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 중 완전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모두 부족하기에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우리에게 숨겨진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이는 실로 괴롭고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리고 바로 이때 통렬한 공허함과 갈망,
좌절, 그리고 분노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E.T 홀(인류학자)


우리 모두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잠재력을 깨닫지 못하고,
개발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을 뿐입니다.
욕구 5단계이론으로 유명한 매슬로우는
‘우리가 가진 능력은 쓰여지기 위해 아우성 치고 있다.
우리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때만
이러한 내면의 아우성을 잠재울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들 뿐이다.
 - 프리드리히 니체 -

"다음에는 꼭"이라는 약속을 남기고 돌아왔다. 1500여km를 에어콘도 나오지 않는 차와 함께한 빗속 레이스. 다음엔 더 많은 것이 보일 거라는  사실을 믿어 의심치 않으며 이번 여행 마무리. 많이 다닐수록 보이는 것이 많다.


반응형
반응형
경영이라고 하면
큰 것을 다스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과는 언제나
작은 정성과 관심이 모여서 이룩되는 것이다.
大事는 가볍게 小事는 무겁게 생각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경영의 요체다.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 ‘호암의 경영철학’에서


작은 일을 소홀히 취급하는 동안에
큰 일을 그르치게 되는 것이 다반사입니다.
천리 제방도 개미구멍 하나로 무너집니다.
리더는 큰 일 뿐만 아니라,
작은 일에도 능해야 합니다.
작은 것이 곧 큰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언가가 부족하거나 필요하다고 느낄 때마다
먼저 원하는 것을 주어라.
그러면 그것이 푸짐하게 돌아올 것이다.
이것은 돈과 미소, 사랑, 그리고 우정에 대해서도 같다.
많이 베풀수록 많은 축복이 찾아오는 법이다.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는 의미심장한 대목이 등장합니다.
‘힘세고 포악한 종자는 멸망하고
착하고 배려하는 종자는 생존한다’는 대목이 그것입니다.
먼저 베풀고, 많이 베풀고, 또 베푸는 사람이
결국 더 많은 것을 얻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월은 피부를 주름지게 하지만,
열정을 저버리는 것은 영혼을 주름지게 한다.
(Years wrinkle the skin,
but to give up enthusiasm wrinkles the soul.)
-더글라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열정에는 마법 같은 힘이 있습니다.
열심히 일하면 일할수록 운이 더 좋아집니다.
인간은 무한한 열정을 쏟는 일에서는 거의 반드시 성공합니다.
열정은 평범함과 훌륭한 성취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무슨 일에 열중하고 있는 사람은 아름답고 또 젊어 보입니다.
정열이 식으면 그 사람은 급속도로 퇴보하고
무력하게 되어 버립니다.

Passion has a magical quality to it.
The harder you work, the luckier you become.
When people pour infinite amounts of passion into their work,
they are bound to succeed.
Passion is what differentiates the exceptional from the mediocre.
A person who devotes themselves entirely to
their work will appear younger and more attractive.
When passion fades, the person will eventually become
decadent and incapacitated.


반응형
반응형
자기 앞에 놓여진 고통은
스스로 치유하고 고쳐야 할 병이 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의사의 처방전이 환자의 회복을 위한 것이듯
신이 내린 고통은 그 사람의 도덕적인 건강을 회복하고,
인류애를 느끼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환자가 의사의 처방을 받아들이듯이
아무런 불평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고통이 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처럼,
고뇌는 우리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수정해야 할 부분을 지적해주기 위해 꼭 필요한 것입니다.
톨스토이는 ‘고뇌의 기쁨을 모르는 사람은
아직 참된 인생을 시작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주장합니다.
고통이 없으면 우리는 성장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