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해야 할까.
혈액의 노폐물과 지방이 림프절에 쌓이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몸이 붓고 두통까지 유발한다.
이를 막기 위해 일상에서 림프 순환 마사지를 꾸준히
하면 불안과 우울증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몸과
마음에 해로운 나쁜 감정을 흘려보내는 건
마음 건강을 지키는데 기본 중의
기본이다.


- 김혜민의 《지금보다 괜찮은 어른》 중에서 -


* 몸과 마음은 하나입니다.
몸이 아프면 마음도 아프고,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픕니다. 몸속에 노폐물과 독소가
쌓이면 마음에도 부정적 감정이 또아리를 틉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몸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마음입니다. 마음이 무거우면 몸도 따라
무겁습니다. 이때 림프 마사지를 하면
몸속 노폐물과 독소가 빠지면서
마음도 가벼워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령(幽靈)  (0) 2025.08.18
지극히 행복한 '플로우'의 경험  (2) 2025.08.18
스스로 자신을 바꾼다  (0) 2025.08.18
스스로를 쉬게 하는 것  (0) 2025.08.12
누구든 자기만의 글을 쓸 수 있다  (1) 2025.08.11
반응형

해 질 무렵의
호숫가를 걷는다. 저무는 것이
저리 아름다운 줄은 미처 몰랐다.
나의 시간도 저렇게 저물면 좋겠다.
저 정도의 속도와 온기로.
내 인생에 무상으로 주어진 것들,
이를테면 햇살이나 새벽의 바람,
기대하지 않았던 배려, 우연히
만난 맛있는 음식.


- 이정자의 《나의 노트》 중에서 -


* 삶이란
참으로 놀라운 것입니다.
무상으로 주어진 것들이 너무도 많고,
그것들을 대하는 나의 태도에 따라 극과 극이
갈립니다. 모든 것을 진정으로 대하고 바라보면
참 아름다운 세상입니다. 자연과 사람들, 모든 것이
귀하고 사랑스럽습니다. 특히나 뜻 하지 않은 곳에서
만나게 되는 미소 띤 사람과 맛있는 음식은
눈물겹게 고맙습니다.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3) 2025.08.07
'나도 한번 글을 써보겠다'  (1) 2025.08.06
날씨가 바꾼 세계역사  (4) 2025.08.04
초심(初心)  (0) 2025.08.04
희망이란  (0) 2025.08.01
반응형

신경과민은
지적 노동의 해악과 같은
결과물이 아니다. 자연의 선물이다.
잠깐 휴식을 취하며 긴장을 풀고 몸에서
기운을 빼라는 가르침으로 여겨야 한다.
과민은 자연이 우리에게 베푼 정신 치료인
셈이다. 긴장된 상상력에서 떠나 몸과
마음을 천천히 회복시킬 때가
되었다는 충고이다.

- 필립 길버트 해머튼 《지적 생활의 즐거움》 중에서.


* 신경과민은
몸에서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느닷없이 화가 치밀거나 짜증이 늘어날 때,
자주 체하거나 두통이 느껴질 때는 나의 영혼이
내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잠시 멈춰 힘을 빼라'는 메시지입니다. 내가 지금
과로하는 건 아닌지, 과식하는 건 아닌지,
무언가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라는 신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바라보는 또 다른 '나'  (0) 2025.07.11
즉흥 여행이 훨씬 재밌어요  (0) 2025.07.10
꽃봉오리 된장국  (3) 2025.07.08
내가 '나를' 찾는다  (0) 2025.07.07
신뢰  (0) 2025.07.07
반응형

운동이 좋은 건 누구나 안다.
모든 운동은 실시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니까 말이다. 그런데 몸 펴기 운동은
이십여 년 실시하던 어떤 운동보다 결과가 좋았다.
2010년 12월에 사제 보건 진료소에서 몸 펴기 운동을
시작하였다. 비교적 넓은 회관이었으나 운동
효과가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선착순
30명으로 시작한 것이 45명이 넘게
참여하였다. 대부분이 걷기
힘들어 하는 분들이었다.


- 김명천의《옥양목》중에서 -


* 운동의 기본은
몸의 '확장'과 '수축'입니다.
'이완'과 '긴장'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완의 출발점이 '몸을 펴는'것입니다.
긴장된 몸과 마음이 이완 모드로 들어가면
뇌파는 안정됩니다. 무언가에 몰두하다가도
가끔 기지개를 켜는 것, 이 또한
'몸 펴기 운동'의 하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한 인연  (1) 2025.06.23
왜? 믿으니까  (0) 2025.06.23
영감을 얻는 길이라면  (1) 2025.06.19
보지 않고도 본다  (0) 2025.06.18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0) 2025.06.17
반응형

나는
내 몸과 친하지 않다.
몸은 내가 원하는 상황에서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움직여 주지
않을 때가 많다. 운동을 배우다가 거울을 보면
내 팔다리가 짐작과 다른 위치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내 몸을 믿지 못하니 빠른 반사 신경이
필요하거나 크게 다칠 수 있는 일은 두려웠다.
자동차 운전도 하지 않는다. 몸은 내가
보호할 대상인 동시에 나를 해칠
무기이기도 했다.


- 이숙명의 《발리에서 생긴 일》 중에서 -


* 몸은 두 갈래입니다.
자기 생각대로 움직여주는 갈래와
생각과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갈래입니다.
자율신경계, 면역계, 내분비계, 순환계 등등 수많은
기관들이 저마다 인체를 살게 하는 신비한
시스템입니다. 어느 순간 이 시스템의 조화가
깨지면 몸과 마음과 영혼의 소통마저 끊기게
됩니다. 내 몸의 주인이 분명 나인데
내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지 않고도 본다  (0) 2025.06.18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0) 2025.06.17
새벽 숲  (0) 2025.06.16
엄마의 마지막 얼굴  (0) 2025.06.13
깨진 수박  (0) 2025.06.12
반응형

우리 몸에는 엄청난 수의
세포소기관이 존재한다. 세포가 작은 태양계라고
상상해보자. 태양(세포 핵)을 중심으로 행성(그 밖의
세포소기관)이 주변을 돌고 있는 독립적인 시스템이라고
상상해 보라. 태양과 행성들이 조화롭게 한 팀을
이루고 있다. 이 시스템의 모든 구성원은
끊임없이 소통하고 교류한다.


- 에릭 프랭클린의 《세포 혁명》 중에서 -


* 그래서 옛 선인들은
인체를 소우주라고 명명했습니다.
태양계의 행성뿐만 아니라 북극성, 북두칠성과
인체가 상응하고 있으며, 한 해의 절기와 하루의 시각도
내장 기관의 순환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물며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일하는 직업 공간은
우주보다 더 섬세한 소통과 교류가
조화롭게 이뤄져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성에서 벗어나라  (0) 2025.04.10
진실로 겸허해야 한다  (0) 2025.04.09
칸트의 누에고치 잠  (0) 2025.04.07
4월 4일 11시 22분  (0) 2025.04.07
전진하는 자의 벗  (0) 2025.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