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신의 몸에 대해 아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는 일의 시작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더욱이 그것은 사람을 표현하고, 

사람들에게 희망과 깨달음을 안겨줄 

의무를 지닌 예술가들에게는 

필수적인 일이죠. 


- 석정현의《석가의 해부학 노트》중에서 -


* 몸이 사람입니다.

몸이 없으면 사람이 아닙니다.

그 몸 안에 마음과 정신과 영혼이 깃들어 있고

그것을 공부하고 표현하는 것이 예술입니다.

몸 공부가 곧 예술 공부입니다.

내 몸을 제대로 아는 것이

그 시작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 작업  (0) 2017.06.15
'그림 같다'  (0) 2017.06.14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고통의 짐  (0) 2017.06.11
수행자의 네 가지 단계  (0) 2017.06.09
반응형

인생길에서는 

한 치 앞의 장애물도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곳곳을 가로막는 거대한 벽 앞에서 수없이 당황하고 

혹은 좌절하며, 또 멈칫거리게 된다. 가난으로 겪는 

어려움이나 재해에 의한 사건, 그리고 시시로

찾아오는 질병 등 그 수는 이루 

헤아리기도 어렵다.


- 김선화의《포옹》중에서 - 


* 사람이 살다보면 

뜻하지 않는 일들이 앞길을 가로막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것은 인간이 살아가는 한 겪어야 하는 

하나의 과정이기도 합니다. 삶을 괴롭히는 수많은 사건과 

고통, 역경을 이겨내는 방법은 강인한 정신과 인내,

믿음과 용기, 그리고 자신의 의지에 달렸습니다.

모든 힘은 자신으로부터 나옵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을 알자  (0) 2017.06.13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수행자의 네 가지 단계  (0) 2017.06.09
'예술의 어머니'  (0) 2017.06.08
산삼을 대하는 태도  (0) 2017.06.07
반응형

인생이라는 예술의 달인은 자신의 작업과 놀이, 노동과 쉼,

마음과 몸, 배움과 레크레이션 등을 굳이 구분하려 하지 않는다.

그것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 하지도 않는다.

무엇을 하고 있든 그저 최선을 다할 따름이다.

늘 그 둘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프랑수아 오귀스뜨 르네 사또브리앙


“‘일과 개인 삶의 균형’, 이 말은 아마

전문성과 창의력을 가진 직원에게는 모욕이 될지도 모른다.”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의 말입니다.

일이란 바로 삶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통제 대신 책임과 자유가 주어질 때 사람들은

일과 삶을 구분하지 않고 즐기며 살아가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불행한 사람과 행복한 사람의 차이는 간명하다.

없거나 부족한 쪽에 눈길을 주는 사람은

아무리 흘러 넘쳐도 만족할 줄 모른다.

그래서 항상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항상 있는 것 쪽에 눈길을 주고 산다.

그래서 항상 넘치는 행복 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행복과 불행의 차이는 단 하나,

‘생각과 관점의 차이’일 뿐이다.

- 승한 스님, ‘좋아 좋아’에서

 

부족한 것에 눈을 돌리면 불행해집니다.

가진 것에 만족하면 누구나 행복해집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말합니다.

“인간이 불행한 이유는 자신이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단지 그것뿐이다.”



.

반응형
반응형

주문을 외우듯이 

이 말을 기억하십시오. 

"최선을 다하되 결과에 상관없이 

너 자신을 괴롭히지 말라." 


- 알렉상드르 졸리앙 외의《상처받지 않는 삶》중에서 -


* 자신도 모르는 사이

스스로를 괴롭히는 일이 많습니다.

스스로 괴롭히면 구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단호한 결심이 필요할 뿐입니다.

"내가 나를 괴롭히지 않겠다!"

"그저 최선을 다하겠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에 가장 행복했던 순간  (0) 2017.05.18
만끽한다는 것  (0) 2017.05.17
젊음이 즐겁고 노후는 더 즐거워  (0) 2017.05.15
내 가슴이 시키는 길  (0) 2017.05.15
난생 처음 먹어 보는 맛  (0) 2017.05.12
반응형

직장에서 일하는 것에 만족하는 직원은 많지 않다.

그러나 직원 대부분은 회사에서 쓸모 있는 사람이 되기를 원하며,

더 나아가 자신이 하는 일로 인해 

세상이 밝고 흥미롭게 변하기를 바란다.

어떤 직원도 자신이 일하고 있는 회사가

부끄럽게 행동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 이본 쉬나드, 파타고니아 회장(‘리스판서블 컴퍼니 파타고니아’에서)

 

직원들은 세상에 도움이 되는,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하는데서 만족감을 느끼고 일에 몰입하게 됩니다.

소비자들 역시, 경기가 나쁠수록

일반적인 기업과의 거래를 줄이면서,

존경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기업과의 거래를 늘려갑니다.

이제는 착한 기업이 성공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