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개발자가 기획자를 쓸모 없다고 오해하는 이유

live.lge.co.kr/it_casting_3/

 

개발자가 기획자를 쓸모 없다고 오해하는 이유 | | LiVE LG - LG전자 미디어플랫폼

개발자들이 기획자에 대해 가지는 편견 중 하나가 바로 '기획자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실제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면 기획자에 대한 불만의 글들을 종종 볼 수 있답니다. 기획

live.lge.co.kr

개발자들이 기획자에 대해 가지는 편견 중 하나가 바로 ‘기획자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실제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면 기획자에 대한 불만의 글들을 종종 볼 수 있답니다. 기획자의 기획물이 개발자 본인이 생각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등 개발자 본인이 기획을 해도 훨씬 잘 만들 자신이 있다 등 다양한 의견을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기획자들은 개발할 때 귀찮은 작업들을 대신해주는 사람들이라는 의견과 개발자 본인이 기획해도 훨씬 좋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하는 개발자까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개발자들의 눈에 비춰진 기획자들의 모습입니다. 바로 ‘뜬구름 잡는 사람들 또는 귀찮은 일을 대신해 주는 사람들’이라는 것이죠. 오랜 기간 개발자 생활을 하였던 저도 왜 이런 생각을 하는지 공감하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단순히 눈에 보이는 것이 기획 업무의 전부가 아니다라는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일어난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이런 개발자들의 오해를 풀기 위해 기획자들의 기본적인 업무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③ 개발자들이여, 기획자가 하는 일은 생각보다 많다

 

기획(企劃)은 한자로 ‘도모할 기’와 ‘그을 또는 계획할 획’의 조합으로 ‘계획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로 기획을 Plan이라고 하지 않고, Planning이라고 합니다. 한 마디로 기획이란 ‘Why to do?’와 ‘What to do?’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써 ‘왜 할 것인가?’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 계획은 ‘How to do?’ 즉,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입니다. 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기획이고,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이 계획입니다. 즉, 기획을 다시 한번 더 정의하면 기획자의 의도가 반영된 계획을 도모하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기획의 분야는 너무나 많습니다. 이 중 오늘은 개발자들과 함께 협업하는 분야인 서비스 기획(인터넷, 앱) 분야에 한정해서 기획자의 업무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서비스 기획이란 고객에게 웹과 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하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업무들에 참여하고, 내부 의사결정을 내립니다. 물론 회사의 규모에 따라 다음의 업무에 대한 절차와 복잡도는 줄어들 수도,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 업무

위 도표에서 보듯이 서비스 기획자는 크게 시장조사, 서비스 기획, 서비스 개발,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운영의 단계에 참여하게 됩니다. 많은 개발자들은 서비스 개발 단계의 서비스 기획 1차 이후의 단계에서 기획자들과 협업하지만 기획자들은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시장조사부터 전략 수립, 회사 내 의사결정 수렴 및 서비스 개발 이후의 단계까지도 많은 영역에서 다양한 부서의 담당자들과 함께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회사 규모가 작은 경우라면 한 두 사람이 모든 영역을 담당할 수도 있고, 또는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해당 서비스가 커지고, 참여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분명 각각의 단계가 서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진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을 단순히 서비스 기능을 정의하고, UI를 그린 후 개발자에게 넘기는 활동이라고 너무 좁게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물론 개발자들이 보는 결과물은 서비스 기획서, 요구사항 정의서가 전부인 것처럼 보이더라도 이런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내∙외부 조직들과 많은 커뮤니케이션과 협조를 끌어내는 것까지 숨어있는 활동이 많다는 것을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때로는 기획자들이 구현 불가능한 터무니 없는 기능을 개발해 달라고 해서 화가 나십니까? 비현실적인 일정과 이미 시장에 있는 다른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또는 많은 서비스들의 장점을 마구잡이로 합쳐서 그저그런 서비스처럼 보입니까? 하지만 제대로 된 기획자라면 기획서 한 페이지, 기능 하나를 정의하더라도 이 서비스를 쓰게 되는 고객의 입장에서 어떤 가치와 어떤 영향력을 줄 것인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가끔은 그 결과물이 개발자의 눈에는 초라하게 보일지라도 기획자를 존중하고, 고객의 입장에서 서로 같은 방향을 두고 협업한다면 분명 의미 있는 서비스가 탄생할 것입니다. 성공적인 프로젝트,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해 기획자의 업무를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이해해 보심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PostgreSQL로 시작하는 SQL 코딩입문 Part 1 - 기본 편
국내도서
저자 : 박상용
출판 : 엔코아 2019.11.27
상세보기
PostgreSQL로 시작하는 SQL 코딩입문 Part 2 - 활용 편
국내도서
저자 : 박상용
출판 : 엔코아 2019.11.15
상세보기
Node.js 교과서
국내도서
저자 : 조현영
출판 : 길벗 2020.07.25
상세보기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
국내도서
저자 : 정송화,김영선,전성민
출판 : 제이펍 2018.06.11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자바 두명 타세요" 개발자 인력시장에 비유한 SW채용박람회

