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기계 학습이 다루는 문제 의 하나로, 어떤 환경 안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현재의 상태를 인식하여,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개요
환경은 일반적으로 유한상태 마르코프 결정 프로세스(MDP)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강화 학습 알고리즘은 동적 계획법과 깊은 연관이 있다. MDP에서 상태 전이 확률(state transition probabilities)와 포상은 확률에 따른 값일 수도 있고, 이미 결정되어 있는 값일 수도 있다.

알고리즘



응용
강화 학습이 원하지 않는 행동을 명시적으로 수정하는 지도 학습과 다른 점은 온라인 수행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강화 학습은 아직 조사되지 않는 영역을 탐험하는 것과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이용하는 것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 탐험과 이용 사이에 있는 트레이드오프는 Multi-armed bandit과 같은 문제에서 알아 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바풀, 세계 최초 ‘자동답변’ 에듀테크 기술 개발 2016-09-2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3711273


에듀테크 시대 새로운 공부문화를 창조하는 ㈜바풀은 전 세계 최초로 사진 속 수학문제를 인식해 같은 문제와 유사 문제를 찾아 풀이와 답변을 제공하는 ‘자동답변’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바풀은 바로풀기 서비스를 통해 모르는 문제가 생기면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질문하고 답변 받는 무료 공부 Q&A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자동답변’ 에듀테크 기술은 지난 6년 간 바로풀기 서비스를 통해 구축한 400만 개 가운데 답변이 달린 100만 개의 DB를 검토하여 똑같은 질문을 찾아서 풀이와 답변을 보여주는 기술이다. 

똑같은 질문이 없을 경우, 수학문제의 수식과 텍스트(한국·영어)를 인식해서 유사한 질문의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문제풀이를 도와준다.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자동답변’ 기술은 세 가지 기술이 융합되어 얻어진 결과다. 

먼저 ‘사진 후처리 기술’은 사용자가 촬영한 수학 문제로부터 각종 노이즈를 제거하고, 회전각과 비틀림 각을 보정해 문제 사진이 수평이 되도록 만든다.

이렇게 보정된 사진은 20여 단계로 구성된 독자적인 OCR(OpticalCharacter Reader/Recognition, 광학적 문자 판독) 기술을 통해 사진 속의 텍스트와 수식을 분리하고 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6년간의 서비스에서 얻어진 각 학년별 수학 단원 및 개념 맵을 활용함으로써 DB로부터 해당 문제의 답변, 그리고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사 문제를 제공한다. 

지금까지의 OCR기술은 한글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언어인 영문 환경에 한해서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고, 수학 문제에서는 수식으로만 이루어진 간단한 계산문제에 대해서만 풀이를 제공하는 수준이었으나, ㈜바풀은 세계 최초로 한글과 수식이 혼합된 환경에서도 그 둘을 각각 분리하여 사진 형태의 문제를 분석해 3초 정도의 시간이면 답변을 찾아준다. 

㈜바풀의 ‘자동 답변’기술을 통해 얻어진 학생의 정보는 KnowledgeTracing이 가능하며, 학생의 학습이력 관리 및 수준에 맞는 맞춤 강의와 선생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문제를 바탕으로 메타 콘셉트 데이터를 구축해서 문제 하나가 갖고 있는 여러 개념들을 묶어주고 분류할 수 있게 되어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풀 김영재 CTO는 “바풀의 ‘자동답변’ 신기술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지 않고 공부에 대한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다”며 “㈜바풀은 교육과 IT를 접목한 에듀테크 신기술로 모든 학생들이 동등한 교육환경 속에서 양질의 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반응형
반응형

챗봇, 혁신적 저널리즘 출구될까


http://www.bloter.net/archives/258321


디지털 미디어 업계에는 매년 새로운 키워드가 등장한다. 소셜, 빅데이터, 알고리즘,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전에는 거의 들어보지 못했던 단어들이 었다. 그런데 올해는 특이하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단어가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했다. ‘메신저’다.


