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고대 유목 민족의 아이들은
말타기, 활쏘기, 씨름과 같은 놀이를 통해
기마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쌓아나갔다.
2,000년 전 중국 북방을 호령했던 흉노족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놀이를 하며 기마술을 익혔다. 걷기도 전부터
기마 놀이를 하며 말 타는 법을 익힌 셈이다.
그 결과, 그들의 넓적다리는 기마 자세를
하기에 편하도록 변형되기도 했다.


- 강인욱의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중에서 -


* 유목민들 아이들에게
말타기는 생활이자 놀이입니다.
어려서부터 사냥과 기마놀이를 하면서
말타기를 익히고, 그 기마술로 세계를 제패하는
꿈을 꿈고 이루었습니다. 우리에게도 유목 민족의
피가 흐르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기마놀이는
말타기가 아닙니다. 컴퓨터, 인터넷, 디지털,
AI(인공지능), 블록체인, 메타버스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여기에
걸려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프면 노래하고 기뻐도 노래하고  (0) 2023.11.14
가을 들판  (0) 2023.11.13
낮은 자세와 겸손을 배우라  (0) 2023.11.10
위대한 인생 승리자  (0) 2023.11.09
청년은 '허리'다  (0) 2023.11.08
반응형

유목민의 생활은
인간이 지닌 기술의 승리이다.
유목민들은 자신이 먹을 수 없는 거친 풀을
길들인 가축의 우유와 고기로 바꾸어 생활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철이건 제철이 아니건 헐벗고
메마른 초원 지대의 자생 식물에서 가축의 사료를
얻어야만 하므로, 변화하는 계절적 시간표에
세심하고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안 된다.
유목 생활 문화의 '뛰어난 곡예'는
가혹할 정도로 엄밀한 고도의
수준을 지닌 성격과 행동을
요구한다.


- A. J.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중에서 -


*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는 것이
유목민의 삶입니다. 변화무쌍한 자연과의 사투,
그 연속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뛰어난 곡예'가 필요했을 겁니다.
뛰어난 직관과 통찰, 결단력은 필수입니다.
따지고 보면 이것은 비단 유목민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도 요구되는
최선의 덕목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기 비슷한 힘  (0) 2023.06.19
들리는가  (0) 2023.06.18
'내 인생은 내가 만든다!'  (0) 2023.06.15
'한심한 못난이'가 되지 않으려면  (0) 2023.06.14
울엄마의 젖가슴  (0) 2023.06.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