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대답은 빨리'를 

기본 원칙으로 삼읍시다. 

악기를 두드리면 바로 소리가 나는 것처럼, 

민첩한 반응을 하도록 평소에 자신을 단련해 

나갑시다. '지금 말씀드리기가...' 하며 대답을 

회피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꿀 먹은 벙어리가

되어 상대를 답답하게 만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회는 날아가 버릴지도 모릅니다. 

모든 일에 있어서 행운은 절묘한 타이밍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마쓰우라 야타로의《일의 기본 생활의 기본 100》중에서 - 


* 때로는 신중한 대답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신중함이 길어지면 대답이 늦어집니다.

평소 모든 일에 답을 준비하고 사는 것이 좋습니다.

답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모처럼 찾아온

절호의 기회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빠른 대답이 답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와 철학자, 그리고 힐러  (0) 2017.03.17
새소리가 들리시나요?  (0) 2017.03.16
철부지  (0) 2017.03.14
역사의 물줄기  (0) 2017.03.14
창조의 시간  (0) 2017.03.14
반응형

음성인식 API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SKTelecom NUGU


 

요약 

설명 

createSpeechRecognizer() 

초기화 

인식시 생성 

destroy() 

객체 소명 

인식기 소멸 

startListening()

인식 시작 


- 서버 접속 수행 후 마이크에서 음성입력을 받아 인식 수행

- 음성입력이 끝나면 자동으로 인식이 종료되고 createSpeechRecognizer() 실행 시  설정한 listener를 통해 인식 결과 또는 오료 결과를 반환 한다.


stopListening()

인식 종료 


- 음성인식을 종료

- 호출시점까지 입력된 음성으로 인식을 수행하고, createSpeechRecognizer() 실행시 설정한 listener로 인식 결과 또는 오류 결과를 반환 


onResults()

음성인식 완료 시 호출 


- 음성인식이 완료되면 호출

- 음성인식 결과는 SpeechRecognizer의 getSpeechRecognitionResults() 함수를 사용하여 읽어 올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초보자를 위한 RNNs과 LSTM 가이드



이 포스팅은 RNNs(Recurrent Neural Networks), 특히 RNNs의 한 종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설명하는 포스팅입니다.

RNNs은 글, 유전자, 손글씨, 음성 신호, 센서가 감지한 데이타, 주가 등 배열(sequence, 또는 시계열 데이터)의 형태를 갖는 데이터에서 패턴을 인식하는 인공 신경망 입니다.

RNNs은 궁극의 인공 신경망 구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강력합니다. RNNs은 배열 형태가 아닌 데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작은 이미지 패치(필터)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배열 데이터를 다루듯 RNNs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RNNs은 배열에 등장했던 패턴을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사람의 기억과 기억력에 비유하면 아주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어서 종종 RNNs을 사람의 뇌처럼 취급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큐 관찰, 수상한 고양이


반응형
반응형

if(window.console!=undefined) console.log.bind()


<script type="text/javascript">
if(window.console!=undefined){
    setTimeout(console.log.bind(console,"%cTISTORY","font:8em Arial;color:#EC6521;font-weight:bold"),0);
    setTimeout(console.log.bind(console,"%c  나를 표현하는 블로그","font:2em sans-serif;color:#333;"),0);
}
</script>








.

반응형
반응형

제약이 창의성을 가두는 게 아니라,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창의성이 발휘된다.

모든 위대한 작품이나 창의적인 솔루션은 시간적인 제약,

물리적인 제약, 자원의 제약들이 엄청 많았던 것들이었다.

뭐가 됐든 어렵고 제약된 환경에서 창의성이 태어나곤 한다.

- 김봉진 대표, ‘배민다움’에서

 

삶이 편안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을 때,

창조성은 잠자고 있게 됩니다.

자원이 없을 때 수완이 생깁니다.

잠자는 창조성을 깨우는 것은

순풍이 아닌, 역경입니다.

인간은 가장 큰 제약 속에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깁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