1990년대 중반부터 우리가 사용해 오던 서비스다. 메신저는 간단한 질문이나 확인, 회의나 작업 조정, 즉석 친교 만남 조정, 친구나 가족과 지속적인 연락 등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면서 큰 인기를 끌어왔다. 이러한 가운데 스마트폰 보급률이 2015년을 기준으 로 83.2% 1에 이를 정도로 대중화되면서 모바일 메신저의 활용이 급속히 늘어났다. 이를 입증하듯 우리나라의 대표적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경우 지난 1분기 기준으로 한 달 평균 적극 이용자수가 4,117만 명 2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국민 중 80% 이상이 매월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새롭다고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사람이 이미 사 용하고 있는데 왜 또 메신저인가? 메신저 뒤에 붙은 ‘챗봇(chatbot)’ 때문이다. 챗봇이란 전자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채팅과 자동으로 사람이 하던 일을 수행하는 기계인 로봇에서 한 글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용어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동으로 대화를 나누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페이스북의 차세대 중심 ‘챗봇’


[사진1] 페이스북은 일반 챗봇 개발자들을 위해 인공지능 엔진 ‘위트닷에이아이’를 제공하기도 했다. ‘위트닷에이아이’를 통한 챗봇 학습 화면.


챗봇은 사람이 아닌 일종의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는 ‘(로)봇’이 자동으로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이용자의 질문에 실시간으로 응답 하면서 다양한 기능 활용을 유도한다. 이용자의 질문을 분석해 자동으로 답변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챗봇은 메신저 플랫폼을 활용한 일종의 가상 비서라고도 할 수 있다. 메신저라는 개인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통해 대화를 나누기 때문에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개인의 미세한 맥락까지 파악할 수 있어 새로운 수익원에 항상 목말라 하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챗봇은 “모바일에서 앱 이후 가장 중요한 것”(Hadfield, 2016. 3. 17.) 3이라는 전망까지 나올 만큼 크게 주목받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도 ‘드럼프봇(DRUMPF Bot)’으로 명명된 챗봇 4을 개발해 유권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을 정도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라인, 위챗, 텔레그램 등 글로벌 IT 회사를 비롯한 거의 대부분의 메신저 서비스 회사들이 챗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전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이 현지 시각으로 지난 4월 12일 ‘F8 2016’ 콘퍼런스를 통해 메신저 챗봇 플랫폼을 선보인 이유가 자연스럽게 설명된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이번 F8 기조연설에서 “메신저 챗봇앱은 앞으로 5년간 페이스북의 중심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플랫폼은 이용자 사이의 거래에 필요한 구성 요소와 규칙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Eisenmann, et al., 2009) 5. 플랫폼의 구성 요소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이 모두 포함되며 규칙은 플랫폼 참여자들 사이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플랫폼 제공자들은 다양한 기술적 요인들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들과 규칙을 만들어 배포하고 이를 지지하는 집단 및 개인이 등장하면서 점차 플랫폼이 확산된다. 페이스북이 지난 4월 F8에서 발표한 것 중 하나가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의 구성 요소들과 규칙 6이었다.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의 구성 요소 중 핵심은 이용자들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송신/수신 API 7다. API는 일반적인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혹은 규칙을 말한다. 이 인터페이스에 따라 작성하면,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채팅창에 펼쳐지는 대화 내용 형식이나 버튼 모양도 설정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플랫폼이 없던 시절에도 우리는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주고받았다. 이번에 발표한 송신/수신 API는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자동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로)봇, 즉 챗봇을 위한 것이다.


챗봇은 인공지능 기술과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자동 대화형 소프트웨어다. 이용자는 사람이 아닌 봇과 대화를 나누지만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것과 같은 친숙한 느낌을 가지면서 인터넷 검색, 뉴스, 쇼핑, 결제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봇이 사람처럼 대화를 나누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인공지능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된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일반 개발자나 규모가 작은 곳에서는 관련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가 쉽 지 않다. 페이스북은 이들을 위해 자신들의 학습 데이터에 기반한 봇 인공지능 엔진 기술을 함께 제공 한다. ‘위트닷에이아이(wit.ai)’ 8라는 봇엔진이다.


