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창조력이 있는 사람은
무엇인가 힘든 일에 부딪혔을 때
활로를 개척할 수 있지요. 언제나 같은
시선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선으로
볼 수 있어야 정신이 건강한 것입니다. 당연한
것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낼 줄 아는 힘, 혹은
괴로움이나 불행에 맞닥뜨렸을 때 그 에너지를
다른 것으로 전환할 수 있는 힘에
창조력이 숨어 있습니다.

- 와타나베 가즈코의《사람으로서 소중한 것》중에서 -


* 누구나 한두 가지 재능을 타고납니다.
그 재능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 창조력입니다.
재능은 타고나지만 창조력은 노력해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미 있던 것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그 새로운 것에서도 더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노력 속에 창조력도 자라납니다.
아름답게 자라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사람은 행복을 드러내지 않는다  (0) 2019.10.23
반추(反芻)  (0) 2019.10.22
새로 만날 인연을 위해  (0) 2019.10.19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0) 2019.10.18
아름답게 시작하라  (0) 2019.10.17
반응형

위대한 침묵의 성자
라마나 마하리쉬는 내면의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진지하게, 끊임없이 자신에게
'나는 누구인가?' 하고 물어보아야만 한다고 했다.
그는 이것이야말로 경전을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가르쳤다. 그저, '나는 누구인가? 눈에 보이는 이것을
누가 보는가? 귀에 들리는 이것을 누가 듣는가?
나는 누구인가?'하고 물어보라.

- 마이클 A. 싱어의《상처받지 않는 영혼》중에서 -


* 누가 나를 보는가?
이렇게 자문하며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순간
'나'는 사라집니다. 내적 자유, 곧 내 안의 자유도
함께 사라집니다. 내가 나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내가 내 소리를 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됩니다.
내 안의 나를 만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을 해야 하는가?  (0) 2019.09.23
절제의 미학  (0) 2019.09.20
머리가 맑아졌다!  (0) 2019.09.18
오래된 사랑, 오래된 연애  (0) 2019.09.17
'오라' 에너지  (0) 2019.09.16
반응형

내가 할 말은 네가 원하는 대로 연주하면 된다는 거야.
세상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런 건 생각할 것 없어.


연주하고 싶은 대로 연주해서 너를 세상에 이해시키면 돼.
설령 십오년, 이십년이 걸린다고 해도 말이야.


- 재즈 피아니스트 텔로니어스 멍크

 

세상과 타협하면 빨리 이룰 순 있으나,
나만의 고유한 독창성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나만의 정체성이 없을 때, 오리진이 아닐 때
사람들은 열광하지 않습니다.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남의 시선을 의식함이 없이
오랜 시간 어려움을 겪더라도 ‘나다움’을 위해
꾸준히 정진하다 보면 어느새 명품이 탄생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하루하루 중요한 것을
놓치고 사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무엇이 중요한지조차 모르고 삽니다.
표면만 보고 살기 때문입니다. 영혼 없이
일을 하고, 영혼 없이 사람을 만나니 가장
중요한 때 가장 중요한 것을 못 보거나 놓치고
맙니다. 혼을 담아야 비로소 제대로 보이고
뜨겁게 사랑할 수 있습니다.


- 고도원의《혼이 담긴 시선으로》'서문' 중에서 -


* 수백 번 카메라 셔터를 눌러도
혼이 담기지 않으면 단 한 장의 사진도
작품으로 건질 수 없습니다. 혼이 담기지 않으면
아무리 오래 만나도 깊은 사랑을 할 수 없습니다.
혼이 담기지 않으면 아무리 바쁘게 일을 해도
경지에 이를 수 없고, 아무리 손끝이
빨라도 예술이 되지 못합니다.
혼이 담겨야 생명으로
살아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열정'  (0) 2015.03.27
거울 선물  (0) 2015.03.26
인생 검도  (0) 2015.03.24
'영혼의 우물'  (0) 2015.03.23
은하계 통신  (0) 2015.03.21
반응형
무섭다,고 말하려다
무사하다,고 하지요.
아슬아슬해,라고 말하려다
아름다워,라고 말하지요.
풀린다는 것과 물든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지요.
맙소사, 라고 말하려다
사랑스러워,라고 하지요.


- 김남조 외 시집《왜 사랑하는냐고 묻거든》중
김소연의 시 〈접전지〉중에서 -


* 말이 바뀌면
허물도 예쁘게 보입니다.
바라보는 시선 하나만으로도
미움이 사랑으로, 슬픔이 기쁨으로 바뀝니다.
죽어가던 사람도 살려냅니다.
생명으로 물들게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속 없는 과식'  (0) 2013.06.03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0) 2013.06.01
진정한 '자기만남'  (0) 2013.05.30
째깍 째깍 시간은 간다  (0) 2013.05.29
'할 수 있다'  (0) 2013.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