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기관리를 잘못하면서 남을 잘 관리하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남에게 잘하는 사람은 자신에게도 잘하는 사람이고,
남을 잘 관리하는 사람은 먼저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이다.
- 염철론(鹽鐵論)

 

 

‘어떤 행동이 기대한 효과를 얻지 못하면
자기 자신에게 원인이 없는지 돌아보라’고 한
맹자의 가르침을 현실에서 실천하는 사람은 리더의 자격이 있습니다.
자기관리를 잘하는 리더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실수와 잘못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잘한 것은 남이 했다고 하고, 잘못한 것은 내가 했다’고
말할 수 있어야 참 리더라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더는 양떼를 뒤에서 인도하는 목자처럼
조직원들을 이끌어야 한다.
그러나 조직원들이 이끌려 간다는 느낌 없이
리더를 따르도록 해야 한다.
- 넬슨 만델라

 

 

멋진 표현입니다. 리더십의 핵심 개념이 다 들어있습니다.
유사한 의미를 지닌 노자의 글을 다시 보내드립니다.
“훌륭한 지도자는 아랫 사람들이 큰 일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자기가 임무를 완성 했을 때,
백성들 입에서 “마침내 우리가 이 일을 해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이다.

 

반응형
반응형

매력 있는 지도력


지도력을 가지려면
반드시 문화를 알아야 합니다.
군사력, 경제력 다음에는 남을 감동시키는
매력이 필요합니다. 그 사람만 보면 즐겁고,
그 사람이 말하면 어려운 일도 함께하고 싶은 것.
이렇게 절로 우러나오는 힘은, 금전과 권력이
현실인 것처럼 보이는 이 세상에서도
돈과 권력으로 안 되는 일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 이어령의《지성에서 영성으로》 중에서 -


* 지도력에도 격이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감동으로 이끄는
지도력이 최상의 격입니다. 무력, 금력이 아니라
마음으로 움직이는 힘, 그것은 문화에서 나옵니다.
문화를 안다는 것은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이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아픔과 슬픔과 눈물을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그곳에서부터
매력있는 지도력이 나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토링  (0) 2013.10.30
설거지 할 시간  (0) 2013.10.29
힘들 때, '기쁨의 목록' 만들기  (0) 2013.10.26
청천벽력  (0) 2013.10.25
적당한 거리  (0) 2013.10.24
반응형

궁수는 화살이 빗나가면
자신을 돌아보고 자기 안에서 문제를 찾는다.
화살을 명중시키지 못한 것은
결코 과녁 탓이 아니다.
제대로 맞히고 싶으면
실력을 쌓아야 한다.
-길버트 알랜드

 

일이 잘 안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환경이나 남 탓을 합니다.
그러나 몇몇은 자기 자신에게 책임을 돌립니다.
후자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이고,
후자가 리더의 자격을 갖춘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기꺼이 책임지는 사람을 따르기 마련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탁월한 리더가
뛰어난 설득력을 보이는 이유는
메시지를 단순하고 명쾌하게 전달하기 때문이다.
단순한 메시지는 기억하기 쉽고, 기억하기 쉬운
메시지는 실천하기 쉽다. 쉽고 단순하며
명확하게! 진정한 소통을 원한다면
반드시 기억하길 바란다.


- 카민 갤로의《리더의 자격》중에서 -


* 차렷! 열중쉬어! 쉬어!
짧고 명확한 메시지의 표본입니다.
모든 메시지는 쉽고 명확해야 합니다.
어려운 메시지도 쉽고 명확하게 전할 수 있어야
좋은 리더입니다. 비단 메시지뿐이 아닙니다.
일도 쉽고 명확하게 해야 '일꾼'입니다.
아침편지도 쉽고 명확하게 써야
잘 읽힙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새 부르는 사랑 노래  (0) 2013.05.06
사랑 협상  (0) 2013.05.04
기억집중의 기술  (0) 2013.05.02
한숨의 크기  (0) 2013.05.01
'바운스', 일류인생의 일류노래  (0) 2013.04.30
반응형

리더라면 자고로 70:30 법칙을 지켜야 한다.
자기 시간의 30%는 실질적인 업무에 쏟되,
나머지 70%는 재충전이나
남들이 하지 않는 일에 투자해야 한다.
위임할 수 있는 결정은 직접 하지 말라.
-스티븐 샘플, 서던 캘리포니아대 총장

리더가 직접 일을 하면
그 누구보다도 더 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리더는 아랫사람이 잘 못하는 줄 알면서도,
가끔은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일을 맡길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본인은 더 큰 전략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고,
직원들을 키워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