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뇌를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혹자는 뇌에
전자 칩을 심거나 컴퓨터를 연결시키는
방법을 꿈꾸기도 하고, 혹자는 뇌의 능력치를
높여주는 약물에 기대를 걸기도 한다. 하지만
기계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뇌를
업그레이드하는 근본적인 방법이
존재한다. 바로 '명상'이다.


- 대니얼 골먼의《명상하는 뇌》중에서 -


* 인공지능(AI), 뇌 과학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사람 사이 접촉 없이 뇌와 뇌끼리 연결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뇌에 심는 전자 칩의 등장도 결코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래도 '따뜻한 사고'는
기계가 하지 못합니다. 인공지능이 제아무리
발달해도 결국은 온기 없는 기계일 뿐입니다.
명상은 뇌를 좋게 바꿀 뿐만 아니라
뇌에 온기를 불어넣어 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들아, 높이 날아라!  (0) 2022.06.06
일을 '놀이'처럼  (0) 2022.06.03
나무 명상  (0) 2022.06.02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  (0) 2022.05.31
온천을 즐길 때는 잘 먹자  (0) 2022.05.30
반응형

삶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에만 발전한다.
결코 아는 자가 되지 말고, 언제까지나 배우는 자가 되어라.
마음의 문을 닫지 말고 항상 열어두어라.
- 라즈니쉬


사티아 나델라 MS 회장은 “우리는 누구나 부족하다.
내가 완벽하며 모든 것을 안다는 생각(know-it-all)에서 벗어나
모르는 것을 끊임없이 배워나가겠다는 마인드셋(learn-it-all)을 갖자”고
구성원들에게 끊임없이 호소했습니다.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을 확고히 심은 것이
MS 부흥의 핵심 요인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발전하고 싶다면 문제와 고통이 있는 곳으로 가야한다.
고통에 맞서면 직면한 현실과 문제를 더 명확하게 보게 될 것이다.
그들을 극복하고 해결하면 삶의 지혜를 얻을 것이다.
고통과 도전이 어려울수록 좋다.
-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창업 회장


“고통은 피하고 싶고 힘든 것이기는 하지만
고통이 반드시 환희나 행복의 반대인 것 같지 않아요.
고통 속에서 새롭게 깨우치는 바가 있더군요.
제가 투병하면서 이를 ‘고통의 학교’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학교에서 실습을 잘하면 한 단계 성숙한 나를 만나게 되니까요.”
이해인 수녀의 말에서 옮겼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차이를 우리를 갈라놓는 것으로 본다면
우리는 차이를 싫어하게 될 것이다.
차이를 우리를 묶어주는 것으로 본다면
우리는 차이를 소중하게 여기게 될 것이다.
- 메리 파커 폴릿


사람들은 자기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미워하고 멀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격과 생각은 같을 수가 없습니다.
달라야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반대의견은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며 내 생각을 창의적으로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됩니다. 같은 성격이라면 성장과 발전도 없고,
새것을 창출해내는 행복도 사라집니다.
달라서 더 귀하고 달라서 더 행복한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을 듣지 않겠다고 귀를 막는 것은
현재 수준의 기술에 만족하겠다고 체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피드백을 받는데 익숙해지려면 피드백을 선물로 생각하면 된다.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내가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내게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것이다. 그대로 따르지 않더라도
열린 마음으로 감사히 받으면 그만이다. - 애덤 그랜트


피드백은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나 불편함을 느끼는 절차입니다.
만약 피드백을 선물로 생각하고, 특히
부정적인 피드백일수록 더 귀한 선물로 생각하고 감사할 수 있다면,
그것 하나만으로도 엄청난 성장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상대방과의 관계개선도 부수효과로 따라오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진화란 실수나 실패를 반복해온 결과 일어난 것이라는 점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자연은 창조성이 풍부한 고차원의
진화 수준으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이것은 경탄해야 할 과정이다.
만약 실패가 자연계에서 허용되지 않았다고 한다면,
우리는 아직도 단세포의 아메바 상태였을 것이다.
- 존 나이스비트, 세계적 미래학자


질서가 습관을 낳는 반면, 혼돈은 때로 생명을 낳습니다. (헨리 아담스)
실패자야말로 때로 새로운 땅과 새로운 과제,
그리고 새로운 표현방식을 찾아내는 개척자입니다. (에릭 호퍼)

인류역사와 자연의 진화에서 우리는
실패를 통한 발전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