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다

맘껏 누릴 수 있는
경이로움과 숭고함, 기쁨과
환희는 물론 두려움, 불안, 고통까지
모두가 제주에서의 삶이다. 탄생과 죽음,
빛과 그림자, 이 모든 것들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나라는 걸 몸과
마음으로 배워 나간다.


- 홍시야의 《나무 마음 나무》 중에서 -


* 바다 안에 파도가 있고
파도 속에 바다가 있습니다.
바다가 곧 파도이고, 파도가 곧 바다입니다.
섬은 섬만이 아니고 바다는 바다만이 아닙니다.
바다가 있음으로 섬이 있고 섬이 있기에
바다라 일컫습니다.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고 내가 있기에 당신이
있습니다.

 

"이것이 삶이던가? 그렇다면 다시 한 번." 
― 프리드리히 니체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감정' 표현  (1) 2023.09.18
가을 바람  (0) 2023.09.16
얼어붙은 바다를 쪼개는 도끼처럼  (0) 2023.09.14
키부츠의 이스라엘 아이들  (0) 2023.09.13
사람 보는 눈이 좋아서  (0) 2023.09.12
반응형

빛나는 하얀치아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능만 믿지 말고...  (0) 2023.05.30
지금 내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은  (0) 2023.05.29
내 인생의 '가장 젊은 날'  (0) 2023.05.26
얼굴의 주름, 지혜의 주름  (0) 2023.05.25
정신력을 단련하는 곳  (0) 2023.05.24
반응형

또 한 가지,
글쓰기에서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는 '여백'이다.
종이를 꽉 채운 것보다는 여백 있는 그림이
보기에 편하다. 생각할 공간과 여지도 더 많다.
글도 마찬가지이다. 설명으로 가득 찬 글은 읽기가
벅차다. 글 쓴 사람이 설명을 다 해주기 때문에
달리 생각할 필요도 없다. '설명'을 하기보다는
그림을 그리듯 '현장'을 보여주는 글이 낫다.


- 공상균의 《바람이 수를 놓는 마당에 시를 걸었다》 중에서 -


* '위대한 책은 행간이 넓은 책'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고전들은 행간이 넓습니다.
여백이 있고, 글이 곧 그림 같다는 느낌을 줍니다.
사람도 나이가 들고 삶의 지혜가 쌓여가면서
그동안 보지 못했던 행간이 이윽고 보일
때가 있습니다. 여백도 생깁니다.
삶의 기쁨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한테 나는 뭐야?'  (0) 2023.05.11
백수로 지낸 2년  (0) 2023.05.10
우리는 언제 성장하는가  (0) 2023.05.08
  (0) 2023.05.06
술 마시면 안 되는 사람  (0) 2023.05.06
반응형

때론 성공하고
때론 실패하는 그 과정에서의
경험과 배움은 그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습니다. 무수한 사람들과 때로는 부딪치고
때로는 부둥켜안으면서 함께 나아가는 그 시간
동안 우리는 많이 성장합니다. 혼자 일할 땐
알기 어려운 배움과 기쁨입니다.


- 최인아의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중에서 -


* 사람은
다른 사람과 부딪치면서 성장합니다.
많은 사람과 만나 여러 형태의 소리를 내면서
자랍니다. 그것은 바람에 비유할 수도 있습니다.
바람은 수많은 사물과 부딪치며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바람 자체는 소리가 없습니다. 어떤 대상과 만났을 때
그 대상마다의 소리로 자신을 드러냅니다. 우리도
홀로보다는 타인들과 함께 공명할 때
더욱 성장하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수로 지낸 2년  (0) 2023.05.10
행간과 여백  (0) 2023.05.09
  (0) 2023.05.06
술 마시면 안 되는 사람  (0) 2023.05.06
'살아남는 지식'  (0) 2023.05.04
반응형

아픔 그리고 기쁨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젊은이가 사라진 마을  (0) 2023.04.25
단단한 믿음  (0) 2023.04.24
내가 놓치고 있는 것  (0) 2023.04.21
사자와 오랑우탄  (0) 2023.04.20
어렸을 때 어머니가 해주셨던 말씀  (0) 2023.04.19
반응형

우리 회사는 내가 직접 그리는 풍경입니다.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정말로 사랑합니다.
지금도 매일 아침 거의 탭댄스를 추면서 출근합니다.
돈이 아무리 많아도 결국 사람의 행복은
자신이 사랑하고 또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 워렌 버핏, ‘하버드 MBA의 경영수업’에서


잭 웰치 역시 하버드 MBA학생들에게 같은 충고를 하고 있습니다.
“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는지
매일 아침 거울 테스트(mirror test)를 해보세요.
돈은 부차적인 것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미친 듯이 하다보면 돈은 저절로 따라 옵니다.”
직업 선택의 첫 번째 기준은 돈이 아닌 ‘좋아하는 일’이어야 함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