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리움은
연필로 나무 한 그루 그리는 일이다
선 하나 그으면
앞서 그린 선이 지워진다
잎사귀 그리면 줄기가 지워지고
둥치 없어진 자리엔
흰 구름이 들어선다
무한정 그려도 제대로 그릴 수 없이
늘 한 군데가 모자란 짝짝이 눈이거나
콧구멍이 없는 기형의 얼굴,
못 갖춘 마디
마디와 마디 사이


- 김정숙의 시집 《구석을 보는 사람》 에 실린
  시 〈마디〉 전문에서 -

* 꽃을 떨궈야 열매가 달리고,
열매를 떨궈야 씨앗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가 소멸되어야 다른 하나가 탄생합니다.
선과 선, 마디와 마디 사이에 무궁한 그림이
펼쳐지고 자연의 원리가 작동합니다.
모든 것은 마디가 있고, 틈이 있어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 줍기  (0) 2025.02.07
각방 쓰는 부부  (1) 2025.02.06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0) 2025.02.04
이유 없이 고통을 겪는 사람들  (0) 2025.02.03
나는 나를 좋아한다  (0) 2025.01.31
반응형

그리움

 

몸은 멀고 마음은 날고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0) 2024.02.26
땅바닥을 기고 있는가, 창공을 날고 있는가?  (0) 2024.02.23
마음이 편안해질 때까지  (0) 2024.02.22
배꼽  (0) 2024.02.21
반응형

그리움

 

보고파라 보고파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의 행복  (0) 2023.11.28
나쁜 습관이 가져다주는 것  (0) 2023.11.27
양치기와 늑대  (0) 2023.11.24
산을 넘어간다는 건  (0) 2023.11.23
한 송이 사람 꽃  (0) 2023.11.22
반응형

자기 상처에 빠져
허우적거릴 필요는 없지만
상흔이란 아름답고 또 아름다운 것이다.
상처가 없으면 그리움도 없나니
그리움을 위해서라도 가끔은
상처를 받아라.


- 소강석의 시집《사막으로 간 꽃밭 여행자》에 실린
  시〈상처〉중에서 -

* 상처.
요즘 가장 많이 접하는 말입니다.
상처 때문에 허우적거리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마땅한 해답은 없습니다.
그저 견디고 기다리는 길밖에 없습니다.
아픈 상흔이 아름다워질 때까지.
그리움으로 다가올 때까지.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0) 2023.10.20
아버지의 손, 아들의 영혼  (0) 2023.10.19
'건강한 피로'  (0) 2023.10.17
그대, 지금 힘든가?  (0) 2023.10.16
소확행  (0) 2023.10.16
반응형

날이 지날수록 그리움은 쌓이고
아무도 내 소식을 기다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내가 지나치게 그리움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
그걸 모르는 나는 참 바보다
하지만 그게 또 삶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끼는 저녁
그대여 내가 돌아가는 날까지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 정법안의 시집《아주 오래된 연애》에 실린
시〈길 위에서 보내는 편지〉중에서 -


* 그리움에 안부를 전할 때
가장 먼저 묻는 것이 '건강'입니다.
실연, 좌절, 절망, 실패, 사고가 터졌어도
건강하면 만사 오케이,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건강해야 다시 만날 수 있고, 건강해야 안심하고
돌아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시 만나는
그날까지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그 말 밖에 더 할 말이 없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을 잃으면 길이 찾아온다  (0) 2020.11.30
절대 잊을 수 없는 날  (0) 2020.11.27
간디가 기억하는 '나의 어머니'  (0) 2020.11.25
몽당 빗자루  (0) 2020.11.24
올바른 배움의 자세  (0) 2020.11.23
반응형

놀라운 것은 

나를 완전히 잊어버리는 순간 

진정한 나, 완전한 나와 대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경배는 나 자신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에 대한

그리움, 늘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던 삶과 내가 

주인공이고 내가 주인인 삶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에 대한 그리움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 안셀름 그륀의《지금과 다르게 살고 싶다》중에서 -



* 내가 내 삶의 주인인 것은 맞습니다.

지구도 우주도 나를 중심으로 움직입니다.

그러나 끝내 나 중심으로만 삶을 살아가면

진정한 자유로움을 얻지 못합니다. 갈등과 

다툼의 틀에 갇힐 뿐입니다. 나 중심에서

나를 풀어내어 이타심을 갖는 것,

그것이 자유를 얻는 길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를 끝까지 파고들어 본 사람  (0) 2017.10.23
계란을 익히는 소리  (0) 2017.10.20
생태적 각성  (0) 2017.10.18
초기 노화 현상  (0) 2017.10.17
터벅터벅, 건들건들  (0) 2017.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