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가 '나를' 찾는다

 

눈을 감으면,
문제에 대한 경고나
행복의 징후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건 실제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미지는 스쳐 지나가는 모든 감각처럼
오고 갑니다. 그러나 '나는'의 열린 공간에서
그런 일시적인 경험은 그저 지나가는
광경일 뿐입니다.


- 디팩초프라의 《디팩초프라의 완전한 명상》 중에서 -


* 눈을 감으면
감각이 더 잘 열립니다.
미세한 소리가 들리고 적은 떨림에도
온몸이 진동하는 것을 느낍니다. 놓쳤던 생각이
떠올랐다가는 사라지고, 사라졌던 생각이 다시
떠올랐다가 사라집니다. '나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입니다. 생각 속에 묻혔던 '나를'
바라보며 내가 누구인지를
비로소 깨닫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과민일 때는...  (0) 2025.07.09
꽃봉오리 된장국  (3) 2025.07.08
신뢰  (0) 2025.07.07
마음마저 가렸네  (0) 2025.07.04
주의 깊게 듣기  (0) 2025.07.03
반응형

주의 깊게 듣는 행위는
우리를 주변의 소리와 접하게 하고
이어 주변과 더 깊게 만나게 한다. 잠시
멈춰 서서 머리 위쪽 나무의 이파리들이
부딪히는 소리를 듣게 되면 이내 고개를
들고 자세히 살펴보기 시작한다.
그래서 듣기는 '연결'이다.
주변의 모든 것과
연결되는 행위다.


- 줄리아 캐머런의 《아티스트 웨이, 마음의 소리를 듣는 시간》 중에서 -


* 소리는
귀로 들어와
비로소 의미가 됩니다.
미세한 소리는 내 마음의 소음이 멎어야
들립니다. 더 깊은 소리는 소리 없는 소리, 내 안의
침묵의 소리입니다. 그 소리가 들려야 세상과 내가
연결되고 교감하는 소통의 장이 펼쳐집니다.
주의 깊게 들어야 잘 들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  (0) 2025.07.07
마음마저 가렸네  (0) 2025.07.04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0) 2025.07.02
사랑에 빠진 사람은  (0) 2025.07.01
세포자살 '아포토시스'(Apoptosis)  (0) 2025.06.30
반응형

아기의 말에는
내용보다 선율이 더 많다.
아기의 언어는 소리로 변한 침묵이다.
어른의 언어는 침묵을 추구하는 소리이다.


- 박연준의 《듣는 사람》 중에서 -


* 아기는 말을 못 합니다.
그 작은 입을 오물이며 노랫가락처럼 옹알거릴
뿐입니다. 바라보는 어른들은 너나없이 미소를 지으며
그 옹알이에 대꾸를 합니다. 근원적 태초의 선율입니다.
반면에 어른의 언어는 너무 많이 오염되어
선율을 잃었습니다. 차라리 침묵하며
아기의 옹알이 때로 돌아가는 것이
좋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0) 2024.04.11
슬픔은, 절대  (0) 2024.04.11
12년 전에 본 영화를 다시 보니  (0) 2024.04.08
나는 어디로 가는 걸까  (0) 2024.04.04
식은 죽 먹기 글쓰기  (0) 2024.04.03
반응형

천체의 음악은
밤낮으로 울리지만, 어느 정도
신비 수련을 하거나 신비적 힘을
발달시킨 상태에서만 들을 수 있습니다.
낮에는 빛이 빛으로서 우리에게 흘러 들어오고,
밤에는 흡수된 빛으로서 계속 활동하면서
천체의 음악은 밤낮으로 울립니다.


- 루돌프 슈타이너의 《천체의 음악 인간의 신비》중에서 -


* 인간의 청각은 한계가 있습니다.
아주 큰 소리도, 아주 작은 소리도 듣지 못합니다.
이른바 '가청구역'이 정해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수련을 하면 어느 순간, 선물처럼 청각의 경계가 무너지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천체 음악을 듣게 됩니다. 마음의 소리, 양심의
소리도 듣습니다. 그때 알게 됩니다. 자신이
얼마나 두터운 벽에 갇혀 있었는지를...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을 보는 법  (0) 2024.02.05
관중석 소리 없는 아우성  (0) 2024.02.05
영혼과 영혼의 교류  (0) 2024.02.01
문신을 하기 전에  (0) 2024.01.31
미래의 씨앗  (0) 2024.01.30
반응형

당신의 열정에
불을 지피는 것을 찾으면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한다.
사람들이 제정신이냐고, 그런 게
통할 것 같으냐고 말해도, 또 스스로
의심이 들어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이성이 아닌
마음의 소리를 따라 경이로운 일을
이룩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 에번 카마이클의 《한 단어의 힘》 중에서 -


* 세상엔 수많은 소리가 있습니다.
새 소리, 바람 소리, 웃는 소리, 우는 소리...
이성이 일으키는 날카로운 소음도 있습니다.
가장 나를 움직이는 것은 내 마음의 소리입니다.
나의 열정과 나의 양심에서 나오는 소리입니다.
그 소리가 들렸으면 소신과 신념을 가지고
밀고 나가야 합니다. 경이로운 세상이
열리는 순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웃고 잘 운다  (0) 2024.01.17
'의미심장', 의미가 심장에 박힌다  (0) 2024.01.16
신의(信義)  (0) 2024.01.13
제자리 맴돌기  (0) 2024.01.12
침묵과 용서  (0) 2024.01.11
반응형

혈당 관리는
어렵거나 복잡한 것이 아니다.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두 가지가 운동과
건강한 체중 유지다. 이와 함께 자신의 식습관이
혈당 수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잘 이해해야
한다. 특히 정제된 탄수화물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혈당 수치를 급속히 올리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비정상적인 대사 반응이 나타나고,
그 과정이 반복되면 비만과 당뇨병이
올 수 있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의 《치매에서의 자유》 중에서 -


* 혈당 관리는
건강에서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혈당에서 무너지면 만 가지 병이 뒤따라 옵니다.
그러려면 자신의 몸에 대해 늘 깨어 있어야 합니다.
무엇을 먹을 때의 느낌, 먹고 난 후의 반응 등
몸의 촉을 잘 살피면 무엇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맛에 중독되어
촉을 잃어버리기 전에 깨어 몸의
소리를 들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눈에 반한 사랑  (0) 2023.04.12
바쁘다는 것은  (0) 2023.04.11
  (0) 2023.04.08
나의 음악 레슨 선생님  (0) 2023.04.07
곡지(曲枝)가 있어야 심지(心志)도 굳어진다  (0) 2023.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