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에게 디아스포라는
지리적, 사회, 정치적 개념이 아닙니다.
매일 나 스스로를 부수고 깨뜨리려는 사유 속에
작동하는 철학적 존재론적 개념입니다. 나는 늘
디아스포라가 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합니다. 내가
스스로 멈추고 안주하는 순간 나 자신을 깨뜨려 밖으로
나가려고 하고 주류가 되어 편해지는 순간 경계인이 되어
불편해지려고 하고, 안도감으로 느슨해지는 순간
나 자신을 부정해 다시 깨달으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디아스포라적 삶을 추구하고
살아갑니다."


- 전후석의《당신의 수식어,  
  더 큰 세상을 위한 디아스포라 이야기》중에서 -


* 철학자 최진석 교수의 말입니다.
'디아스포라'가 지리적 개념보다 더 큰 상위의
철학적 개념이라는 이 구절에 저도 번쩍 눈이 떠졌고
깊이 동감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한민족도 750만 명의
디아스포라가 있습니다. 아프칸의 디아스포라도
우리나라에 왔습니다. 정체성의 뿌리를 찾되
그에 갇히지 않고 디아스포라적 사유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디아스포라(영어: diaspora)는 특정 민족이 자의적이든지 타의적이든지 기존에 살던 땅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단을 형성하는 것, 또는 그러한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 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διασπορά에서 유래한 말이다. 유목과는 다르며, 난민 집단 형성과는 관련되어 있다. 난민들은 새로운 땅에 계속 정착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나, 디아스포라란 낱말은 이와 달리 본토를 떠나 항구적으로 나라 밖에 자리잡은 집단에만 쓴다. 이외에도 노동자, 상인, 제국의 관료로서 이주한 사례도 디아스포라에 해당한다.

디아스포라 문화는 원주지역 사람들의 문화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된다. 여기에는 문화나 전통, 혹은 서로 떨어진 원집단과 디아스포라 집단 사이의 다른 차이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디아스포라 집단에서 문화적 결속은 흔히 이들 집단이 언어 변화에 대해 집단적으로 저항한다거나 고유의 종교 의식을 계속 유지하는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초 명상법  (0) 2021.09.03
오빠와 여동생  (0) 2021.09.02
손자와 함께 하는 기차여행  (0) 2021.09.01
인생의 단 맛, 쓴 맛  (0) 2021.08.30
'정든 곳이 있나요?'  (0) 2021.08.30
반응형

제게 '쓰기'는 호흡과도 같아요.
위로고, 치유고, 정체성이고, 해답이고,
때로는 뒷북이기도 합니다. 그때 왜 그렇게
힘들었는지, 화가 났는지, 무엇이 원인이었는지
당시에는 알지 못했던 감정을 뒤늦게 깨닫고 절대
풀리지 않을 것 같던 실타래를 풀어내게 하는
마법이 '글'이더라고요. 내면을 글로
써 보니까 비로소 그 감정의
정체를 알겠더라고요.


- 김성은의《점자로 쓴 다이어리》중에서 -


* 저도 엊그제 BDS(꿈너머꿈 국제학교)
학생들과 '글쓰기 공부'를 했습니다. 무꽃을
한 아름 꽃병에 가득 담아 한 번은 '느낌'만 적고,
또 한 번은 '관찰기'를 자세히 적게 했습니다.
그리고 "전체 느낌을 한 줄에 담고, 세세한
관찰을 그림처럼 적어가는 것이 글쓰기의
시작이다"라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자기
내면과 감정의 정체도 글쓰기의
무궁무진한 재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도의 가르침  (0) 2021.06.28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0) 2021.06.24
인간이 씨뿌린 재앙  (0) 2021.06.22
어머니의 육신  (0) 2021.06.21
늙는 것에 초연한 사람이 있을까  (0) 2021.06.21
반응형

모든 인간은 남에게 무언가를 내주도록 만들어졌다.
이것이 우리의 정체성이다. 주는 자가 더 행복하고 더 큰 평화를 발견한다.
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좋은 일이 생긴다.
주는 자는 자신을 초월하는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행복하고,
더 큰 성취감을 느낀다.
- 더글러스 홀러데이, ‘여덟가지 인생 질문’에서


타인에게 주는 것은 곧 자신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타인을 기쁘게 해주면 자신은 더 큰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평소에 뭔가를 내주는 데 익숙한 사람은 더 큰 행운을
얻을 가능성이 주는 것에 비례해 더 커집니다.
다른 사람에게 내어준 것이 결국 내가 남긴 유산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걱정하는 한,
당신은 그들에게 소유된 셈이다.
외부의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비로소
당신은 스스로의 주인이 될 수 있다.
- 닉 도널드 월시

“외부의 시선과 내면의 목소리, 어느 쪽에 중점을 둘 것인가?”
스토아학파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물음입니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연연할수록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스스로 떳떳할 수 있다면 외부 시선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내면이 먼저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심리학자 에릭 클링거의 말처럼,

인간의 뇌는 목적 없는 삶을 견딜 수 없다.

(the human brain cannot sustain purposeless living)

의미의 발견이 고통을 이겨내게 하는 힘이 있다.

반면 의미의 부재는 쾌락을 고통으로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

인간은 의미를 향한 의지가 충만한 존재다.

의미는 우리 삶에 질서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준다.

- 최인철, ‘굿 라이프’에서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면 많은 정신병리적 문제와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심할 경우 자살 충동까지 일으킨다고 합니다.

의미를 경험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알츠하이머병에 취약하고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이 높으며 평균 수명도 낮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인간은 의미를 먹고 살아갑니다.

좋은 삶, 행복한 삶은 의미가 가득한 삶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음식은 

또한 즐거움에 관한 것이고, 

공동체에 관한 것이고, 가족과 영성에 

관한 것이다. 우리와 자연세계의 관계에 

관한 것이고, 우리의 정체성 표현에 

관한 것이다. 


- 김선미의《외롭거든 산으로 가라》중에서 - 



* 즐거움으로 말하면 

'먹는 즐거움'을 따를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먹는 즐거움에 머문다면

많은 것을 잃고 맙니다. 가족과 공동체의 건강과 

행복을 떠올리고 자연과 사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도 생각하면서 먹으면 '먹는 즐거움'이

인생의 즐거움으로 승화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스트 파트너  (0) 2017.09.13
내면의 그릇  (0) 2017.09.12
리더의 비정함과 사랑  (0) 2017.09.11
당신은 나의 꽃, 나의 향기  (0) 2017.09.08
꿈꾸고 춤춘다  (0) 2017.09.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