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만 권의 책을 읽고
만 리의 길을 가리라는 말대로'라는
폴더를 만들어 읽은 책들을 블로그에 정리했고,
그것이 200여 권이 쌓일 때쯤 제가 바뀌어 있음을 봅니다.
나의 모습이 많이 달라지며, 삶을 되찾은 듯 보였으며,
무엇보다 불신했던 운명과 삶에 대한 마음에
긍정과 행복이란 단어들이 찾아온 것을
보았습니다.


- 하혜련의《떠난 너, 기다리는 나에게》중에서 -

* 책은 내가
가보지 못했던 길을 가게 합니다.
하나의 인생길이 아닌 다양한 인생길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다 보면 나만의 갇힌 시야에서 벗어나
드넓은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긍정과 행복의 길을
스스로 발견하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끔 집을 떠나자  (0) 2025.11.21
행동을 바꾸려는 사람  (0) 2025.11.19
평범 속의 비범  (0) 2025.11.18
한 걸음 더 나가는 용기  (0) 2025.11.17
옛사랑  (0) 2025.11.17
반응형

멈춰서 들으면
그것을 알 수 있다.
귀로 듣거나 머리로 듣기보다는
가슴으로 듣고, 모든 순간을 조건화된 대로
경험하는 것 너머로 이끌어주는 다정하고
친밀한 알아차림으로 듣는다. 그것이
명상의 핵심이며, 거기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발견하는 곳이다.


- 아디야 산티의《가장 중요한 것》중에서 -


* 멈추면 비로소 들립니다.
바깥 소음 때문에 놓쳤던 소리,
내 안의 들끓음 때문에 듣지 못했던 소리...
가슴으로 듣습니다. 그 소리를 영감이라고도 하고
신의 음성이라고도 합니다. 새로운 발견,
놀라운 깨달음의 순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림길에서  (0) 2025.02.17
영혼이 폭삭 늙는 기분  (0) 2025.02.14
당신은 당신인 채로  (0) 2025.02.12
인생 2막 설계, 촘촘히  (0) 2025.02.11
걸림돌과 디딤돌  (0) 2025.02.10
반응형

마음은
생의 원천이요 고향이다.
영원에서 영원까지 향수에 젖은 삶을 사는
중생은 마음을 상실한 탓이다. 우리는 먼저
내가 내 마음을 부릴 수 없는 인간은 인간이
아님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어야 인간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 마음을 내가 발견하여
쓰는 것이 인간이다.


- 김일엽의 《행복과 불행의 갈피에서》 중에서 -


* 마음은 의식,
또는 영혼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영혼은 이 세상에 올 때 깃들 몸을 취합니다.
마음, 곧 영혼이 깃든 집이 몸입니다. 한 세상 열심히
살고 나면 늙고 낡아진 몸은 해체되고 마음, 곧 영혼은
'나'의 근원으로, 본향으로 돌아갑니다. 진정한 '나'가
누구임을 아는 것, 그것이 자기 발견입니다. 몸이
본향으로 돌아가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위대한 발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신  (2) 2024.04.01
고대 아이들의 놀이  (1) 2024.03.29
내 인생의 전성기  (0) 2024.03.27
나이 든 사람의 처신  (0) 2024.03.26
차이  (0) 2024.03.25
반응형

대구의 피아노 선생님은
나를 스쳐 지나가는 학생으로 여기지 않으셨다.
피아노 말고도 내게 어떤 점이 부족한지를 아시고
그 부분을 채워주려 애쓰셨고 나를 제자가 아닌
같은 음악인으로 바라봐 주셨다. 그래서
선생님의 교육은 일방적이지가 않았다.
제자의 생각을 궁금해하는 선생님의
교육 덕에 나는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음악을 발견할 수 있었다.


- 문아람의 《그저 피아노가 좋아서》 중에서 -  


* 저도 요즘
늦은 나이에 좋은 선생님을 만나
노래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모든 분야가
그렇지만 음악은 특히 누가 레슨을 하느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감합니다. 자상하면서도
전문적인 말씀 하나하나가 그야말로 금언이고
철학입니다. 글을 쓰는 저로서는 노래 공부를
하는데 마치 글 공부를 하고 있는 듯한
경이로운 시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 관리가 중요한 이유  (0) 2023.04.10
  (0) 2023.04.08
곡지(曲枝)가 있어야 심지(心志)도 굳어진다  (0) 2023.04.06
'우리 엄마는 말이 통해'  (0) 2023.04.05
'친구 같은 아빠'가 그립습니다  (0) 2023.04.04
반응형

오늘의 문제(問題)는 어제의 해법(解法)으로 해결할 수 없다.
진정한 발견(發見)은 새로운 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보는 것이다.
관점을 변화시킴으로써
평범한 것을 비범하게 만들 수도 있고,
특별한 것을 진부하게 만들 수도 있다.
-김명룡 박사, 이노벤 컨설팅 그룹


김명룡 박사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고정관념을 들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나하고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은
배척의 대상이 아닌
무조건 감사해야 할 존재’라고 강조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본연의 자신을
발견하고 발휘하기 위해서는
물질세계를 경험하는 틀인 생각을
조절해야 한다. 생각은 세상의 경험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제어하여
인간의 마음속 깊이 감금된 영혼을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


- 배철현의 《삼매》 중에서 -  


* 생각에는
좌뇌적 생각과 우뇌적 생각이 있습니다.
좌뇌적 생각은 태어나면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가치관에서 나오는 것이고, 우뇌적 생각은 우주적 지혜인
영감과 직감입니다. 우뇌적 생각은 좌뇌적 생각이 멈출 때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영혼은 이 모든 생각들이 멈춘
순간, 고요함 속에서 존재를 드러냅니다. 영혼은
텅빈 충만의 시간 속, 침묵의 소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눈으로 바라보기  (0) 2023.02.23
요가 수련자의 기본자세  (0) 2023.02.21
단 하나의 차이  (0) 2023.02.18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  (0) 2023.02.17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0) 2023.0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