아직은 뉴스 추천 서비스 수준


[사진2]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을 이용해 실제 서비스를 실시 중인 CNN 페이스북 뉴스 챗봇의 대화 화면. 아직은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지는 못하고 질문을 단순 검색 문장으로 이해하여 답변하는 수준이다.


봇엔진은 인공지능 채팅봇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베타 수준인 위트닷에이아이 봇엔진은 충분한 데이터가 없는 초기 개발자가 [사진1]과 같이 규칙에 따라 ‘대화(story)’를 진행하고 몇몇 대화 들이 쌓이면 그것을 기계가 학습하도록 유도한다. 따로 코딩이 필요하지도 않다. 예를 들어, “한국언론 진흥재단에 어떻게 가나요”라는 질문을 입력하고, “1호선 시청역 4번 출구로 나와 프레스센터 쪽으로 50m가량 가세요”라는 답변을 입력한다. 이 대화들에 등장하는 각 개체명은 장소, 기관 등 기준에 따라 등록된다. 이렇듯 대화들을 학습한 내용에 따라 봇 엔진은 봇이 다음에 할 말을 예측한다. 이 예측에는 위트닷에이아이가 이미 구축해 놓은 데이터들이 결 합되기에 새로 봇을 만드는 개발자들이 너무 많은 학습을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후 실제 사용 내용에 따라 봇 엔진은 봇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고 수정한다. 복잡한 규칙을 만들지 않고 간단한 규칙 몇 개만 만들어서 봇을 만들면 위트닷에이아이가 기존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챗봇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물론, 영어에 한정돼 있다.


디지털 시대 내내 항상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 언론사들도 챗봇에 주목하고 있다. 언론사들은 챗봇이 독자 참여도 향상, 수백, 수천만 명에 이르는 메신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독자층 개발, 독자와 새로운 방식으로의 연결, 커뮤니티 건설 등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있다(Barot & Oren, 2015, p. 19). 9 독자적인 챗봇 플랫폼을 구축한 텔레그램의 봇 스토어에는 현재 뉴스 분야 10에만 120개의 챗봇이 등록돼 있다. 2016년은 ‘뉴스의 봇화(the botification of news)’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다(Barot, 2015). 11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은 아직 베타 버전으로 완전한 수준은 아니다. 페이스북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SNS이기에 페이스북 메신저 플랫폼 기반의 챗봇 개발에 나서려는 언론사들은 많지만, 실제 서비스를 실시 중인 곳은 CNN 외에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CNN 챗봇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CNN 페이스북 페이지에 방문해서 메신저 창을 클릭하면 된다.


[사진2]는 PC 화면 12을 통해 CNN 챗봇과 대화를 나눈 장면을 갈무리한 것이다. ①번 화면을 통해 챗봇에 대해 안내한 후 설정을 유도한다. 설정이 끝나면 ②번 화면과 같이 대화 방법을 소개한 후 주요 기사(Top stories), 추천 기사(Stories for you), 문의(ASK CNN)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한다. 이용자는 제시된 선택 사항을 클릭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③번 화면은 ②번 화면에서 주요 기사 선택 후 나타난 화면으로 주요 기사를 보여준 후 기사 내용 전체를 읽을 것인지 요약문을 읽을 것인지를 선택하게 한다. 요약문은 채팅 창 내에서 대화 형식으로 보여주지만, 전체 기사 읽기는 링크를 통해 다른 창에서 읽게 한다. ④번 화면은 원하는 내용이 없어서 ‘트럼프(trump)’라는 단어를 입력한 결과다. 입력된 대화 내용과 맞는 기사와 요약문을 제시한다. 트럼프의 경우는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기에 요약문을 제시하지만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가능한 관련된 기사 등을 호출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present’라는 일반명사를 입력할 경우 CNN 챗봇은 “이 내용과 관련해 당신이 가장 읽을 것 같은 기사(Based on what you asked for, here’s a story I thought you might want to read)”라고 말하며 관련된 기사의 링크를 제공한다. 하지만 단어의 의미를 이해한다기보다는 단순한 검색 수준이다. “너는 누구냐(who are you)”고 말을 하면, “당신에게 가장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추천하고 싶다. 당신을 위한 기사가 여기 있다(I hope I’ll be able to assist you as much as possible. Here’s a story for you)”며 기사를 추천한다.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보다는 단순 검색 문장으로 이해하여 답변하는 것이다. 즉, 사람과 같은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고 있지는 못하다. 물론, 충분한 대화의 양 이 쌓인 후에는 더욱 자연스러워질 것이겠지만 아직은 제한적 수준이다. 현재 수준에서 페이스북 뉴스 챗봇은 대화 형식의 뉴스 추천 서비스에 가깝다 고 할 수 있다.


