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AI] 5W1H를 활용한 프롬프트 설계 방법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가이드 : https://www.promptingguide.ai/kr

 

 

5W1H는 AI에게 명확한 컨텍스트와 목표를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얻기 위한 훌륭한 프레임워크입니다.

 

5W1H는 누가(Who), 무엇을(What),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어떻게(How) 요소를 채워 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모델에게 제공하는 정보와 맥락을 명확히 하여, AI가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5W1H를 활용한 프롬프트 설계 방법 📝

5W1H(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 각 요소에 맞춰 AI에게 정보를 제공하면, AI는 사용자의 의도를 훨씬 더 잘 파악하고 정확한 결과물을 생성합니다.

1. Who (누가) - 역할 지정

AI에게 특정 전문가의 **역할(Persona)**을 부여하여 답변의 관점과 깊이를 정합니다.

  • Before: 쿼리 만들어줘
  • After: 너는 20년차 MS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야.

2. What (무엇을) - 작업 정의

수행해야 할 **핵심 작업(Task)**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지시합니다.

  • Before: 직원 데이터 좀 줘
  • After: 2024년도에 입사한 서울 지역 근무자들의 이름, 부서, 입사일을 조회하는 쿼리를 만들어줘.

3. When (언제) - 시점 명시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를 지정하여 원하는 기간의 정보만 필터링하도록 합니다.

  • Before: 판매 실적 알려줘
  • After: 2025년 3분기(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일일 판매 총액을 알려줘.

4. Where (어디서) - 환경/출처 지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환경이나 데이터의 출처(Source)**를 알려줍니다.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명시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 Before: 직원 테이블에서 찾아봐
  • After: SalesDB 데이터베이스의 Employees 테이블과 Departments 테이블을 사용해서 찾아봐.

5. Why (왜) - 목적 설명

이 작업을 수행하는 **궁극적인 목적(Purpose)**을 설명하여 AI가 더 나은 해결책을 제안하도록 유도합니다.

  • Before: 오래된 주문 찾아줘
  • After: 장기 미사용 고객에게 마케팅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최근 1년 동안 구매 기록이 없는 고객 목록을 추출하고 싶어.

6. How (어떻게) - 형식/조건 지정

결과물의 형식(Format)이나 스타일, 따라야 할 특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요구합니다.

  • Before: 쿼리 짜줘
  • After: CTE(Common Table Expression)를 사용해서 쿼리를 작성해 주고, 각 코드 줄마다 한국어로 주석을 상세하게 달아줘. 결과는 Markdown 테이블 형식으로 보여줘.
반응형
반응형

우선순위 결정에는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이 있다.
그 원칙들은 모두 분석이 아닌 용기와 관련된 것들이다.
첫째, 과거가 아닌 미래를 선택할 것,
둘째, 문제가 아니라 기회에 초점을 맞출 것,
셋째, 평범한 것이 아닌 독자성을 가질 것,
넷째, 무난하며 쉬운 것이 아니라 변혁을 가져다주는 것이 그것이다.
- 피터 드러커, ‘결과를 위한 경영’에서


이겨본 사람들이 잘 이기는 것처럼 성과창출도 일종의 습관입니다.
한번 성과를 낸 사람은 이후에도 계속 잘 하는 반면,
초기에 성과를 내지 못하면 오랫동안
저성과 조직(혹은 사람)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고성과 조직과 개인은 뭔가 특별한 원칙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가 아닌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와 같은
드러커 원칙은 잘 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brunch.co.kr/@delight412/550

 

코딩과 글쓰기는 비슷한 점이 많다

골든래빗이 펴낸 '개발자 원칙'은 다양한 기업 현장에서 뛰는 나름 경력 있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대한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담은 책이다. 9명이 강조하는 개발자 원칙이 담겼는데, 글쓰

brunch.co.kr

골든래빗이 펴낸 '개발자 원칙'은 다양한 기업 현장에서 뛰는 나름 경력 있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대한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담은 책이다. 9명이 강조하는 개발자 원칙이 담겼는데, 글쓰기를 업으로 삼다 보니 글쓰기과 코딩이 비슷한 점이 많다는 내용을 담은 장동수 데이원컴퍼니 CTO의 글이 눈길을 끈다.

글을 읽다 보니 글쓰기와 코딩은 비슷한 점이 참 많은 것 같다. AI와 관련한 변화에 직면한 것도 그렇고. 챗GPT가 나오면서 글쓰는 일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많은데, 코딩 쪽 역시 마이크로소프트 깃허브가 내놓은 코딩 AI 도우미인 코파일릿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신경과학자, 심리학자 그리고
진화론자들은 인간의 뇌가 사회적 협력의 즐거움과
필요성에 맞게 프로그램돼 있다는 데 동의한다.
우리의 뇌는 사회적 협력을 원하고,
필요한 경우 협력을 증진시킨다.


- 레이 달리오의《원칙》중에서 -


* 하버드대학의 한 교수는
원하는 만큼의 돈, 성공한 직업, 육체적 건강이 있어도
행복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랑스러운 관계'라고
이야기합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보고 싶은 사람들,
지금은 조금 멀어졌지만 그리운 사람들이 있지 않으신가요?
소중한 사람들에게 오랜만에 안부 인사 어떠세요?
'잘 지내요? 우리 오랜만에 차 한잔할까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을 느끼는' 황홀한 상태  (0) 2023.01.31
아빠가 되면  (0) 2023.01.30
보물 상자를 깔고 앉은 걸인  (0) 2023.01.27
진통제를 먹기 전에  (0) 2023.01.26
쉼이 가져다주는 선물  (0) 2023.01.25
반응형

단기와 장기 두 마리 토끼를 잡자

 

경영자는 맷돌에 코가 닿을 정도로 열심히 일하면서
시선은 나아가는 방향을 향해야 한다.
만약 경영자가 다가올 100일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하면
다가올 100년도 없을 것이다.
경영자는 무엇을 하든, 긴급함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장기 목표와 원칙을 추구해야 한다.
장단기 균형을 맞춰야 한다.
- 피터 드러커


리더는 장기적 관점에서 생각하며
단기적 결과를 위해 장기적 가치를 희생하지 말아야 합니다.
단기적인 이익에 집중하면,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 잠재력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장기적인 관점만을 유지할 경우 당장의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리더는 항상 단기적인 이익과 장기적인 성장 발전을 균형있게 추구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관계를 잘 맺으면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을 당신이 바라는 방식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그들로 받아들여보세요.
섣불리 판단하려들지 말고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성 그대로 이해하세요.
둘째, 가까운 사람에게 잘하세요.
가까운 사람에게 잘할 때 훌륭한 인재들이 몰려듭니다.
-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창업회장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셋째, 리스크가 아주 커 보이는 상황이라도 상대를 믿어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못 믿으면서 일을 시키는 리더는 반드시 실패합니다.
마지막으로 일을 추진해나갈 때 모든 사람들의 동의나 인정을 받지 않고서 지낼 수 있어야 합니다.
항상 모든 직원의 동의를 얻으려는 노력은 해롭고 비생산적이며 관계를 파괴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