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류는 끊임없이
앞으로 앞으로 돌진해왔다.
그 속도와 우리가 떠나온 거리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에이브러햄 링컨이 말한 '신비로운
기억의 하모니'를 통해 머나먼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
나는 그 하모니가 생명이 시작된 35억 년 전까지 이어져
있는 모습을 상상한다. 무수히 많은 조상이 무수히
많은 결합을 통해 남긴 유산으로 우리가 존재하게
되었으니 터무니없는 상상은 아닐 것이다.


- 닐 올리버의《잠자는 죽음을 깨워 길을 물었다》중에서 -


* 현대 과학에 따르면
150억 년 전 빅뱅으로 우주가 태어났고
35억 년 전 태양계와 지구가 생겨나 생명이 탄생했고
길게 잡아 700만 년 전 인류가 태어나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그 모든 것을 우리는 기억할 수 없습니다. 단지 그 모든
것들이 하모니를 이루며 우리의 기억 세포에
고스란히 저장되어 있습니다. 단 한 가지도
연결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신비로울 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권한위양은 연날리기와 같다.
부하직원의 능력이 약하면 연줄을 당겨야 하고,
부하직원의 능력이 강하면 연줄을 놓아야 한다.
뛰어난 리더는 연 만드는 기술자가 아닌,
연 날리기의 고수가 되어야 한다.
- 린정다(林正大), 국제전략 전문가


구성원은 하늘을 나는 연과 같습니다.
그들이 얼마나 높이 날아가든 리더의 손에는 튼튼한 얼레가 있어서
모든 것은 리더의 손에서 통제됩니다.
뭐든지 그냥 무조건적으로 맡기는 것이 아니라,
과업의 중요도와 구성원의 능력을 고려해
적절하게 개입하고 풀어주는 노력을 끊임없이 계속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서 무엇을 이루려고 하든
꼭 해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 단, 모든 일은
'What if' 질문으로 시작해야 한다. 그 질문에 답하려면,
그것을 작게 단계적으로 잘라서 그 작은 것 하나하나를
루틴화해야 한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오늘
자신에게 다음 단계의 시작을 위한 'What if' 질문을
해보자. '내가 만약에'라는 질문은 생각할수록
즐겁고, 나를 끊임없이 다음 단계로 데려간다.


- 폴 김의《다시, 배우다》중에서 -


* 무엇을 시작하든, 무엇을 배우든
성취하는 것에는 단계가 있습니다. 멀리 있는 목표를
늘 주시해야 하지만 눈앞에 있는 작은 것, 일상을
작게 나누어서 좋은 습관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의 삶에 늘 질문을 던지고 거기에
답을 찾는 루틴을 만들어야 합니다. '내가
만약에'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성실하게 찾는 동안에 성장하고
삶이 아름다워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은 그저 거기에 있을 뿐  (0) 2022.02.04
신뢰  (0) 2022.02.03
'사랑해. 당신이 좋아!'  (0) 2022.01.28
'무조건 싫어'  (0) 2022.01.27
사랑에 사랑을 더하다  (0) 2022.01.26
반응형

훌륭한 리더는 최소한 3년 이내에
자기보다 3배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사람을
3명 이상 육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상사의 업적은 부하들의 능력을 통해 달성된다.
- 코오디너, GM 전 회장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도 ‘당신의 능력은
당신을 위해 일하는 직원들이 가진 능력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합니다.
구성원 모두를 리더로 만들어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든 구성원을 리더로 만들겠다는 것을
조직의 사명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교육과 업무 경험,
문화, 임파워먼트 등의 다양한 시도를 끊임없이 계속해나가야 합니다.

 


임파워먼트란 무엇인가?/ 임파워먼트의 역사

 

역량강화(임파워먼트empowerment)란 조직원들 개개인에게 조직을 위해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권한이 있다고 확신을 심어주는 강화과정을 말한다.(박원우) 1940년대 정치학과 사회학에서 처음 다룸. 정치학에서는 가난하고 공권력을 빼앗긴 사람에게 힘을 부여하는것,사회학에서는 사회의 양극화를 해소하는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의 힘을 키워 극소의 극부계층과 극빈계층간이 차이해소를 하는데 중점을 둠. 1970년대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일반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이 토대를 이루어 생태체계 관점에 근거한 강점 지향이 대두하면서 임파워먼트가 부상함. 임파워먼트는 클라이언트를 문제 중심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강점 중심으로 봄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잠재 역량 및 자원을 인정하고 클라이언트 내외에 회복력이 있음을 전제 하여 클라이언트가 삶을 결정할 수 있도록 권한이나 힘을 부여하는 데 중점을 둠으로써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두루 활용됨


 

반응형
반응형

 

조금만 자만하다간 금방 위기에 처하는 것이 인간사회 법칙이다.
수없이 많은 기업들이 환경변화에 둔감하여 방심하다가 나락에 떨어졌다.
위기를 강조하면 직원들이 움츠러든다고 겁을 먹는 경영자들이 있는데,
일상화되면 경쟁력이 된다.
그것이 초일류 기업의 요건이다.
-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
 
위기의식을 강조하면 자포자기적 심정에 떠나거나 흔들리는 직원들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그것이 두려워 적당한 선에서 멈춰버리면 그저 그런 적당한 기업에 머물러 있게 됩니다.
잘 나갈 때일수록 없는 위기라도 만들어
이를 전파함으로써 전 직원이 스트레스와 긴장속에서도 똘똘 뭉쳐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지속해 나가는 것,
그것이 바로 초일류 기업으로 가는 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기를 돌아보면서 “이런! 1년 전에 내가 그렇게 어리석었단 말이야?”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사람은
지난 1년 동안 그다지 많은 것을 배우지 않았던 게 분명합니다.
- 레이 달리오


모든 것이 급변하는 요즘 세상에선 과거의 지식이
오히려 미래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훌륭한 미래 예측가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믿음에 실망을 안겨주는
증거를 끊임없이 찾아다니는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미래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지금까지 배운 것을 깡그리 잊어버리겠다는 각오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