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육체와 벗이 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것은 자신의 육체와 소통하는 언어이다.
육체와 소통하고 대화하고, 그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고대 티베트에서 알려진 단련법이다.
현대 의학은 현자들과 신비가가 알고 있었던 것을
이제야 인지하기 시작했다. 마음과 육체는
분리되어 있는 게 아니라,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오쇼의 《바디 마인드 밸런싱》 중에서-


* 분명 내 몸인데
내 몸인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몸은 분명 뭔가 소리를 내며 신호를 보내는데
도무지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명상법 중에 자신의 몸과 대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통증이나 질병이 있는 부위와 소통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문득 자신이 무엇을 잘못 해오고
있었는지를 알게 되고, 일순간에 통증이
사라지는 신비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내가 내 몸과 벗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소의 뿔처럼  (0) 2024.02.29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0) 2024.02.28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0) 2024.02.26
그리움  (0) 2024.02.24
땅바닥을 기고 있는가, 창공을 날고 있는가?  (0) 2024.02.23
반응형

맞아야 할 돌이라면 내가 대신 맞겠다

얼어있는 호수가 안고 있는 돌멩이

더 깊이 몸에 박힐수록

아픈 곳이 녹는다


- 박화남의 시집 《맨발에게》 에 실린 시 〈죄와 벌〉 전문 -


* 누구나가 깊디깊은 곳에
저마다의 돌멩이가 박혀 있습니다.
소리 없이 깊이 박혀 있다가 삶의 어느 순간
생채기를 내고 아픈 통증을 안겨주곤 합니다.
우리가 할 일은 분명합니다. 그 돌멩이를 사랑과
연민으로 감싸 안아 영롱하고 아름다운 진주로
재창조하는 것입니다. 박힌 돌멩이가 크면
클수록 더 큰 진주가 만들어집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주 위험한 인생  (0) 2023.09.05
겸손  (0) 2023.09.04
신묘막측한 인간의 몸  (0) 2023.09.04
부모와 자식 사이의 대화  (0) 2023.08.31
지금, 여기, 나 자신!  (0) 2023.08.30
반응형

우리는 모두 통증을 느끼는 존재다.
이 통증은 살아 있다는 감각이며, 살기 위한
감각이기도 하다. 물론 머리가 깨질 듯한 치통과 통풍,
대상포진, 급성 복막염, 요로결석,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등에
의한 통증을 살기 위한 감각이라고 하긴 힘들다. 하지만
이런 통증은 적어도 우리 몸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다. 정상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통증이 느껴지는 것 또한 몸이 보내는
이상 신호다.


- 이승원의《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중에서 -


* 통증은 우리에게 위험을 감지시킵니다.
아픈 곳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여, 그동안 놓치고
무심했던 것을 돌아 보게 합니다. 죽은 몸은 통증을
느끼지 못합니다. 나병이라 불리는 한센병이 한층
무서운 것은 통증 감각을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통증은 어쩌면 살아있는 나의 영혼이 보내는
메시지인지도 모릅니다. 진통제를 먹기 전,
잠시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스러운 관계'  (0) 2023.01.29
보물 상자를 깔고 앉은 걸인  (0) 2023.01.27
쉼이 가져다주는 선물  (0) 2023.01.25
한마음, 한느낌  (0) 2023.01.24
편안한 쉼이 필요한 이유  (0) 2023.01.20
반응형

쉼은 자신이
편안하고 존엄하다고 느끼는
안정된 상태다. 반대로 진정 쉬고 싶을 때
쉬지 못한다는 것은 지금 느끼는 통증을 달래고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의지가 외부 힘에 의해 강제로
억눌려 있음을 의미한다. 존재와 삶의 자율적 의지가
꺾이는 것이다. 자기 스스로 상황을 통제하거나
행동을 결정하지 못하고, 자기를 힘들게 하고
원치 않는 일을 억지로 계속해야
하는 것이다.


- 이승원의《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중에서 -


* '쉼'의 한자어는 '휴식'(休息)입니다.
휴(休)는 사람(人)이 나무(木) 곁에 있는 모양입니다.
식(息)은 마음(心) 위에 스스로 자(自)가 있고, 숨을
의미합니다. 숨과 쉼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쉬면 숨이 편안해지고, 뛰거나 긴장하면 숨이
편할 수 없습니다. 사람이 나무 곁에서 숨을
쉬는 것, 그것이 진정한 쉼입니다.
숨도 편안해질 것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쉼이 가져다주는 선물  (0) 2023.01.25
한마음, 한느낌  (0) 2023.01.24
회의 시간은 1시간 안에  (0) 2023.01.19
뿌리 깊은 사랑  (0) 2023.01.18
'억울하다'라는 말  (0) 2023.01.17
반응형
요즘은 다들 불안하다. 걱정거리도 많고 잠이 안 올 때도 많다.
미래에 대한 불안도 크다. 이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아는가?
불안하니까 대비를 하고 대책을 세우는 거다.
불안보다 더 심각한 두려움이나 공포도 한편으로는 감사할 일이다.
덕분에 살아있는 것이다.
- 신영철 교수, ‘그냥 살자’에서

신교수는 말합니다.
“아프다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아픈 것도 감사할 일이다.
아프지 않으면, 통증이 없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뜨거운 것을 만질 때 피할 수 있는 건 통증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진짜 아픈 분들에게 하는 소리는 아니지만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감사할 일이 참 많다는 뜻이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 몸의 세포는 
너무 뜨거워도 죽게 되고, 
너무 차가워도 죽게 된다. 
세포가 죽으면서 나타나는 현상이 통증인데, 
머리는 뜨거워지면서 통증이 생기게 되고 
몸은 차가워지면서 통증이 생기게 된다. 


- 김종수의《뜨거운 물 단식의 기적》중에서 -


* 그래서
머리는 늘 서늘해야 좋고
손발은 늘 따뜻해야 좋습니다.
찬 기운은 머리로, 따뜻한 기운은 
아래로 흐르게 하는 것이 운동입니다.
이것을 잘 순환시키는 것이 명상호흡입니다.
운동과 호흡이 통증 치유의 비결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걷는 길은 없다  (0) 2018.04.21
미래를 걱정하는 습관  (0) 2018.04.20
늘 푸른 청춘  (0) 2018.04.18
도전정신  (0) 2018.04.17
너무 아픈 기억  (0) 2018.04.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