이 또한 그냥 지나갈 수도…

[사진3] 조선일보(왼쪽)와 한겨레신문(오른쪽) 페이스북 페이지 대화 화면.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사람 운영자가 답변한 사례들로, 운영자들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일일이 대응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재중’과 같은 형식적 대화만 하거나 불러도 대답이 없을 수밖에 없다.


[사진3]은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챗봇이 아닌 사람으로서 운영자가 답변한 사례들이다. 굉장히 소수일 것으로 추측되는 운영자들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일일이 대응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부재중’ 과 같은 형식적 대화만 하거나 불러도 대답이 없을 수밖에 없다. CNN의 경우도 챗봇을 개발하기 전에는 평균 답변 기간이 하루 정도였다. 제한적이지만, 챗봇이 훨씬 나은 이유다. 하지만 향후 뉴스 분야에서 챗봇이 얼마나 혁신적 모델로 자리잡을지를 전망한다는 것은 현 시점에서 사실은 불가능하다. 인공지능 기술은 분명히 발전해 나갈 것이지만, 당장 1~2년 내에 챗봇이 뉴스 시장을 장악한다는 식의 전망은 아직 섣부르다. ‘이 또한 지나간’ 사례들을 그동안 충분히 봐 왔기 때문이다.


‘챗봇 저널리즘’ 13이라는 말까지 등장하고 있지만, 그 진화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구글 글래스가 등장했을 당시 유행했던 ‘글래스 저널리즘’이라는 말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용자 개인의 맥락을 분석한 맞춤형 광고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그것이 언론사가 아닌 플랫폼의 수익원으로만 돌아간 사례들도 우리는 꾸준히 봐 왔다. 게다가 챗봇의 핵심은 인공지능이지만 언론사가 독자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갖춘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또한 지 나갈지 모를’ 새로운 기술을 무조건 따라갈 것이 아니라 미디어의 관점에서 기술의 방향을 비판적으로 지켜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인공지능 챗봇 ‘테이(Tay)’를 선보였다가 16시간 만에 운영을 중단한 사례 14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

반응형
반응형


네이버·라인,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 공개  http://www.bloter.net/archives/273017


Clova clova.ai 공식 통합형 인공지능 플랫폼 Clova

 

네이버와 라인이 인공지능 플랫폼 확장을 위해 힘을 합친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주식회사 대표는 3월1일(현지시간)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 기조연설에서 양사 합작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를 공개했다. 클로바(Clova)는 ‘CLOud Virtual Assistant’의 약자로, 음성인식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의미한다.