news.mt.co.kr/mtview.php?no=2020120310284718257

 

"자바 두명 타세요" 개발자 인력시장에 비유한 SW채용박람회 - 머니투데이

한 IT 공공기관이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온라인 채용박람회를 진행하는 가운데 안내 포스터에 SW개발자를 새벽 인력시장 인부에 비유한 이미지를 사용해 물의를 빚...

news.mt.co.kr

한 IT 공공기관이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온라인 채용박람회를 진행하는 가운데 안내 포스터에 SW개발자를 새벽 인력시장 인부에 비유한 이미지를 사용해 물의를 빚고있다.

판교창업존 운영기관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진행하는 '스타트업DNA-623 오픈런' 온라인 채용박람회 포스터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후원하는 이 행사는 스타트업들로부터 구인신청을 받고 이후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가 지원서를 제출하면 온라인상에서 매칭해주는 채용이벤트다.

하지만 좋은 취지와 달리 행사 안내포스터에 마치 영등포나 구로 새벽 인력시장에서 개발자를 픽업하는 듯한 이미지를 사용해 구설에 올랐다. 특히 "자바 두명 타세요"라는 문구는 이미 수년전부터 개발자들의 열악한 처우를 건설인부의 속칭 '노가다'(건축 및 토목노동자를 의미하는 일본어 유례 속어)에 비유한 사례로 회자돼 온 것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열풍으로 AI(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SW시스템 개발 수요가 폭증하면서 개발자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현실과도 맞지않다는 지적이다.

한 SW개발자는 "개발자 채용박람회라하면서 국가가 나서서 저런 인력시장 그림을 갖다 붙이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니냐"면서 "오픈런이라는게 도망가라는 뜻인가? 개발자를 조롱하는 것같다"고 질타했다.

개발자 커뮤니티 오키의 노상범 대표는 "나름 유머라고 생각한 모양인데 담당자의 IT에 대한 인식수준이 저것밖에 안되나 싶다"고 꼬집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도 이같은 지적이 일자 포스터 이미지를 교체했다. 센터 관계자는 "개발자들을 모신다는 의미로 비하할 의도는 없었는데 잘못 전달된 것 같다"면서 "일부 지적이 있어 어제 바로 포스터 이미지를 교체했다"고 밝혔다.

 

반응형
반응형

네이버 클라우드 구인 중

https://recruit.navercorp.com/naver/job/detail/developer/?annoId=20004739&classId=&jobId=

youtu.be/YjuDIOk56FE

 

NAVER Career 모집소식

더 가치있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NAVER의 발걸음에, 지금 당신을 초대합니다. [2020 네이버 경력개발자 공개채용]

recruit.navercorp.com

 

youtu.be/PuFS-SBtV3w

 

반응형
반응형

웹 개발자 로드맵 2020

각 노드 선택시 영상 노출

 

coggle.it/diagram/XfeRbWj7xy3dsEX8/t/web-development-in-2020

 

Web Development In 2020 (Backend (Things to Learn for your…

Web Development In 2020

coggle.it

www.youtube.com/watch?v=SBB1YtwODT0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