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한 번도
 춤추지 않았던 날은
 잃어버린 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하나의 큰 웃음도 불러오지 못하는 진리는
 모두 가짜라고 불러도 좋다.


- 사이토 다카시의《곁에 두고 읽는 니체》중에서 -


* 아이들을 보면
 춤과 웃음이 몸에 배어있는 듯합니다.
어떤 인위적인 규칙없이 마음대로 몸을 움직이며
 즐거움을 발산하는 아이들의 움직임은 자유로움 그 자체입니다.
관습과 타인의 시선에 갇혀 진정한 자아를 잃어버린 채
 방황하는 우리 모두, 지금 아이처럼 춤을 추고
 웃음을 선사해야 할 시간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선택, 현명한 사람  (0) 2017.08.16
외교에도 명상이 필요하다  (0) 2017.08.16
쉼표에 잠수하다  (0) 2017.08.14
돌담  (0) 2017.08.11
링컨의 연설이 사람을 사로잡은 이유  (0) 2017.08.10
반응형
가난해서 춤을 추었다


"나는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부터 춤을 추기 시작했다."
'현대무용의 어머니', 이사도라 덩컨의 말이다.
그녀는 평생토록 춤을 추었지만 언제나 가난했고,
가난했지만 평생토록 춤을 추었다. 가난이 춤
외에는 모든 것을 잊게 했고, 가난이 그녀를
보다 더 큰 무대로 내몰았다. 희망과 열정,
그녀의 삶과 예술은 이 두 낱말로
요약될 수 있다.


- 홍영철의《너는 가슴을 따라 살고 있는가》중에서 -


* 저에게도
그런 시절이 있었습니다.
'배가 너무 고파서 책을 읽었고.
먹을 것이 없어서 꿈을 먹고 살았던' 시절...
그 책과 꿈이 희망을 안겨 주었습니다.
뜨거운 열정을 품게 했습니다.
춤을 추게 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묵하는 법  (0) 2013.11.28
방 청소  (0) 2013.11.27
자기암시, 자기최면  (0) 2013.11.25
겁먹지 말아라  (0) 2013.11.23
구경꾼  (0) 2013.11.22
반응형
때로는 무언의 몸짓이
마음을 가장 잘 전달한다.
상처받거나 거부당하거나 이용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걱정 밑에, 무수한 핑계와 변명 밑에
깊고도 단순한 맥박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서로 이 맥박을 확인해야만
온전해질 수 있다.


- 마크 네포의《고요함이 들려주는 것들》 중에서 -


* 춤도 '무언의 몸짓'입니다.
아무 말이 없어도 모든 것을 느낍니다.
우리가 꾸는 꿈도 '무언의 몸짓'입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그 길을 갑니다.
살아 있는 사람만 춤을 출 수 있습니다.
살아 있는 사람만 꿈꿀 수 있습니다.
춤과 꿈은 한 몸입니다.
그래서 '꿈춤'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0) 2013.03.21
기꺼이 '깨지는 알'  (0) 2013.03.20
고비마다 나를 살린 책  (0) 2013.03.18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능력  (0) 2013.03.16
그 사람을 아는 법  (0) 2013.03.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