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체온이 섭씨 0.5도 내려가면
면역력은 35%나 낮아진다고 한다.
체온이 저하되면서 효소의 활성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는 체온이
섭씨 35도일 때 가장 활성화된다고 한다. 평균 체온
섭씨 35도인 저체온의 사람들이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다. 체온이 낮으면 병에 걸리기 쉬울 뿐
아니라 노화가 진행되는 속도도 빨라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신야 히로미의《불로장생 탑 시크릿 Top secret》중에서 -


* 체온은 우리 몸의 나침판입니다.
평균 체온인 36.5도에서 1도만 높아도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하고, 1도만 낮아도 암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단지 여성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몸이 차가운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첫 증상은 손발이 차가워지는 것이고,
다음은 배, 특히 아랫배와 하초 부위가 얼음장처럼 차가워져
소화불량, 변비 등 만병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정상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적당한 운동, 특히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보  (0) 2025.10.20
'거대한 가속'의 시대  (0) 2025.10.17
길만큼 좋은 스승은 없다  (0) 2025.10.15
집단지성이 필요한 이유  (0) 2025.10.14
서점 문화운동  (0) 2025.10.13
반응형

이렇듯
두려움과 불안을 마주하는 것은
나에게 중요한 질문을 찾게 해준다.
그리고 이 질문은 해답을 찾기 위한
좋은 시작점이 된다. 물론 몸과 마음이
건강하지 않을 때는 질문을 회피하기 쉽다.
특히나 마음이 힘들 때는 모든 게 다 어렵고,
귀찮다. 몸과 마음을 돌보는 건 그래서
아주 중요한 일이다.


- 김범준의 《나침반은 흔들리며 방향을 잡아나간다》 중에서 -


* 몸과 마음과 정신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느 하나라도 지치면 다른 것도 영향을 받습니다.
우울감은 마음의 감기라 하지요. 혹여 몸과 마음에
우울한 한기가 들지는 않는지 두루두루 살펴야
합니다. 그래야 삶의 의문점에 대해 질문도
하고 답도 찾는 여유를 가질 수
있을 테니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형배의 2,000권 독서  (0) 2025.09.29
시간  (0) 2025.09.29
돌아가신 아빠의 여권을 들고  (0) 2025.09.25
우는 얼굴을 보면 슬픔의 깊이를 알 수 있다  (0) 2025.09.24
내가 나를 죽이지 않는 법  (0) 2025.09.23
반응형

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해야 할까.
혈액의 노폐물과 지방이 림프절에 쌓이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몸이 붓고 두통까지 유발한다.
이를 막기 위해 일상에서 림프 순환 마사지를 꾸준히
하면 불안과 우울증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몸과
마음에 해로운 나쁜 감정을 흘려보내는 건
마음 건강을 지키는데 기본 중의
기본이다.


- 김혜민의 《지금보다 괜찮은 어른》 중에서 -


* 몸과 마음은 하나입니다.
몸이 아프면 마음도 아프고,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픕니다. 몸속에 노폐물과 독소가
쌓이면 마음에도 부정적 감정이 또아리를 틉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몸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마음입니다. 마음이 무거우면 몸도 따라
무겁습니다. 이때 림프 마사지를 하면
몸속 노폐물과 독소가 빠지면서
마음도 가벼워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령(幽靈)  (0) 2025.08.18
지극히 행복한 '플로우'의 경험  (2) 2025.08.18
스스로 자신을 바꾼다  (0) 2025.08.18
스스로를 쉬게 하는 것  (0) 2025.08.12
누구든 자기만의 글을 쓸 수 있다  (1) 2025.08.11
반응형

해 질 무렵의
호숫가를 걷는다. 저무는 것이
저리 아름다운 줄은 미처 몰랐다.
나의 시간도 저렇게 저물면 좋겠다.
저 정도의 속도와 온기로.
내 인생에 무상으로 주어진 것들,
이를테면 햇살이나 새벽의 바람,
기대하지 않았던 배려, 우연히
만난 맛있는 음식.


- 이정자의 《나의 노트》 중에서 -


* 삶이란
참으로 놀라운 것입니다.
무상으로 주어진 것들이 너무도 많고,
그것들을 대하는 나의 태도에 따라 극과 극이
갈립니다. 모든 것을 진정으로 대하고 바라보면
참 아름다운 세상입니다. 자연과 사람들, 모든 것이
귀하고 사랑스럽습니다. 특히나 뜻 하지 않은 곳에서
만나게 되는 미소 띤 사람과 맛있는 음식은
눈물겹게 고맙습니다.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3) 2025.08.07
'나도 한번 글을 써보겠다'  (1) 2025.08.06
날씨가 바꾼 세계역사  (4) 2025.08.04
초심(初心)  (0) 2025.08.04
희망이란  (0) 2025.08.01
반응형

신경과민은
지적 노동의 해악과 같은
결과물이 아니다. 자연의 선물이다.
잠깐 휴식을 취하며 긴장을 풀고 몸에서
기운을 빼라는 가르침으로 여겨야 한다.
과민은 자연이 우리에게 베푼 정신 치료인
셈이다. 긴장된 상상력에서 떠나 몸과
마음을 천천히 회복시킬 때가
되었다는 충고이다.

- 필립 길버트 해머튼 《지적 생활의 즐거움》 중에서.


* 신경과민은
몸에서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느닷없이 화가 치밀거나 짜증이 늘어날 때,
자주 체하거나 두통이 느껴질 때는 나의 영혼이
내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잠시 멈춰 힘을 빼라'는 메시지입니다. 내가 지금
과로하는 건 아닌지, 과식하는 건 아닌지,
무언가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라는 신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바라보는 또 다른 '나'  (0) 2025.07.11
즉흥 여행이 훨씬 재밌어요  (0) 2025.07.10
꽃봉오리 된장국  (3) 2025.07.08
내가 '나를' 찾는다  (0) 2025.07.07
신뢰  (0) 2025.07.07
반응형

운동이 좋은 건 누구나 안다.
모든 운동은 실시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니까 말이다. 그런데 몸 펴기 운동은
이십여 년 실시하던 어떤 운동보다 결과가 좋았다.
2010년 12월에 사제 보건 진료소에서 몸 펴기 운동을
시작하였다. 비교적 넓은 회관이었으나 운동
효과가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선착순
30명으로 시작한 것이 45명이 넘게
참여하였다. 대부분이 걷기
힘들어 하는 분들이었다.


- 김명천의《옥양목》중에서 -


* 운동의 기본은
몸의 '확장'과 '수축'입니다.
'이완'과 '긴장'이라고도 말합니다.
이완의 출발점이 '몸을 펴는'것입니다.
긴장된 몸과 마음이 이완 모드로 들어가면
뇌파는 안정됩니다. 무언가에 몰두하다가도
가끔 기지개를 켜는 것, 이 또한
'몸 펴기 운동'의 하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한 인연  (1) 2025.06.23
왜? 믿으니까  (0) 2025.06.23
영감을 얻는 길이라면  (1) 2025.06.19
보지 않고도 본다  (0) 2025.06.18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0) 2025.06.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