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제력은
감정보다도 인격적인 완벽함을
요구합니다. 타이밍이 맞아야 하고
계산도 치밀해야 하지요.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해서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때를 기다리며 인내할 줄 아는
지혜를 갖춰야 합니다.


- 나폴레온 힐의 《놓치고 싶지 않은 나의 꿈 나의 인생 3》 중에서 -


* 포기하고 싶을 때.
막다른 길에서 누구나 겪는 절망의 순간입니다.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심호흡하며 그 순간을
견디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삶은 그것만으로도 뜻밖의
반전을 준비합니다. 눈을 감고, 숨을 깊이 들이쉬고
내쉬며, 내면의 나를 만나보십시오. 지혜의 샘,
현명한 답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절망이 희망으로 바뀔 겁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쁘다는 핑계로  (0) 2025.03.10
봄눈  (0) 2025.03.10
클래식과 함께 읽고 쓴다  (0) 2025.03.06
산티아고 오르막길에서, 내 등을 밀어준 사람  (1) 2025.03.05
하루 한 시간씩 열흘!  (0) 2025.03.05
반응형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마저
아무런 반향도 얻지 못하자 니체는 이렇게 쓴다.
"가장 깊은 영혼에서 그렇게 불렀는데도 대답 소리
하나 듣지 못하니, 이는 끔찍한 체험이다. 그것은 나를
살아 있는 사람들과의 모든 유대에서 쫓아냈다."
그런데도 그는 자신의 길을 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또한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라는 것도
의식하고 있었다.


- 빌헬름 바이셰델의 《철학의 뒷계단》 중에서 -


* 니체가 심혈을 기울여 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당대에는
빛을 보지 못했으나 이제는 고전 중의 고전으로
꼽히는 명작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우매한' 군중
속에서 초인을 소환하는 공허한 외침은 니체를
심연의 가장자리에 서게 했습니다. 그래서
말년 10년을 정신병원에서 보내야 했던
니체의 절망이 아프게 다가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  (0) 2024.12.09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2024.12.06
깨달음이란  (0) 2024.12.04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2024.12.03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2024.12.02
반응형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우리는 어떻게 되나요?
말도 안 되는 행동, 엉뚱한 행동을
서슴지 않고 하게 되잖아요. 그를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지금까지 이토록 소심하게 살아왔나
후회까지 하지요.


- 정여울의 《끝까지 쓰는 용기》 중에서 -


* 사랑에 빠지면
누구나 '초인'이 됩니다.
불가사의한 힘이 솟구칩니다.
그를 위해서는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지만,
또한 그를 잃을까 한없이 두렵기도 합니다.
절정과 절망의 나락을 오가며 극렬하게
살아있음을 느낍니다. 삶 가운데 가장
큰 축복의 선물인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언제나 심연의 가장자리에 있다'  (0) 2024.12.05
깨달음이란  (0) 2024.12.04
세포가 춤추고 있다고 상상하라  (0) 2024.12.02
첫눈  (0) 2024.12.02
손짓 하나만으로도  (0) 2024.11.29
반응형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은
전염병과도 같다. 건강에도 나쁘다.
앤지 리로이와 동료 연구자들은 200명 이상의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얼마나 외로움을 느끼는지
설문 조사를 했다. 그런 다음, 그들에게 일반적인 감기
바이러스를 투여한 뒤 격리된 호텔 방에서 지내게 하면서
아픈 동안의 감정을 기록한 결과를 '건강심리학'지에
발표했다. "아플 때 외로운 사람들은 덜 외로운
사람들보다 더 기분이 나빠졌다."


- 코니 츠바이크의 《오십부터 시작하는 나이듦의 기술》 중에서 -


* 키에르케고르는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라 했습니다.
그러나 절망보다 더 괴로운 병이 '외로움'입니다.
세계 인구가 80억 명인데 내 곁에는 아무도 없는
적막감에 사람들은 힘없이 무너집니다. 특히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은 심각합니다.
피땀 흘려 오늘의 한국을 일으킨
그들에게 외로움은 죽음보다
더 무섭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본다  (0) 2024.05.27
배달 음식  (0) 2024.05.24
아이는 하루에 삼백 번을 웃는다  (0) 2024.05.22
심장이 쿵쾅거리는 기쁨  (0) 2024.05.21
들을 수 있는 소리만 듣는다  (0) 2024.05.20
반응형

절망은 극적인 변화를 위한 원료이다.
자기가 믿었던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자만이 탈출을 꿈꿀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선택한 전략에 리스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건 결코 전략이라고 할 수 없다.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

프랑스 소설가이자 철학자인 장 폴 사르트르는
'천재는 재능이 아니라 절망적인 처지 속에서 만들어지는
돌파구이다.'라고 갈파했습니다.
희망이란 절망 속에서 피는 꽃입니다.
창의와 혁신은 인생의 벼랑 끝에서 
절망을 에너지 삼아 미칠 듯이 몰입할 때 얻어지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hVIRJwHwvs 

 

반응형
반응형

제2차 대전 당시, 유태인 의사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곳은 지옥보다 더 끔찍한 곳이었다. 발진티푸스에
걸리고 만 그는 고열에 시달리며 생사를 넘나들었다.
하지만 그는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살아야 할 이유가 있었다. 병마를 이겨낸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의 수감자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가치 있는
목표를 가진 사람이 살아남은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호아킴 데 포사다의《바보 빅터》중에서 -


* 당신의
살아야 할 이유는 무엇입니까?
당신께 묻는다면 무어라 답하겠습니까.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우리는 살아야 합니다.
선한 목표와 꿈이 있기 때문에 살아야만 합니다.
고난과 역경이 절망의 끝이 아니라 희망의 시작임을
증명하기 위해 더 열심히 살아남아야 합니다.
살아있는 것이 사랑입니다.
가장 큰 승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의 뒷마당  (0) 2023.02.10
깨달음  (0) 2023.02.09
'우리편'이 주는 상처가 더 아프다  (0) 2023.02.07
아, 그 느낌!  (0) 2023.02.06
좋은 독서 습관  (0) 2023.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