닌 자기 자신이 스스로를 제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상상력이 세상을 지배합니다.
그리고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새로운 세계를 창출합니다.
생각을 고치는 순간 세상은 달라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덕은 겸손이 아니고는 이루지 못한다.
자신을 볼 때는 단점을 살피고, 남을 볼 때는 장점을 살핀다.
미처 이루지 못한 작은 선을 가지고 남의 큰 선에 견준다.
이 때문에 자신의 태만함을 자책하고 그 덕을 스스로 힘써,
자기가 남만 못하다고 말하니, 성현은 이것으로 겸손을 길렀다.
- 판토하, ‘칠극’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덕을 닦는 사람은 남이 알아주는 것을 경계할 뿐 아니라,
스스로 알아주는 것을 더 더욱 경계한다.
감추는 것을 귀하게 여길 뿐 아니라, 아주 잊어버리는 것을 더 귀하게 친다.
나의 덕을 남의 눈에 보이지 않게 하였더라도 다시금
자신의 눈에서도 숨겨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제일 중요한 일 외에
몇 가지 더 해야 할 일이 있다 하더라도
세 가지 이상을 생각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일이 세 가지 이상이라는 것은
중요한 일이 하나도 없다는 말과 같다.
- 짐 콜린스, Good to Great 저자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저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은 없고 능력은 부족하다’는 말이
실감나는 하루 하루의 연속입니다.
피터 드러커도 ‘제일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
그 다음 일은 생각하지도 말라’고 역설하고 있습니다.
바쁠수록 가장 중요한 것부터 한 가지씩 차분 차분히 풀어나가는 것이
삶의 지혜가 아닐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에 따라 꿈에 대한 정의나 이미지가 다르겠지만,
저에게 꿈은 목표로 삼아야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꼭 되어야 할 모습이에요.
그러니까 목표가 아니라 의무죠. 꿈을 위해 산다는 건 멋진 일이에요.
나답게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꿈을 갖는 것이 중요해요.
- 테라오 겐 발뮤다 창업회장, ‘상식의 틀을 깨라’에서


“꿈이 의무가 되는 것이 오히려 마음도 편하고 즐거워요.
이런 의무는 부담스럽게 느껴지지도 않아요.
‘나라면 할 수 있다’라는 전제에 긍정적인 기운이 담겨 있기 때문이죠.
꿈이 단순히 하고 싶은 희망인 경우라면 행동이 좀처럼 따라주지 않을 수도 있지만
꼭 해야만 하는 일이 되면 저절로 행동이 따르게 되거든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