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당도서관 도서대여
열두띠 태교동화,사진으로 익히는 아기 돌보기,아빠의 3분육아

반응형
반응형

성공은 출발점에서 얼마나 더 왔느냐 하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큰 꿈을 가지라는 압박이 있다.

오히려 꿈만 무턱대고 크면 실패에서 회복하기 어렵다.

내가 얼마나 나은 사람이 됐느냐에 집중해야 한다.

- 소니아 소토마요르 (히스패닉 최초 미연방대법관)


출발점에서 얼마나 더 왔는지, 어제보다 얼마나 더 성장했는지,

얼마나 더 좋은 사람이 되었는지로 성공을 측정해야 합니다.

남과의 경쟁이 아닌, 어제와의 경쟁을 꾸준히 계속하다 보면

이루지 못할 것은 없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잠자리에 들기 전과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목표를 소리 내어 읽어라.

무의식은 당신이 잠들었을 때나 일에 몰입할 때도

끊임없이 목표를 되새기고 그 목표가 이루어지도록 뇌에 명령한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나 기회를 포착하게 한다.

- 랩 무어, ‘레버리지’에서


목표를 소리 내어 읽으면 무의식에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어

집중력과 목표의식을 고양시키게 됩니다.

목표에 집중하지 못하면 뇌가 부정적인 뉴스나 정보,

조잡한 드라마에 현혹되어 목표 실행을 방해합니다.

도파민 공급을 막아 공허감, 슬픔, 무기력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이 세상에 무엇을 하러 왔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그 소명은 자기 자신만을 생각해서는 발견할 수 없습니다.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도와주고 함께 살아가는 것은

자연의 섭리입니다.

나로 인해 세상이 좀 더 좋아질 수 있다는 것,

최선을 다하되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서 하는 것,

참으로 흥미진진하지 않습니까?

- 김순권 옥수수 박사


한번 밖에 주어지지 않는 소중한 내 인생!!

무엇을 위해 이 땅에 왔는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먼저 생각하고 살아내야 합니다.

남을 위해, 남과 더불어 살아갈 때

행복과 성공이 함께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고 믿는 이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3% 증가했다.

더 중요한 것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 가운데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지 않다고 생각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사람처럼 사망 위험률이 낮았다.

즉 스트레스 그 자체보다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 켈리 맥고니걸


미국 심리학자 켈리 맥고니걸이 8년간의 실험에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스트레스가 만병을 불러온다는 부정적인 생각은

어서 빨리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야겠다는 강박을 불러오고,

결국 몸 여기저기에 이상신호를 가져오게 됩니다.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타깝게도 실제로 도전하지 않으면 자신조차 자신의 잠재력을

알지 못한 채 지나가게 된다.

나는 경험으로 사람이 때로는 바보 같아야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는 것을 몸소 깨달았다.

내 체력은 혹은 능력은 이 정도라고 한정 짓는다면

잠재력은 거기서 끝나고 만다.

- 자이언트 회장 킹 리우, ‘자전거 타는 CEO’에서


자신이 가진 무한 잠재력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쉽습니다.

일단 질러 보면 자신도 놀랄만한 잠재력이 있음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해보지 않고는 당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프랭클린 아담)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