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현대 철학의 거물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책 <철학적 탐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자가 말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말을
이해할 수 없다." 삶의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어진
환경과 개인의 경험이 다르다면, 우리는 같은 말을 한다
해도 서로를 조금도 이해할 수 없다. 21세기 한국의
건물 숲속에서도 우리는 사자들을 만난다.


- 채사장의《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중에서 -


* 우리는 서로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사자와 인간만큼이나 대화가 통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삶의 형태에 따라 같은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그 속에 담는 뜻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삶의 형태가 다양해지는 요즘은
그 차이가 더욱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 사람이 하는
말을 넘어서 그 사람의 우주를 보아야 할 때입니다.
상대의 역사와 공간을 들어야 합니다. 언어에
숨어있는 우주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만
비로소 그 사람이 보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8
사람 사이 간격  (0) 2022.10.26
반응형

스승이 말한다.
'바람이 온다. 소리에 집중하라.
저 소리의 감정과 변화를 느껴라.
소리가 화를 낼 때, 소리가 사랑할 때,
그 소리의 모든 변화를 감지해라. 바람이
우리 얼굴을 핥고 지나갈 때 무슨 소리가 들리는가?
봄이건 가을이건 바람이 불면 가던 길을 멈추고 서야 한다.
그리고 불어오는 바람의 일정한 리듬을 느껴야 한다.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을 바라보아야 한다.
나뭇잎이 들려주는 소리와 냄새를
알아차려야 한다.'


- 심혁주의《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중에서 -


* 소리를 들으면 압니다.
바람이 부는지, 비가 내리는지.
화가 나 싸우는지, 사랑을 속삭이는지.
나뭇잎이 세게 흔들리면 바람소리가 달라집니다.
마음이 출렁이면 속삭이는 소리가 달라집니다.
내 안에서 나는 마음의 소리, 내 안 더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오르는 양심의 소리,
조용히 있어야 들립니다.
고요해야 잘 들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정체는 알 수 없지만
내면의 감각은 분명히 무언가를 느꼈다.
빛이나 소리의 느낌이었다. 섬세하지만
강렬한 힘이 느껴지는 눈부신 빛의 형태였다.
그 빛이 교황의 흰머리 아래에 보이는 깨끗한
갈색 피부와 몸을 감싼 거칠고 얼룩진 천을
밝힌 것 같았다. 길게 울려 퍼지는
현악기 혹은 바람의 선율도
들렸다.


- 로버트 휴 벤슨의《세상의 주인》중에서 -


* 사람마다
그가 내는 빛이 있습니다.
밝은 빛 어두운 빛, 맑은 빛 탁한 빛.
어떤 사람은 눈부신 아우라를 내뿜습니다.
빛의 샤워처럼 하늘에서 쏟아지는 영적 에너지가
보는 사람을 압도합니다. 교황처럼 오랜 기도와 수행,
선한 생각과 목표, 그것을 뒷받침하는 삶이
빛으로 나타나 온몸을 휘감습니다.
바람으로 다가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명은 독초다  (0) 2020.07.28
밀가루 반죽  (0) 2020.07.28
바이칼 호수의 온도 관리 능력  (0) 2020.07.28
'건강한 필란트로피'가 왜 필요한가  (0) 2020.07.28
남의 실수에서 배운다  (0) 2020.07.28
반응형



색깔에도 소리가 있다.
아버지는 빨간색 동그라미를 
유심히 보면서 말했다. "빨간색은 성난 색깔이라 
아주 시끄럽구나. 너무 시끄러워서 귀가 아파."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하는 아버지가 그런 말을 
하는 것이 나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빠는 
왜 색깔에 소리가 있다고 생각하세요?" 
나는 궁금한 마음에 물어보았다.


- 마이런 얼버그의《아버지의 손》중에서 -


* 오죽 간절했으면 
색깔에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요. 
궁금해 하는 아들에게 농인 아빠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립니다. "아빠가 학교 다닐 때 한 남자가 
양손으로 귀를 막고 비명을 지르는 모습의 그림을 
본 적이 있는데 그게 얼마나 시끄러웠는지 모른다. 
남자의 머리 위로 하늘은 소용돌이 빨간색으로 
그려졌는데 그 그림을 잊을 수가 없단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km를 자주 달릴수록  (0) 2020.05.11
여백의 아름다움  (0) 2020.05.09
내적 자원  (0) 2020.05.08
지금이 중요하다  (0) 2020.05.06
어린이는 신의 선물이다  (0) 2020.05.06
반응형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살아 있다는 것의 본질을
'소리'와 '냄새'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살아 있는 생명체는 움직이고(動),
움직이기 때문에 소리(聲)를 내고,
소리를 내기 때문에 냄새를 발산하고
그리고 타자를 만나기 때문이다.
자신만의 소리와 냄새를
가지고 말이다.

- 심혁주의《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중에서 -


* 공동묘지는 고요합니다.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습니다.
요즘 농촌은 아이들의 웃음소리, 울음소리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생명력을 잃고 조금씩 죽어가고
있다는 증표입니다. 요즘 도시는 싱그러운 공기,
향기로운 냄새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제라도
소리를 살리고 향기를 살려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가 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을 만나는 공부  (0) 2019.12.06
내면아이  (0) 2019.12.05
오늘 밤도 푸근히 잘 주무세요  (0) 2019.12.03
12월은  (0) 2019.12.02
심리적 거리  (0) 2019.12.01
반응형

칠월 숲은 
나뭇잎 소리로 분주하다. 
하늘을 가득 채운 잎사귀들이 
만드는 스킨십이다. 서걱서걱 여름 
소리에 마음이 열린다. 

- 김준태의《나무의 말이 좋아서》중에서 - 


* 7월의 숲.
푸르름의 절정입니다.
녹음방초 생명이 가득합니다.
그러나 와보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푸른 숲으로 오세요.
숲이 부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라 윈프리의 '인생 목표'  (0) 2019.07.03
일관(一貫)  (0) 2019.07.02
표정의 양식  (0) 2019.06.29
열렬한 애정, 그리고 열정  (0) 2019.06.28
마음에 소음이 일 때  (0) 2019.06.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