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처럼 예쁘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간과 여백 (0) | 2023.05.09 |
---|---|
우리는 언제 성장하는가 (0) | 2023.05.08 |
술 마시면 안 되는 사람 (0) | 2023.05.06 |
'살아남는 지식' (0) | 2023.05.04 |
동행, 함께 가는 것 (0) | 2023.05.03 |
너처럼 예쁘다
행간과 여백 (0) | 2023.05.09 |
---|---|
우리는 언제 성장하는가 (0) | 2023.05.08 |
술 마시면 안 되는 사람 (0) | 2023.05.06 |
'살아남는 지식' (0) | 2023.05.04 |
동행, 함께 가는 것 (0) | 2023.05.03 |
술 마셔서는
안 되는 사람과 마시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사람이 같은 사람이었다.
그것을 고민하는 사람도 같은 사람이었다.
고민은 끝나지 않았다. 계속될 수밖에 없었다.
평생을 가고자 다짐하거나 선언하는 것.
마셔서는 안 되는 걸 기어이 마시는 모순.
스스로 챙긴 건강을 스스로
망가뜨리는 파행.
- 구효서의 《통영이에요, 지금》 중에서 -
* 술은
약도 되고 독도 됩니다.
널리 알려진 유명한 금언도 있습니다.
"사람이 술을 마시고 술이 사람을 먹는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술은 자신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파행을
안겨주고 맙니다. 무슨 일이든
적당한 것이 좋습니다.
우리는 언제 성장하는가 (0) | 2023.05.08 |
---|---|
꽃 (0) | 2023.05.06 |
'살아남는 지식' (0) | 2023.05.04 |
동행, 함께 가는 것 (0) | 2023.05.03 |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 2023.05.02 |
https://careerly.co.kr/comments/82474
킴코더 / 주니어 개발자를 고용하는 데 드는 어려움 | 커리어리
회사 입장에서 어려움 점을 이해해 보고 주니어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점을 파악해 봅니다. 1️⃣ 주니어 개...
careerly.co.kr
https://copyconstruct.medium.com/tactical-challenges-in-hiring-junior-engineers-29e31634a9bd
Tactical Challenges In Hiring Junior Engineers
All too often, I see tweets that read like platitudes about how every team should be hiring junior engineers. Let me start off by saying…
copyconstruct.medium.com
회사 입장에서 어려움 점을 이해해 보고 주니어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점을 파악해 봅니다.
1️⃣ 주니어 개발자는 1, 2년의 투자 기간이 필요하다
최소 1, 2년 정도 한 사람에게 투자할 수 있는 팀이 아니라면 주니어 개발자를 고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투자자들에게 결과물을 빨리 내야 하는 스타트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고용 방법일 수 있다.
2️⃣ 그들에게는 경력이 많은 관리자가 필요하다
경력이 없거나 자질이 없는 관리자는 주니어 개발자를 고용하거나 멘토 할 수 없다. 주니어 개발자를 고용하려면 경력이 풍부한 관리자가 필요하다.
3️⃣ 잘 정의된 업무만 줄 수 있다
주니어에게 몇 주 만에 결과물을 내야 하는 업무를 줄 수 없다. 따라서 팀은 최소 6개월에서 12개월 안에 결과물을 낼 수 있는 프로젝트를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상에서 '주니어'에게 적합한 프로젝트를 많이 가진 팀이 없다.
4️⃣ 주니어 개발자에게 투자한 만큼 이득을 못 볼 수 있다
실리콘 밸리의 엔지니어는 같은 회사 근무 기간이 평균 18개월에서 24개월이다. 그만큼 이직이 잦은데, 주니어 개발자를 성장시키기 위해 약 1년에서 2년 투자하면 이득을 보기 전에 그들은 다른 회사로 이직할 확률이 크다.
📌 원문에는 '시니어 개발자의 생산력을 저하한다'라는 포인트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주니어 개발자를 발굴하고 그들을 성장시키는 것 또한 시니어 개발자의 직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단기적으로 생산력을 저하할 수 있어도, 여러 가지 프로세스 개선(예: 개발자 온보딩 코스 만들기,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 문서화하기, 그룹 학습 세션 정기적으로 열기,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기 등등)을 통해 생산력을 올릴 수 있고, 무엇보다도 장기적으로 보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팀마다 적합한 시니어/주니어 비율을 갖는 것이 '회사의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시니어/주니어 비율과 학습 프로세스 개선은 오히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봅니다.
📌 주니어 개발자가 알아둬야 할 점
글을 읽고 주니어 개발자가 알아야 할 점을 생각해 봤습니다.
