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github.com/ngio/python_study/blob/main/true_false_quiz.py

 

GitHub - ngio/python_study: python, konply, numpy, matplotlib, networkx, pandas

python, konply, numpy, matplotlib, networkx, pandas - GitHub - ngio/python_study: python, konply, numpy, matplotlib, networkx, pandas

github.com

 

    What will be the output? 
    A.True
    B.False
    C.Error
    D.None of above 

"""_summary_
    What will be the output? 
    A.True
    B.False
    C.Error
    D.None of above
"""

a = True
b = False

print(a or a and b and a)

"""
    True
"""
반응형
반응형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ip_match(n, m): # 이분 매칭
    for nn, mm in [(n, m - 1), (n, m + 1), (n - 1, m - 1), (n - 1, m + 1), (n + 1, m - 1), (n + 1, m + 1)]: # 6방향으로 탐색
        if 0 <= nn < N and 0 <= mm < M and not visited[nn][mm] and seat[nn][mm]:
            visited[nn][mm] = True
            if connect[nn][mm] == [-1, -1] or bip_match(connect[nn][mm][0], connect[nn][mm][1]):
                connect[nn][mm] = [n, m]       
                return True
    return False

for _ in range(int(input())):
    N, M = map(int, input().split())
    matrix = [input().strip() for _ in range(N)]
    
    seat = [[False] * M for _ in range(N)] # 앉을 수 있는 자리인지 저장하기 위한 행렬
    answer = 0
    for n in range(N):
        for m in range(M):
            if matrix[n][m] == '.':
                seat[n][m] = True
                answer += 1 # 앉을 수 있는 자리이면 seat 갱신해주고 answer에 자리 수 저장
                
    connect = [[[-1] * 2 for _ in range(M)] for __ in range(N)] # 각 자리 별 연결 위치를 저장하는 행렬
    for n in range(N):
        for m in range(0, M, 2): # 여기서 짝수로 해도 되고 홀수로 해도 된다. 물론, 둘 다 하면 안된다.
            if seat[n][m]:
                visited = [[False] * M for _ in range(N)]
                if bip_match(n, m):
                    answer -= 1 # 이분 매칭이 될 때마다 앉을 수 있는 자리가 하나씩 줄어든다
                    
    print(answer)

# 출처 : https://velog.io/@vkdldjvkdnj/boj01014

 

""" [백준] 1014번 컨닝  Cheating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14
    문제
        최백준은 서강대학교에서 “컨닝의 기술”이라는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이 과목은 상당히 까다롭기로 정평이 나있기 때문에, 몇몇 학생들은 시험을 보는 도중에 다른 사람의 답지를 베끼려 한다.
        시험은 N행, M열 크기의 직사각형 교실에서 이루어진다. 교실은 1×1 크기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단위 정사각형은 자리 하나를 의미한다.
        최백준은 컨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세웠다. 모든 학생은 자신의 왼쪽, 오른쪽, 왼쪽 대각선 위, 오른쪽 대각선 위, 이렇게 총 네 자리에 앉아있는 친구의 답지를 항상 베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자리 배치는 모든 학생이 컨닝을 할 수 없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위의 그림을 보자. A, C, D 혹은 E에 다른 학생을 앉히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그 이유는 이미 앉아있는 학생이 그들의 답안지를 베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B에 다른 학생을 앉힌다면, 두 학생은 서로의 답지를 베낄 수 없어 컨닝의 우려가 없다.
        위와 같이 컨닝이 불가능하도록 자리를 배치 하려는 최백준의 행동에 분노한 일부 학생들이 교실의 책상을 부숴버렸기 때문에, 일부 자리에는 학생이 앉을 수 없다.
        최백준은 교실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이 곳에서 아무도 컨닝을 할 수 없도록 학생을 배치하였을 경우에 교실에 배치할 수 있는 최대 학생 수가 몇 명인지 궁금해졌다. 최백준을 위해 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는 아래와 같이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교실의 세로길이 N과 가로길이 M이 한 줄에 주어진다. (1 ≤ M ≤ 10, 1 ≤ N ≤ 10)
        두 번째 부분에서는 정확하게 N줄이 주어진다. 그리고 각 줄은 M개의 문자로 이루어져있다. 모든 문자는 ‘.’(앉을 수 있는 자리) 또는 ‘x’(앉을 수 없는 자리, 소문자)로 구성된다.
    출력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그 교실에서 시험을 볼 수 있는 최대 학생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4
    2 3
    ...
    ...
    2 3
    x.x
    xxx
    2 3
    x.x
    x.x
    10 10
    ....x.....
    ..........
    ..........
    ..x.......
    ..........
    x...x.x...
    .........x
    ...x......
    ........x.
    .x...x....
    
