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떤 생각에도
다른 생각으로 동조하거나 저항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쓸모없는 부정적인 생각의
그물에 다시 걸려들 때는 한 발 물러서서 이런
상태를 가만히 지켜본다. 그러면 제 아무리
끈적끈적하게 둘러붙어 있던 생각이라도
곧 떨어져 나가고 만다.


- 가이 핀리의《내려놓고 행복하라》중에서 -


* 생각이 다를 때,
생각이 서로 부딪칠 때,
바로 그때가 틈이 생기기 쉬운 순간입니다.
그때는 얼른 한 발 물러서서 다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조도 저항도 아닌, 상대의 다른 생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면 풀립니다. 생각의 그물에
걸릴 때마다 한 발만 물러서면
부딪칠 일이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과 신뢰  (0) 2016.01.27
내가 가는 길  (0) 2016.01.26
'관계의 적정 거리'  (0) 2016.01.23
당신과 함께 간다  (0) 2016.01.22
지금 아이들은...  (0) 2016.01.21
반응형

우리는 돈이 가득 든
지갑을 잃어버리면 아까워한다.
그러나 어떤 생각이 떠오르거나, 책에서 본
좋은 생각들,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억해야 하는
생각들,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생각들은
잃어버리고도 그런 사실조차 곧 잊어버린다.
금은보화보다 더 값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까워하지도 않는다.


- 레프 톨스토이의《어떻게 살 것인가》중에서 -


* 가치관이
삶의 우선순위와 방향을 결정합니다.
무엇이 더 중요하고 더 값진 것인지가 정해지면
그날그날의 하루 일상도 저절로 달라집니다.
금은보화도 값집니다. 그러나 우선순위는
아닙니다. 좋은 생각, 좋은 아이디어에
금은보화가 뒤따라 오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발, 두 팔, 두 눈, 두 귀  (0) 2016.01.14
내 아이들의 눈동자  (0) 2016.01.13
지혜를 얻는 3가지 방법  (0) 2016.01.11
빈 공간만큼만 치유가 가능하다  (0) 2016.01.09
일상적인 행복  (0) 2016.01.08
반응형

생각이
몸의 반응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인간의 몸에서 각 세포는 마음의 소리에
반응하는 독립적인 의식이다. 그 목소리는
산골짜기에서 울리는 외침처럼 우리 몸을
관통하며 울리고, 각 세포는
그 외침을 깊이 새긴다.


- 로버트 슈워츠의《웰컴투 지구별》중에서 -


* 하루에도
다양한 마음의 소리가
산골짜기에서 울려퍼져 긴 메아리로 되돌아 옵니다.
모든 걸 흡수하는 스폰지처럼, 우리 몸의 세포
하나 하나는 그것들을 깊이 새기며 행동으로,
마음으로 표현됩니다. 오늘 하루 제 마음의
산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누군가에게
쉼이 되어 줄 수 있도록 시원하고 따뜻한,
그리고 달달함을 가득 실어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를 찾아가는 여정  (0) 2015.11.17
무용수의 몰입  (0) 2015.11.16
사랑할 준비  (0) 2015.11.13
좋은 곡식, 좋은 채소  (0) 2015.11.12
인생 수업료  (0) 2015.11.11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늘 성공만 해온 사람들은 어떤 일을 시도할 때
 항상 그 일이 성공할지 아닐지를 먼저 생각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해 따져보고,
여러 마이너스 요인을 찾아 성공 확률이 낮다고 판단되면
 뿌듯한 얼굴로 계획을 중단할 것을 제의한다.
안전한 방법이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갈 수 없다.
- 나카무라 슈지 (2014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끝까지 해내는 힘’에서

 

데이터는 과거 정보의 집적일 뿐입니다.
과거 지식으로는 미래의 문을 열수 없습니다.
성공 확률은 낮더라도 한번 해보자는 강한 정신력으로
 미련하게 끝까지 도전할 때 세계가 깜짝 놀랄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과거 지식이 아닌 미래를 향한 도전정신이 성공을 만들어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