1. 경험이 많은 관리자가 있는 팀을 찾자.
2. 주니어 개발자에게 투자할 수 있는 팀인지 확실하게 알아보자.
3. 시니어/주니어 비율이 상대적으로 좋은 팀으로 가자.
4. 온보딩 프로세스나 문서화가 잘되어 있는 팀은 주니어 개발자로써 학습 속도를 끌어올리는 데 도움 된다.
5. 주니어 개발자의 성장을 돕고 '그들의 성장'을 '직책'이라고 여기는 시니어 개발자와 관리자와 함께 일하는 것이 좋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개발자 진로에 중요한 직급별 스킬과 기대 역할
https://careerly.co.kr/comments/78043
코딩 테스트, 알고리즘 공부 로드맵
https://careerly.co.kr/comments/82187
코드 리뷰 잘하는 법
https://careerly.co.kr/comments/82185
당신의 회사에 우수 IT인재가 다니지 않는 4가지 이유 (0) | 2023.05.12 |
---|---|
멀쩡한 앱을 Flutter 앱으로 다시 짠 이유 - 일본 1위 배달 앱, 두 번째 Recode (0) | 2023.05.07 |
"SW 제값 받기"… 개발비 단가 올린다 (0) | 2023.05.03 |
‘인싸’가 되려 하는 ‘아싸’처럼 굴다간... '어설픈 IT 관리' 에 대한 7가지 지적 (0) | 2023.04.27 |
신용카드 생태계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0) | 2023.04.18 |
2023-05-03, 텃밭 가꾸기
국립중앙박물관 웹진 (0) | 2023.05.09 |
---|---|
[출근길] 이촌역 에서 팔당행 경의중앙선 (0) | 2023.05.09 |
2023-05-01, 진관사 (0) | 2023.05.01 |
2023-05-01, 텃밭 지주대 세우기, 야콘 심기 (0) | 2023.05.01 |
2023-04-29, 사슴벌레,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0) | 2023.04.30 |
지도자는 불리하다고 여겨진 문제점들을
창조적인 아이디어로 극복하여 비전을 달성하는 사람들이다.
‘열악한 환경’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창조력이 없는 사람들이 자신이 처한 환경을 그렇게 불렀을 뿐이다.
- 조동성, 서울대 교수
하얼빈, 다보스, 두바이의 창조경영은 모두 비전과 열정을 가진
뛰어난 리더와 열악한 환경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얼빈은 영하 20도 혹한을 눈이 잘 녹지 않는 장점으로 승화해
세계 최대 빙설축제를 성공시켰고,
다보스는 해발 1,575m 라는 고립된 환경을 고립된 지식인들의 토론의 장으로,
두바이는 척박한 사막 개발이라는 이벤트로
세계인의 관심을 유발시키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직원들 간의 성과 차이 (0) | 2023.05.09 |
---|---|
목표와 방향의 힘은 얕볼 수 없다 (0) | 2023.05.08 |
선행을 하면 운이 좋아진다 (0) | 2023.05.03 |
일정한 자극은 발전을 가져온다 (0) | 2023.05.02 |
의욕상실에서 벗어나는 최상의 방법 (0) | 2023.04.28 |
'살아남는 지식'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누군가에게
배워서 아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스스로 깨우친 지식을 말한다. 오십이 되면
그런 삶에 접속해야 그 나이에 주어진 삶의 무게를
이겨낼 지성을 갖출 수 있다. 살아가는 나날이 곧
배워서 깨닫는 나날이어야 한다. 오십 이후에
맞이할 당신의 하루는 더욱 농밀하게 바뀔
것이다. "현재를 볼 수 있다면,
미래를 가질 수 있다."
- 김종원의 《오십에 시작하는 마음 공부》 중에서 -
* 지식은 여러 형태입니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도 있고, 책을 통해 얻은 지식도
있습니다. 자신도 살리고 남도 살리는 지식이 있고,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과 공동체를 죽이는 지식도
있습니다. '살아남는 지식'은 역경과 시련, 아픔과
슬픔의 경험에서 깨닫고 깨우치는 지혜입니다.
그 지혜가 지성으로, 그 지성이 영성으로
이어질 때 우리의 하루하루 일상은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꽃 (0) | 2023.05.06 |
---|---|
술 마시면 안 되는 사람 (0) | 2023.05.06 |
동행, 함께 가는 것 (0) | 2023.05.03 |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 2023.05.02 |
'아, 내가 이걸 놓치고 살았구나' (0) | 2023.05.01 |