예제 출력  
    4
    1
    2
    46   

>> BOJ\1014_Cheating.py
4
2 3
...
...
4
2 3
x.x
xxx
1
2 3
x.x
x.x
2
    
"""

반응형
반응형

""" [백준] 1013번 Contact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13
    문제
        “무한히 넓은 저 우주에 인류만이 홀로 존재한다면, 그건 정말 슬픈 일이 아닐까요”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에 위치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Arecibo radio telescope)은 수십 년째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르는 외계 문명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 밤하늘을 바라보고 있다.
        이 망원경이 수집한 전파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힘든 패턴들을 찾아내어, 그것을 증거로 외계 문명의 존재 여부를 가리려는 노력은 줄곧 이어져왔지만 아직까지도 그러한 패턴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 천문학계의 자존심 김동혁 박사는 국내 기술로 이러한 탐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다음의 전파 표기를 표준으로 삼았다.
        전파의 기본 단위는 { 0 , 1 } 두 가지로 구성되어있으며, x+ (  ) 는 임의의 개수(최소 1개) x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전파의 집합을 나타낸다.
        (xyx)+ (  ) 는 괄호 내의 xyx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전파의 집합을 뜻한다. 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제이다.
        1+ = { 1, 11, 111, 1111, 11111, … }
        10+ = { 10, 100, 1000, 10000, 100000, … }
        (01)+ = { 01, 0101, 010101, 01010101, 0101010101, … }
        (1001)+ = { 1001, 10011001, 100110011001, … }
        10+11 = { 1011, 10011, 100011, 1000011, 10000011, … }
        (10+1)+ = { 101, 1001, 10001, 1011001, 1001101, 100011011000001, … }
        반복을 의미하는 + 외에도 or 를 의미하는 | 기호가 있다. { x | y } 는 x 혹은 y 를 의미하는 것으로, { 0+ | 1+ } 는 { 0 , 1 , 00 , 11 , 000 , 111 , … } 의 집합을 의미한다. 아래는 두 기호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예이다.
        (100 | 11)+ = { 100 , 11 , 10011 , 11100 , 1110011100 , 100111111100100, … }
        최근 김동혁 박사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서 star Vega(직녀성) 으로부터 수신한 전파 기록의 일부를 조사하여 그 전파들의 패턴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기록하였다.
        (100+1+ | 01)+
        김동혁 박사는 다양한 전파 기록 중에서 위의 패턴을 지니는 전파를 가려내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전파를 표현하는, { 0, 1 }만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공백 없이 주어진다. 문자열 길이는 (1 ≤ N ≤ 200)의 범위를 갖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주어진 전파가 문제에서 제시한 패턴이면 “YES”를 그렇지 않은 경우는 “NO”를 출력한다. 출력 문자열은 모두 대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예제 입력  
        3
        10010111
        011000100110001
        0110001011001
    예제 출력  
        NO
        NO
        YES
        
        
>> BOJ\1013_Contact.py
3
10010111
NO
011000100110001
NO
0110001011001
YES
          
re 모듈 : 정규식 엔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
compile 메소드: 정규식 패턴 입력
fullmatch 메소드: 입력된 패턴과 문자열이 남는 부분 없이 완벽하게 일치하는지 검사. 일치하지 않으면 None.
"""

import r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p = re.compile('(100+1+|01)+')
for i in range(int(input())):
   s = input().strip()
   if p.fullmatch(s):
       print("YES")
   else:
       print("NO")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12번 유기농 배추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12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www.acmicpc.net

T = int(input())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dx = [-1,1,0,0]
dy = [0,0,-1,1]

def BFS(x,y):           
    queue = [(x,y)]
    matrix[x][y] = 0 # 방문처리

    while queue:
        x,y = queue.pop(0)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nx < 0 or nx >= M or ny < 0 or ny >= N:
                continue

            if matrix[nx][ny] == 1 :
                queue.append((nx,ny))
                matrix[nx][ny] = 0

# 행렬만들기
for i in range(T):
    M, N, K = map(int,input().split())
    matrix = [[0]*(N) for _ in range(M)]
    cnt = 0

    for j in range(K):
        x,y = map(int, input().split())
        matrix[x][y] = 1

    for a in range(M):
        for b in range(N):
            if matrix[a][b] == 1:
                BFS(a,b)
                cnt += 1

    print(cnt)