클로바는 ‘프로젝트J’에서 내놓은 서비스다. 프로젝트J는 네이버랩스와 라인의 인공지능 연구소가 공동 연구개발을 하기 위해 꾸려졌다. 이번에 공개한 클로바는 프로젝트J가 네이버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아미카’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내놓은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 1월26일 진행된 2016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프로젝트J의 기본적인 구상과 개발 방향은 24시간 언제나 사용자와 함께하는 인공지능 가상비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앞으로 클로바를 양사 단일 서비스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비스 총괄 역시 프로젝트J를 총괄한 신중호 라인CGO(글로벌경영총괄)가 이어간다. 이번 합작은 양사 인공지능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한 것으로 보인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을 활용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간이 오감을 활용하는 것처럼, 인공지능도 결국 인간의 오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했다. 기존 아미카가 주로 음성인식 서비스를 했던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감각을 인지하는 것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클로바는 ▲인간의 오감에 해당하는 ‘클로바 인터페이스’▲인간 두뇌에 해당하는 ‘클로바 브레인’▲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클로바 인터페이스 커넥트’▲콘텐츠·서비스 연결로 ‘클로바 브레인’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클로바 익스텐션 키트’ 등으로 구성된다.


클로바 브레인은 인공신경망 기계번역(NMT)와 자연어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 아미카가 음성 언어 이해, 대화관리, 응답 생성의 단계로 기술을 구사했다면, 클로바 브레인은 클로바 인터페이스로 인지된 상황을 자동 분석하고 이에 맞는 결과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네이버와 라인은 올 여름 클로바가 탑재된 자체 스마트폰 앱 출시를 시작으로 AI 스피커 ‘웨이브’ 등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소니, 다카라 토미, 윈클 등 각 분야별 전문기업과 파트너십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협의 사항은 없으며 앞으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블로터>와 통화에서 “오늘 발표는 기존에 연구하던 AI플랫폼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클로바의 명칭을 공개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성을 얘기하기 위함”이라며 “자세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 기업용 영상회의 서비스 ‘미트’ 출시













.



반응형
반응형


https://ifttt.com/




iTunes : https://itunes.apple.com/us/app/ifttt/id660944635?mt=8


Google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fttt.ifttt&hl=ko



Applets bring your favorite services together to create new experiences.


Over 360 apps work with IFTTT including Twitter, Google Drive, Weather, Instagram, Email, and devices like Amazon Alexa, Nest, Philips Hue, and your iPhone.


Applets 는 좋아하는 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IFTTT는 Twitter, Google Drive, Weather, Instagram 등 360개가 넘는 앱과 이메일, 그리고 Amazon Alexa, Nest, Philips Hue, Android 등의 기기와 호환됩니다.


간단한 스위치로 Applets를 켜세요.

• 음성과 Amazon Alexa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컨트롤

• The New York Times와 ESPN 같은 매체의 최신 소식을 지속적으로 받기

• 매일 아침 기상 예보 알림 수신

• 슈퍼 근처에 있을 때, 룸메이트에게 메시지 보내기

• 지능적인 자동화 가정 보안 경보로 보안 유지

• 소셜 미디어 최적화

• 모바일 기기의 모든 스크린샷을 특정 앨범에 저장

• 중요한 파일, 사진, 연락처를 Dropbox나 Google Drive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 백업 

• 집에 도착할 때, 온도 조절 장치를 최적의 온도로 설정

• 모든 Instagrams를 Twitter 사진이나 Pinterest 핀으로 게시

• 현재 위치에 따라 이벤트 수행

• 이밖에 수천 가지의 응용 사례가 있습니다!


매주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인기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Spotify, YouTube, Google Calendar, Tumblr, Medium, Pocket, Square, Ebay, Giphy, Automatic, LIFX, Fitbit, Withings, littleBits, OnHub by Google, Evernote, Reddit, Digg, Skype, Slack, LINE, MailChimp, Salesforce, Todoist, 외 수백 가지 서비스. 


큐레이트된 컬렉션을 탐색하여 다음 대상을 위한 Applets를 찾으세요.

• 집, 사무실, 자동차

• Android

• 우주 탐험

• 소셜 미디어 사용 방법 개선


좋아하는 서비스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세요. ifttt.com/discover에서 Applets의 강력한 기능을 확인하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