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에게는
오해도, 다툼도 없었다.
나는 모두의 사랑을 받는 여동생,
온 세상을 합친 것보다 더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여동생과 더 행복한 미래를 위해 활기차게 탐험 길을
나선 것 같았다. 나는 탐험 길에서 주변 세상을 보았다.
그 세상은, 존재했으되 과거에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세상이었다. 열정적이고 생기 넘치는 소년, 소녀들,
행복하고 희망에 찬 연인과 부부들도 많았지만
불행한 실패의 비율 또한 고통스러울
정도로 높았다.


- 샬럿 퍼킨스의《내가 살고 싶은 나라》중에서 -


* 오빠와 여동생.
참으로 특별한 관계입니다.
저에게도 두 여동생이 있습니다.
지난 세월 함께 쌓인 기억들이 많습니다.
쓴 맛 단 맛도 같이 맛보았고, 오해와 다툼도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깊은 형제애가 생겼고, 제법 나이 든 이제는
오해도 다툼도 없습니다. 삶의 고통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행복하고 희망에 찬 미래를 위한
탐험 길에 기꺼이 나섭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로부터 끝나고, 나로부터 시작한다  (0) 2021.09.06
15초 명상법  (0) 2021.09.03
'디아스포라'의 새로운 개념 - Diaspora  (0) 2021.09.01
손자와 함께 하는 기차여행  (0) 2021.09.01
인생의 단 맛, 쓴 맛  (0) 2021.08.30
반응형

진화란 실수나 실패를 반복해온 결과 일어난 것이라는 점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자연은 창조성이 풍부한 고차원의
진화 수준으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이것은 경탄해야 할 과정이다.
만약 실패가 자연계에서 허용되지 않았다고 한다면,
우리는 아직도 단세포의 아메바 상태였을 것이다.
- 존 나이스비트, 세계적 미래학자


질서가 습관을 낳는 반면, 혼돈은 때로 생명을 낳습니다. (헨리 아담스)
실패자야말로 때로 새로운 땅과 새로운 과제,
그리고 새로운 표현방식을 찾아내는 개척자입니다. (에릭 호퍼)

인류역사와 자연의 진화에서 우리는
실패를 통한 발전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유능한 경영인은
결정이 아무리 힘들고 어렵더라도
결코 미루지 않는다.
실패한 결정 10개 중 8개는
판단을 잘못해서가 아니라
‘제 때’ 결정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다.
- 짐 콜린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황이 확실해질 때까지
결정을 뒤로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영은 정답을 맞추는 게임이 아닌,
불확실성 속에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게임입니다.
합리적이고 정확한 의사결정 보다도
실패를 무릅쓴 과감한 의사결정을 적시에 내리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도산 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발뮤다가 존재하는 거죠.
실패나 위기는 큰 깨달음을 얻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사람은 실패했을 때 비로소 강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실패는 인생의 양식이에요.
그러니까 실패는 멋진 경험이라고 할 수 있죠.
실패가 클수록 더 큰 공부가 되요
- 테라오 겐 발뮤다 회장, ‘상식의 틀을 깨라’에서


누구나 실패를 두려워하지만 실패는 가능성을 시험한 결과일 뿐입니다.
실패는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 반드시 많이 겪어야 할 과정입니다.
실패를 거듭할수록 성공이 가까워집니다.
다만 같은 실패를 두 번 다시 하지 말아야 하고,
실패를 통해 더 많이 배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길을 가는 사람은 아무래도 곤경과 재난을 만나기 마련이다.
그것이 두려워 집 밖으로 나오지 않을 것인가?
어떠한 힘든 상황에 처하더라도 그것이 성공할지 실패할지
또는 자신이 죽을지 살지 따위에 연연해서는 그 무엇도 시도할 수 없다.
사람은 아직 도래하지 않은 두려움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
- 사이고 다카모리


‘두려워서 시도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도하지 않아서 두려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토니 로빈스)
크든 작든 불행은 자신의 마음이 만들어 냅니다.
실패와 두려움도 마찬가지입니다.
불행하다는 불평과 불만이 진짜 불행을 부르고,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진짜 실패를 부릅니다.
오직 성공만 생각하고 성공할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클림트는 1862년 7월 1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습니다.
장식 미술가이자 금세공사였던 아버지의
실패로 가족들은 가난하게 살았고요. 클림트는
크리스마스에도 집에 빵 한 조각이 없을 정도로
매우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지독한 가난을
겪어본 클림트는 성공하기 위해 그림을 그렸죠.
그는 예술가인 동생 에른스트와 친구 예술가인
프란치 마치와 함께 <아티스트 컴퍼니>를
설립해 벽화 의뢰를 받기 시작합니다.


- 정우철의《내가 사랑한 화가들》중에서 -


* 어린 시절의 지독한 가난,
비단 클림트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도, 특히 50~60세를 넘긴 사람들은
대개가 겪어본 처절한 경험입니다. 하지만
그 경험이 이를 악물고 도전하게 이끌었고 성공의
불쏘시개도 되었습니다. 구스타프 클림트도 처음부터
'키스'같은 걸작을 그린 것은 아닙니다. 마음에 맞는
친구와 만나 호구책을 위한 벽화부터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아빠란?  (0) 2021.06.30
'내일은 아이들과 더 잘 놀아야지'  (0) 2021.06.29
삶의 나침반  (0) 2021.06.28
검도의 가르침  (0) 2021.06.28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0) 2021.06.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