 

>1012_OrganicCabbage.py 
1
5 3 6
0 2
1 2
2 2
3 2
4 2
4 0
2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11번 FlymetotheAlphaCentauri - PYTHON


    Fly me to the Alpha Centauri
    https://www.acmicpc.net/problem/1011
 

  
    문제
         우현이는 어린 시절, 지구 외의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들이 살아갈 수 있는 미래가 오리라 믿었다. 
        그리고 그가 지구라는 세상에 발을 내려 놓은 지 23년이 지난 지금, 세계 최연소 ASNA 우주 비행사가 되어 새로운 세계에 발을 내려 놓는 영광의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그가 탑승하게 될 우주선은 Alpha Centauri라는 새로운 인류의 보금자리를 개척하기 위한 대규모 생활 유지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크기와 질량이 엄청난 이유로 최신기술력을 총 동원하여 개발한 공간이동 장치를 탑재하였다. 
        하지만 이 공간이동 장치는 이동 거리를 급격하게 늘릴 경우 기계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서, 
        이전 작동시기에 k광년을 이동하였을 때는 k-1 , k 혹은 k+1 광년만을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장치를 처음 작동시킬 경우 -1 , 0 , 1 광년을 이론상 이동할 수 있으나 사실상 음수 혹은 0 거리만큼의 이동은 의미가 없으므로
        1 광년을 이동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0 , 1 , 2 광년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 여기서 다시 2광년을 이동한다면 다음 시기엔 1, 2, 3 광년을 이동할 수 있다. )
         김우현은 공간이동 장치 작동시의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x지점에서 y지점을 향해 최소한의 작동 횟수로 이동하려 한다. 
        하지만 y지점에 도착해서도 공간 이동장치의 안전성을 위하여 y지점에 도착하기 바로 직전의 이동거리는 반드시 1광년으로 하려 한다.
        김우현을 위해 x지점부터 정확히 y지점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공간 이동 장치 작동 횟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현재 위치 x 와 목표 위치 y 가 정수로 주어지며, x는 항상 y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0 ≤ x < y < 231)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x지점으로부터 y지점까지 정확히 도달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이동 장치 작동 횟수를 출력한다.


#테스트

t = int(input())

for _ in range(t):
    x, y = map(int,input().split())
    distance = y - x
    count = 0  # 이동 횟수
    move = 1  # count별 이동 가능한 거리
    move_plus = 0  # 이동한 거리의 합
    while move_plus < distance :
        count += 1
        move_plus += move  # count 수에 해당하는 move를 더함
        if count % 2 == 0 :  # count가 2의 배수일 때, 
            move += 1  
    print(count)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10번 다리놓기 - PYTHON

""" [백준] 1010번 다리놓기 - PYTHON
    1010번 bridge
    https://www.acmicpc.net/problem/1010
    
    문제
        재원이는 한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이 도시에는 도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큰 일직선 모양의 강이 흐르고 있다. 
        하지만 재원이는 다리가 없어서 시민들이 강을 건너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고 다리를 짓기로 결심하였다. 
        강 주변에서 다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을 사이트라고 한다. 
        재원이는 강 주변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강의 서쪽에는 N개의 사이트가 있고 동쪽에는 M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N ≤ M)

        재원이는 서쪽의 사이트와 동쪽의 사이트를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한 사이트에는 최대 한 개의 다리만 연결될 수 있다.) 
        재원이는 다리를 최대한 많이 지으려고 하기 때문에 서쪽의 사이트 개수만큼 (N개) 다리를 지으려고 한다. 
        다리끼리는 서로 겹쳐질 수 없다고 할 때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강의 서쪽과 동쪽에 있는 사이트의 개수 정수 N, M (0 < N ≤ M < 30)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주어진 조건하에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2 2
            1 5
            13 29
        예제 출력 1 
            1
            5
            67863915        
"""

import math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m = map(int, input().split())
    bridge = math.factorial(m) // (math.factorial(n) * math.factorial(m - n))
    print(bridge)

#-----------------------------------------------------------------------------

import sys

t = int(sys.stdin.readline())

# 테스트 케이스만큼 반복
for _ in range(t):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 = m
    b = n

    # mCn 구현
    for i in range(1, n):
        a *= m - i # m!
        b *= n - i # n!

    print(a // b) # m! // n!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