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기 무늬의 교본은 자기 머리에 있어.
그걸 모르고 일평생 남이 시키는 일만 하다가
처자식 먹여 살리고 죽을 때 되면 응급실에서
유언 한마디 못하고 사라지는 삶...
그게 인생이라면 너무 서글프지 않나?
한순간을 살아도 자기 무늬로 살게.


- 김지수의《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중에서 -


* 왕골로 만든 돗자리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무늬가 없는 무문석과 화려한 무늬가 있는 화문석.
우리의 삶은 자기의 돗자리를 짜는 것과도 같습니다.
오직 생존을 위해 아무런 꿈과 보람 없이 산다면 그것은
무문석과 같은 삶이고, 역경과 고난이 있더라도
자신만의 무늬로 짜여지는 삶은 아름다운
화문석과 같은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  (0) 2021.12.07
사랑한다고 말하자  (0) 2021.12.07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나는 지점에 있다  (0) 2021.12.07
얼마나 짧은가  (0) 2021.12.03
'잘' 나이 든다는 것  (0) 2021.12.01
반응형

인생은 곱셈이다.
아무리 기회가 와도 내가 제로(0)면 결과는 제로 인 법.
하지만 내가 준비가 되어 있다면
기회는 우리에게 곱빼기로 더 나은 삶을 선물해 줄 것이다.
잊지 마라.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나는 지점에 있다는 걸.
- 아네스, ‘프린세스 라 브라바’에서


‘행복과 노력은 비례한다. 대개 행복하게 지내는 사람은 노력가다.
게으름뱅이가 행복하게 사는 것을 보았는가!
노력의 결과로써 오는 성과의 기쁨 없이는
누구도 참된 행복을 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수확의 기쁨은 그 흘린 땀에 정비례하는 것이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좋은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한다고 말하자  (0) 2021.12.07
자기만의 무늬  (0) 2021.12.07
얼마나 짧은가  (0) 2021.12.03
'잘' 나이 든다는 것  (0) 2021.12.01
우표 없는 기도  (0) 2021.11.30
반응형

얼마나 짧은가.
사랑하기만도 너무 짧은 인생.
나는 누구를 미워하고 있는가?
나는 누구를 욕하고 있는가?
나는 누구에게 짜증 내고 있는가?
나는 누구에게 화를 내고 있는가
나는 누구에게 섭섭해하고 있는가?


- 박영신의 《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 중에서 -


* 인생은 짧습니다.
100년을 산다 해도 우주의 시간으로 보면
한순간입니다. 사랑하며, 행복하게 살기에도
시간이 모자랍니다. 하물며 누구를 미워하고
짜증 내며 살기에는 시간이 너무 아깝습니다.
짧은 인생을 길게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건강하게 사랑하고 감사하며
찰지게 사는 것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만의 무늬  (0) 2021.12.07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나는 지점에 있다  (0) 2021.12.07
'잘' 나이 든다는 것  (0) 2021.12.01
우표 없는 기도  (0) 2021.11.30
몸부터 따뜻하게  (0) 2021.11.29
반응형

자기가 선택한 인생을 마치 남이 선택해준 것처럼 불평하면
스스로도 불행하고 옆 사람도 지칩니다.
감사하며 살 때 행복이 왔어요.
우리가 당연히 누리는 것들에 새롭게 감사하고, 새롭게 감탄하는,
그래서 당연하지 않은 듯 사는 것이 행복이에요.
- 이해인 수녀, ‘이해인의 말’에서


감사하려고 마음먹으면 세상에 감사할 것 천지입니다.
불평하려고 마음먹으면 세상은 불평꺼리로 넘쳐납니다.
감사도 불평도, 행복도 불행도 모두 다 내가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instagram.com/p/CW5QH7AhQhR/

아무나 만나지마.

 

살면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질 수 있어.

 

파리 뒤를 쫓으면

변소 주변이나 어슬렁 거릴거고

 

꿀벌 뒤를 쫓으면 

꽃밭을 함께 거닐게 된다잖아.

 

 

 

 

반응형
반응형

자연인의 아내이었다가
어부의 아내이었다가
자유로운 영혼이었다가

지금은
당신의 마지막 여인이고 싶습니다

시인으로
다시 태어나
만인의 연인이고 싶습니다


- 이영월의 시집《하늘길 열리면 눈물의 방》에 실린
  시〈숲의 미로〉전문 -


* 인류는 두 부류로 나뉩니다.
연인이 있는 사람과 연인이 없는 사람.
연인의 범주에는 아내, 남편, 친구도 포함되고,
첫 연인과 마지막 연인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어찌 되었건 자신의 삶에서 '마지막 연인'은
특별합니다. 죽어서도 사랑하고 교감하는
영혼의 동반자가 될 테니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