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생은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
물론 타고난 운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결코 바뀌지 않는 숙명은 아니다.
우리가 바꾸겠다고 생각하면 바뀌는 것이 운명이다.
- 원료범, 중국 고전 ‘음즐록’에서

 

 


랄프 왈도 에머슨은
“얄팍한 사람은 운을 믿고, 환경을 믿는다.
강한 사람은 원인과 결과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남극 탐험가 아문센은
“모든 것을 다 제자리에 갖춰 놓은 사람에게
승리가 찾아온다.
사람들은 그것을 운이라고 부른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작은 긁힘조차
두려워 피하는 자는
아름다운 음악도
감동적인 인생도
들려줄 수 없다.


- 박재규의《내 삶의 힌트》중에서 -


* 작은 긁힘을 두려워하면
가까이 다가갈 수 없습니다.
가까이 가야 사랑도 할 수 있습니다.
가까이 가야 심장 뛰는 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콤한 덫  (0) 2015.06.05
마음마저 전염되면...  (0) 2015.06.04
나에게 끌리는 색깔  (0) 2015.06.02
가난한 대통령 무히카  (0) 2015.06.01
소중한 기억들 때문에...  (0) 2015.05.30
반응형

나는 신이 인간을 만들 때 모든 면에서
 발전하고 성장하는 존재로 창조했다고 믿는다.
원래 인간의 능력이란 스스로 포기하지 않는 한
 미래를 향해 성장하고 진보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항상 자신의 능력을
 미래 진행형으로 보라고 강조한다.
- 이나모리 가즈오, ‘바위를 들어 올려라’에서

 

 

현재의 능력만으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은
 스스로에게 너무나 가혹한 일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포기하고 노력을 멈추지 않는 한
 끊임없이 발전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목표는 현재의 능력이 아닌,
끝없이 발전할 미래의 능력을 기초로 세워야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뜰에서 또는 들이나 산에서
나무, 풀 등 끌리는 식물에 걸어가 앞에 선다.
빛깔, 형태, 움직임을 바라본다. 햇빛을 흡수해
드러나는 빛깔을 음미한다. 파스텔이나 수성
색연필에서 끌리는 색깔을 하나 골라
손이 가는 대로 그린다. 그 빛깔을
바라본다. 잠시 느낌에
머물러 있는다.


- 조수연의《이미 그대는 충분하다》중에서 -


* 색깔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명상이 됩니다. 마음이 편안해지고
치유가 됩니다. 이야기가 만들어집니다.
우리의 인생도 때로 색깔로 이야기합니다.
검다, 어둡다, 빛이 난다, 화려하다...
나에게 끌리는 색깔 하나하나에
내 인생이 담겨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마저 전염되면...  (0) 2015.06.04
작은 긁힘  (0) 2015.06.03
가난한 대통령 무히카  (0) 2015.06.01
소중한 기억들 때문에...  (0) 2015.05.30
인생의 명답  (0) 2015.05.29
반응형

당신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각으로
 인생은 흘러가게 되어 있어요.
당신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보면 인생도 그렇게 흘러가고,
스스로를 실패자로 보면 인생도 그렇게 흘러가는 거죠.
그러니까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바라보는 시각 말고,
당신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볼지 그것부터 결정하세요.
- 김혜남,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에서

 

 

그리스 의학자 갈레노스는
“의사는 자신을 신뢰하는 사람의 병은 대부분 고친다.”고 말했습니다.
꽃은 “사랑해”라고 말해주면 더 화사하게 피어납니다.
‘삶이란 좋은 것이다’라고 믿는 것만으로도 좋아집니다.
내 인생은 내가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세상 사람들이
왜 그렇게 호들갑인지 모르겠다.
내가 작은 집에 살고, 보잘것없는
살림살이에, 낡은 자동차를 몰아서?
이게 어떻게 뉴스 거리가 되는가?
그렇다면 세상이 이상한 것이다.
왜냐하면 지극히 정상적인 일을
놀라워하고 있으니까.


- 미겔 앙헬 캄포도니코의《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무히카》중에서 -


* 우루과이 대통령을 지낸
무히카의 이야기입니다. 28년 된 자동차를 끌고,
월급의 90%를 기부한 것으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이게 어떻게 뉴스 거리가 되느냐"는 말이
뉴스가 되었던 장본인이기도 하지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인데
마음은 최고의 부자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긁힘  (0) 2015.06.03
나에게 끌리는 색깔  (0) 2015.06.02
소중한 기억들 때문에...  (0) 2015.05.30
인생의 명답  (0) 2015.05.29
온도, 사랑의 체온  (0) 2015.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