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대가 불쾌한 기분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모든 것이 불쾌해지는 것이다.
먼저 유쾌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라.
그러면 유쾌한 기분이 절로 솟아날 것이다.
이것이 평화와 행복을 가져오는 방법이다.
- 데일 카네기



남 탓, 환경 탓에 익숙한 사람은 늘 불행한 삶을 살게 됩니다.
외부 조건이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내가 먼저 행복하면 행복할 조건이 만들어집니다.
먼저 웃으면 복이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일,
곧 정신적인 활동을 하찮게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영혼을 살찌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일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일이다.


- 레프 톨스토이의《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중에서 -


* 정신은 보이지 않습니다.
영혼은 더구나 보이지 않습니다.
도무지 보이지 않으니까 마음이 메말라 가는지,
영혼이 병들어 가는지도 모르고 살아갑니다.
그래서 마음의 눈이 늘 밝아야 합니다.
그래야 정신이 보입니다.
영혼이 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내리는 날  (0) 2016.07.08
달관(達觀)적인 태도  (0) 2016.07.07
살리는 카리스마  (0) 2016.07.05
38번 오른 히말라야  (0) 2016.07.04
커피 향기  (0) 2016.07.04
반응형

삶 속에 갈등도 있고 즐거움도 함께 있고 조화와 부조화도 공존한다.
음악에도 화음과 불협화음이 있다.
그런데 불협화음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화음의 아름다움도 모르게 된다.
불협화음 다음 들려오는 화음이 더욱 아름답게 느껴지는 법이다.
- 시모어 번스타인 (세계적 피아니스트)



즐거움과 조화만 있는 삶은 자칫 무미건조함을 부르게 됩니다.
갈등과 부조화가 있을 때
조화와 즐거움이 더욱 빛나게 됩니다.
부조화와 갈등을 무조건 배척하고 미워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포용하고 더불어 하나 되기 위한 노력을 할 때
더 큰 가치가 만들어집니다.





잘 생긴 나무는 금방 베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못 생긴나무가 산을 지키고 오래간다는 말처럼 우리는 다양성 속에 살아갑니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우리모두가 개성을 가지고 살아가면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천지 만물은
자신만의 카리스마가 있다.
카리스마는 생명과 함께하는 정신적 기호라
할 수 있다. 우리에게는 강력한 카리스마가 필요하다.
카리스마는 긍정적 향상심과 강력한 에너지로
주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강력한 카리스마는
우리 인생에 행복과 성공을 가져다주고
인격에 무한의 매력을 더해준다.


- 타오 샹윈의《인생에 세 번 기회를 만나다》중에서 -


* 카리스마도
살리는 카리스마가 있고
죽이는 카리스마가 있습니다.
생명과 생명을 이어주고, 조직과 조직을 연결해
좋은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살리는 카리스마'입니다.
한 사람의 인생도 살리지만, 그 한 사람이 속한
공동체도 살려내는 따뜻한 카리스마,
무한한 매력의 리더십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관(達觀)적인 태도  (0) 2016.07.07
눈에 보이지 않는 일  (0) 2016.07.06
38번 오른 히말라야  (0) 2016.07.04
커피 향기  (0) 2016.07.04
'수고했어, 이젠 조금 쉬어'  (0) 2016.07.04
반응형

좋은 기업은 어떻게 되느냐?
직원들을 덜 고생시키면서 그들의 뛰어난 역량을 잘 활용해
좋은 상품을 만들고 이걸 잘 팔아서 이윤을 내면 된다.
그러려면 직원들을 잘 보살펴야 하죠.
결국 이건 의무이고 사명인 거예요, 돈을 벌고 싶다면 말이죠.
- 이탈리아 토즈 그룹, 디에고 델라 발레 회장

 

사랑하고 보살필 때 직원들은 몰입과 헌신으로 보답합니다.
대접을 받아 본 직원들이 고객들을 사랑하고 대접할 줄 알게 됩니다.
직원 사랑과 직원 행복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다른 무엇보다도 최우선적으로 추구되어야 하는 핵심가치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만약 당신이 뭔가를 시작할 때
미쳤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는다면, 그건
당신이 그만큼 혁신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증거다.
미쳤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고서
세상을 뒤흔드는 건 불가능하다.
미쳤다는 건 칭찬이다.
- 린다 로텐버그, ‘미쳤다는 건 칭찬이다.’에서

 

 

남들이 쉽게 동의하는 아이디어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습니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기업가들은 적어도 한번은
정신이 나갔다는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입니다.
현상을 타파하는 새로운 뭔가를 시작할 때 듣는
‘제 정신이 아니다.’는 말은 일종의 자부심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