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아빠가
서럽게 우시는 모습을 17살 때 처음 봤다.
아빠는 여동생인 전주 고모와 얘기를 하시다가
참고 있던 울음을 토해내셨다. 아빠 옆에서 잠들었던
난 화들짝 놀라서 깼다. 더 당황스러웠던 건 아빠를
하염없이 울게 만든 주인공이 엄마였다는 거다.
평소에 엄마에게 애정보다 잔소리와
무덤덤함으로 일관하시던 아빠여서
그 떨리는 목소리에 집중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이은미의《유쾌한 랄라씨, 엉뚱한 네가 좋아》중에서 -


* 시골 교회 목사였던
저의 아버지도 이따금 우셨습니다.
교회 기도실 근처를 지나노라면 아버지께서
꺼억꺼억 울음을 토해내는 소리를 듣고 의아해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아버지가 왜 우셨는지 그때는
잘 몰랐으나 이제는 압니다. 저도 아버지가 되어
있고 어느덧 할아버지가 되어 있으니까요.
아내 때문에 울고, 자식 때문에 울고,
옹달샘 때문에 웁니다. 우는 것이
기도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켜켜이 쌓인 시간들  (0) 2021.12.31
'제가 교육 전문가는 아닙니다'  (0) 2021.12.30
세계적인 음악학교의 '괜찮은 모토'  (0) 2021.12.30
일당백  (0) 2021.12.30
곧 터널 끝인데...  (0) 2021.12.30
반응형

"새로운 곡을
창조할 수 없다면 그냥 연주만 해라.
연주를 할 수 없다면 누군가를 가르쳐라."
이는 내가 클래식 피아니스트로서
누군가를 가르치기 시작했던
이스트만 음악학교 같은
음악학교들의 모토다.


- 크레이그 라이트의《히든 해빗》중에서 -


* 작곡가, 연주자, 지도자.
모두가 다 중요하고 다 필요합니다.
자신의 재능과 특기가 창조 쪽인지, 연주 쪽인지,
가르치는 교사나 지도자 쪽인지에 따라 그 역할이
나뉠 뿐입니다. 다만 '창조자가 아니면 연주자가
되고, 연주자가 아니면 지도자가 되라'는 말은
음악이 아닌 다른 분야에 적용해도 좋을
괜찮은 모토가 아닌가 싶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가 교육 전문가는 아닙니다'  (0) 2021.12.30
아빠가 우는 모습  (0) 2021.12.30
일당백  (0) 2021.12.30
곧 터널 끝인데...  (0) 2021.12.30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0) 2021.12.24
반응형

하나가 하나인가.
한 사람이라고 똑같은 한 사람이 아니다.
일당백. 어떤 사람은 한 사람이 백 사람의 일을 한다.
한 개라고 똑같은 한 개가 아니다. 작고 크고, 가볍고
무겁고, 낮고 높고, 얕고 깊고, 한 개라도 천 가지의
다양함이 있다. 하나의 결과가 하나의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니다. 복합적 상호작용.
여러 보이지 않는 수많은 원인이
실타래처럼 뒤엉켜 있다.


- 박영신의《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중에서 -


* 한 사람의 발명가가 세상을 바꿉니다.
한 사람의 좋은 지도자가 세상을 바꿉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한 사람을 뒤따르며 과학을
발전시키고 산업을 일으킵니다. 한 사람이
그 한 사람에 머물지 않습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울려 복합적 상호작용을
일으킬 때 엄청난 위력을 발휘합니다.
천 가지 만 가지 총천연색의 다양한
빛깔을 빚어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가 우는 모습  (0) 2021.12.30
세계적인 음악학교의 '괜찮은 모토'  (0) 2021.12.30
곧 터널 끝인데...  (0) 2021.12.30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0) 2021.12.24
물고기 비늘  (0) 2021.12.23
반응형

지금 혹시 내 인생이
왜 이렇게 꼬이나 싶어 괴롭다면 무엇이 나를
힘들게 하고 있는지 종이에 하나씩 하나씩 써봐.
써놓고 나서 그것이 정말 그렇게 힘들어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 보는 거야. 별것도 아닌 일을 가지고
지나치게 고민하는 것도 자존심 상하는 일 아닌가?
인생길을 달리다 보면 누구나 터널을 만나게 돼 있어.
터널이 어둡다고 멈춰 선다면, 그보다 어리석은 일이
어디 있겠어. 조금만 지나면 곧 터널 끝이 나오는데
말이야. 꼼수 부리며 피하고 싶어? 갓길은
위험하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살기를 바라.

- 양순자의 《어른 공부》중에서 -


* 일이 어렵고 힘들면
그것을 헤쳐나가기보다는 피해 가고 싶어서
이리저리 머리를 굴립니다. 터널이 어두워도 그냥
지나가야 하듯이, 삶이 힘들더라고 그냥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다 보면 곧 터널 끝에 이릅니다. 그렇듯 힘든 삶도
어느새 지나가고 옛이야기할 때가 있겠죠. 요즘 갈수록
더욱 힘들어지는 세상이지만 기쁜 성탄을 맞으며
더욱 긍정적인 감사의 마음으로, 웃으며
좋은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적인 음악학교의 '괜찮은 모토'  (0) 2021.12.30
일당백  (0) 2021.12.30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0) 2021.12.24
물고기 비늘  (0) 2021.12.23
그 '좋은 말'을 어떻게 찾았을까?  (0) 2021.12.22
반응형

제374회 욕심이 번뇌를 만든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SsWdUwr4UonSCAVH-k0_Lg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답답하면 물어라" 지치고 힘든 사람, 마음이 힘든 사람에게 문답형식으로 진행되는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채널입니다.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어느덧 유쾌, 상쾌, 통쾌함을 느끼게 됩니다. 행복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그렇습니다. 누구나
삶을 살고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저분이 참 좋은 분이었는데 왜 저렇게 되었을까?"
라는 생각이 살며시 드는 안타까운 때가 있을 겁니다.
이유는 간단하죠. 어느 순간 성찰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성찰에는 절대 끝이 없습니다.
끝이 있어서도 안 되고요.

- 이문수의《누구도 벼랑 끝에 서지 않도록》중에서 -


* 사람을 대하면서
깜짝 놀랄 때가 더러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변한 모습을 보게 될 때입니다. 좋은 쪽으로 변화라면
다행인데 너무도 실망스러운 모습으로 변해 있을 경우
크게 놀라게 됩니다. 그런 모습은 자기관리 실패를
뜻합니다.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성찰은
사람을 아름답게 변화시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당백  (0) 2021.12.30
곧 터널 끝인데...  (0) 2021.12.30
물고기 비늘  (0) 2021.12.23
그 '좋은 말'을 어떻게 찾았을까?  (0) 2021.12.22
교황도 똥을 싼다  (0) 2021.1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