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다. 정말 더 무서운 건 뭐냐고?
내가 할 수 있는 노력을 모두 다하는 것과 하지 않고 나이 들어서 후회하는 것,
두 가지 중 무엇이 더 두렵겠나?
결국 후자가 더 두렵다. 시간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들은 평생 실패하고 실수할 시간이 남아 있는 셈이다.
실패는 좋은 경험이 된다.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닉 우드먼 (고프로 CEO)


“열정이 가장 중요하다. 결국 열정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열정, 관심사 이런 것들이 자신을 다른 사람과 다른 고유한 개체로 만든다.
열정이 있고 사랑하는 일이라면 내가 다른 사람보다 이 일을 잘할 가능성이 높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낼 가능성도 높다.”
닉 우드먼 고프로 창업자가 한국 창업 준비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누구나 언젠가는 공을 떨어뜨릴 때가 있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고,
사람들이 좋아하고, 또 사람들에게 잘 대하는 사람은
언젠가 실수로 공을 떨어뜨리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집어줄 것이다.
함께 달려줄 것이고, 또 그 사람을 위해 터치 다운 해줄 것이다.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경우, 공을 떨어뜨리더라도 그냥 놔둘 것이고,
결국 곤란한 상황에 처할 것이다.
- 개리 맥컬로, 커리어 에듀케이션 CEO


평판이 좋은 사람이 성공하면 사람들은 “내 그럴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 사람이 실패하면 “왜 그랬을까? 곧 좋아질거야”라고 이야기 합니다.
평판이 나쁜 사람이 성공하면 “웬일이야? 오래 가기 힘들거야.”라고 이야기 하고
실패하면 “내 그럴 줄 알았다”고 이야기 합니다.
좋은 평판은 올바른 성품, 그리고 늘 먼저 주는 행위가 쌓여 만들어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저는 우리 아마존이 실패하기에 세상에서 가장 좋은 장소이며,
실패와 발명은 떼어놓을 수 없는 사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실패를 아주 잘합니다. 엄청난 연습을 해왔으니까요.
결국 일을 진전시키는 것은
당신이 마주하는 문제, 실패, 성공하지 못한 것들입니다.
좌절을 겪을 때마다 다시 일어나 도전하는 것입니다.
- 제프 베조스, 아마존 창업회장


“실패에는 두 종류의 실패가 있습니다.
하나는 실험적인 실패입니다. 기뻐해야 하는 종류의 실패죠.
두 번째는 운영상의 실패죠. 이는 바람직한 실패가 아니죠.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 중이거나 특정 방법을 실험했는데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 것들은 훌륭한 실패니까요.
우리는 이 두 유형의 실패를 구분하며 발명과 혁신을 추구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물론 두 사람 다 옳다.
언제나 자신의 경험이 그러한 믿음을 만들기 때문이다.
- 헨리 포드, 포드 자동차 창업 회장


성공과 실패의 경험이 그러한 믿음을 강화시키기도 하지만,
오히려 생각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갈리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위대한 성과는 ‘큰 목표를 세우고, 할 수 있다는 강한 자신감 하에
과감히 도전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냅니다.
반면, ‘할 수 없다. 어렵다. 안될 것이다'라고 처음부터
지레 겁을 먹고 시작하면, 이룰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공은 실패의 꼬리를 물고 온다.
지금 포기한 것이 있는가? 그렇다면 다시 시작해 보자.
안되는 것이 실패가 아니라 포기하는 것이 실패다.
포기한 순간이 성공하기 5분전이기 쉽다. 실패에서 더 많이 배운다.
실패를 반복해서 경험하면 실망하기 쉽다. 하지만 포기를 생각해선 안된다.
실패는 언제나 중간역이지 종착역은 아니다. 길이 막혔거든 다른 길로 가라.
내 것이 아니다 싶은 것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내 것을 찾아 다시 도전하는 것,
삶은 그 시도만으로 충분히 아름다워질 수 있다.
- 이대희, ‘1%의 가능성을 희망으로 바꾼 사람들’ 에서


당신이 정말로 관심 있고,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당신은 ‘일에서 성공하려면 자신의 일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 한다.’는
주변의 조언과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당신의 일에 열정을 가지고 임하게 됩니다.
의무감에서 비롯되는 것은 결코 열정이 아닙니다.
열정은 당신의 내면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항상 그들이 처한 환경을 탓한다.
나는 환경을 믿지 않는다.
세상을 이끌어 가는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환경을 찾아다니고
찾을 수 없으면 그 환경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 조지 버나드 쇼, 영국 극작가


개인이나 조직이나 환경을 탓하기 시작하면,
소극적으로 변하게 되고 자신감을 잃게 됩니다.
결국 환경 탓을 한다는 것은
스스로 실패 가능성을 높이는 것에 다름 아닙니다.
위대한 경영자들은 성공하면 그 원인을 외부 환경, 즉 운으로 돌리고
실패하면 자기 탓을 한다고 합니다.
어려운 환경에 굴복하지 않고 환경 자체를 유리하게 변화시키는
‘환경창조형 경영’이 절실히 필요한 때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